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서울사람들의 생로병사

김지영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개인저자김지영 정해은 정창권 송희정 
서명/저자사항서울사람들의 생로병사 /김지영,정해은,정창권 ,송희정 [외] 저.
발행사항서울:서울역사편찬원,2020
형태사항323 p.:삽화;23 cm
총서사항서울역사강좌;10
총서부출표목서울역사강좌;10
ISBN9791160711028
9788994033952(세트)
일반주기 색인수록
서지주기참고문헌: p. 304-308
비통제주제어서울,역사,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09596 S 911.6 2016-2 v10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109597 S 911.6 2016-2 v10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09596
청구기호
S 911.6 2016-2 v10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109597
청구기호
S 911.6 2016-2 v10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사람들의 생로병사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표지

판권기

발간사 / 이상배

목차

제1강 한양사람들은 어떻게 태어났을까? / 김지영
다산이 곧 다복이라네 12
인왕산 선바위에 아들 낳기를 빌다 18
이 며느리는 반드시 어진 아들을 낳을 것이다 24
생명을 낳다 생명을 잃은 한양 여성들 27
내의원에서 진상하는 왕실의 산후보양식 재료 31

제2강 한양사람들은 아이를 어떻게 길렀을까? / 정해은
갓난아이를 지켜라 36
《동의보감》에 나오는 양육법 10가지 38
유모 고르기 41
서울에 등장한 소아 전문의 45
《사소절》의 아동 교육 내용 49
'문제아'의 존재 53

제3강 심봉사가 한양에 살았다면? : 조선시대 장애인 복지정책과 사회적 처우 / 정창권
장애 명칭과 유형 58
선진적인 장애인 복지정책 60
그밖의 장애인 복지정책들 65
직업과 자립모델 68
사회적 처우 77

제4강 한양의 관리들은 퇴직 후 무엇을 했을까? / 송희경
한양 관리가 '늙음'을 누리는 방법 84
옛 동료와 벗을 만나 누리는 즐거움 96

제5강 한양 선비들의 건강 관리와 질병 대응 / 이경록
의학적 소양이 풍부했던 유의들 108
월등한 의료 혜택을 받은 한양 양반들 113
양생에 관심이 컸던 지식인들 116
상분과 인육치료 : 조선의 독특한 질병 대응법 122

제6강 조선시대 국왕의 질병과 치료, 그리고 내의원 / 김성수
내의원과 왕실 의료 128
내의원의 설치와 운영 131
왕실에서의 출산 및 진찰 133
왕실의료의 특징 137
역대 왕의 질병 140

제7강 남녀유별의 시대, 한양에 최초로 의녀를 두다 / 한희숙
조선시대 최고의 커리어 우먼 146
의녀의 탄생 배경과 설치 목적 148
의녀가 소속된 기관과 시설 150
의녀의 교육과 전문화 과정 153
의녀들의 전문분야와 그 외 활동분야 160
의녀의 급료 및 처우 166

제8강 한양사람들은 병들면 어떻게 했을까? / 신동원
왜 한양사람들은 병들면 어떻게 했을까?를 묻는가 172
일제강점기 낙원동 '보춘의원'을 찾은 환자 통계 176
경성의 한의사는 몇 명이었을까? 180
어떤 병에 많이 걸리고, 죽었을까? 182
정조 임금의 특별한 홍역 구료 대책 185
옛 사람이 앓은 병은 우리 시대의 거울 190

제9강 서울을 습격한 콜레라, 수많은 목숨을 앗아가다 / 신규환
조선 후기 괴질, 한반도를 습격하다 194
식민당국의 방역대책과 위생경찰의 활동 199
100년 전의 감염병 총공세 205
해방 이후의 콜레라 208

제10강 이 약 한 번 잡숴봐! 서울의 신문을 메운 의약 광고 / 김영수
새로운 약, 거리에 등장하다 216
한국인의 병, 어떤 질병이 많았길래? 218
서울에는 어떤 약방이 세워졌을까? 221
약 광고의 형식 225
약 광고를 통해 보는 서울을 휩쓸던 대표적인 약 228
약 시장의 성장에 따른 상품명 논쟁 233

제11강 DDT는 서울의 보건위생에 기여했을까? / 여인석
미군정기, 혼란 속의 보건의료 238
마법의 살충제 DDT 242
항생제의 등장과 결핵 248
전쟁과 의료 252

제12강 한성부 살옥 사건 : 사노 득복, 아버지의 죽음을 호소하다 / 김호
김득복의 발괄 258
어주의 꿩을 훔쳐 먹다 264
이천손이 아니었다 268
호생지덕 271
말세의 풍속 276

제13강 서울사람들은 죽어서 어디로 갔을까? / 정일영
조선시대 서울사람의 사자공간 282
개항기 외국인의 눈에 비친 서울의 사자공간 286
공동묘지의 등장 291
쉽지 않았던 공동묘지 정착과정 295
화장 및 장의사의 등장과 불길한 죽음 298

부록

참고문헌

저자약력

도판출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