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전체
1
목차
머리말 3
1부. 총론 7
Ⅰ. 인권교육의 목적 8
1. 인권교육의 정의 8
2. 인권교육의 목적 8
Ⅱ. 인권교육 방법 11
1. 교수-학습과정의 이해 11
2. 수업과 수업계획 11
3. 교수-학습 방법 12
Ⅲ. 교재의 구성과 활용 20
1. 『인권교육 표준강의 길라잡이』 의 구성과 특징 20
2. 『인권교육 표준강의 길라잡이』 의 활용 21
2부.『인권도시 서울』 25
[인권개요]·[인권문화] 편 25
Ⅰ. 인권의 개념과 역사 26
1. 인권이란 무엇인가 26
2. 인권의 보편성, 국제화 29
3. 인권의 기원과 역사 논쟁 33
4. 인권의 개념과 성격 논쟁 34
5. 인권의 성격과 국제관계 35
Ⅱ. 시민적·정치적 권리 39
1. 시민의 개념과 발달 39
2. 시민적 권리 40
3. 정치적 권리 43
Ⅲ. 경제·사회·문화적 권리 47
1. 사회권이란 무엇인가 47
2. 사회권 부상의 배경 47
3. 사회권의 내용과 성격 48
4. 사회권 규약의 특성 48
5. 유엔사회권위원회가 본 한국의 사회권 실태 50
6. 21세기 사회권의 실현과 과제 53
Ⅳ. 인권의 평등과 충돌 56
1. 평등과 다양성의 긴장 56
2. 다양성과 편견 58
3. 평등 지향적 사고와 자세 62
4. 개인 상호간의 인권 충돌 63
5. 개인과 국가의 권리 충돌 65
6. 갈등의 해결과 절차 67
[인권정치]ㆍ[국제인권] 편 73
Ⅴ. 인권과 국가의 책무 74
1. 행위 주체로서의 국가 74
2. 최대 인권 보호자 국가: 국가의 국민에 대한 책무 74
3. 최대 인권 가해자 국가 76
4. 국제사회에서 개별 국가의 책무 78
5. 반인도적 범죄에 대한 국제협력 79
6. 국가에 무엇을 요구할 것인가? 81
Ⅵ. 인권 중심의 행정 84
1. 인권 중심적 정책 84
2. 정책 수립 단계의 인권 주류화 86
3. 정책 집행 과정에서 인권침해 87
4. 정책 모니터링 및 평가 89
Ⅶ. 국제협력과 인권 93
1. 후퇴하는 인권 93
2. 빈곤과 인권 94
3. 국제개발협력과 인권 95
4. 개발협력전략: 개발협력 정책수립에서 평가까지 97
5. 한국과 국제개발협력 98
6. 인권, 민주주의, 국제협력 99
참고문헌 101
부록 103
교육생용 활동지 107
표 목차
그림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