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전체
1
서울시 국제기구 유치 및 교류협력 활성화 전략 수립 연구
제출문 2
목차 3
표목차 9
그림목차 17
Ⅰ. 과업개요 20
제1절. 과업의 배경 21
1. 국제사회 불확실성 증대 21
2. 국제교류 및 국제협력의 중요성 고조 22
3. 국제기구의 중요성 증대 23
4. 도시 국제화(Local Internationalization)의 필요성 고조 24
5. 도시외교의 중요성 대두 25
6. 국제기구 유치 및 교류 협력의 당위성 26
7. 서울시의 여건을 고려한 종합적인 전략 필요 26
제2절. 과업의 목적 및 수행범위 27
제3절. 과업 수행체계 29
Ⅱ. 국제기구 및 교류협력 현황 31
제1절. 국제기구 정의 및 유형 32
1. 국제기구 정의 33
2. UIA 기준의 국제기구 유형 42
제2절. 국제기구·국제협력 동향 46
1. 국제기구 동향 46
2. UN 국제기구 조직 및 국가별 참여 특징 50
3. 도시간 국제기구 현황 61
제3절. 국제기구 및 국제협력 어젠다 동향 분석 73
1. 국제기구 주제 매트릭스 변화 73
2. 국제협력 어젠다 80
제4절. 국제기구의 수입과 지출 93
1. 국제기구의 수입 93
2. 국제기구의 지출 101
Ⅲ. 해외 국제기구 유치 및 교류협력 현황 분석 102
제1절. 국가별 사례 분석 105
1. 벨기에 105
2. 미국 111
3. 스위스 117
4. 싱가포르 123
5. 태국 127
6. 중국 130
제2절. 국가별 국제기구 유치 지원 현황 분석 136
제3절. 시사점 139
1. 해외 국제기구 유치 및 교류협력 현황 분석을 통한 시사점 139
2.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한 국제기구 유치 결정 요인 도출 141
Ⅳ. 국내 국제기구 교류협력 현황 143
제1절. 중앙정부 주요 정책동향 145
1. 기획재정부 145
2. 외교부 152
3. 법무부 157
4. 행정자치부 160
5. 법·제도 지원 현황 161
제2절. 국내 국제기구 유치 및 참여현황 171
1. 국내 국제기구 유치 실태 171
2. 한국내 UN 산하 국제기구 사무소 현황 177
3. 국내 국제기구 지원 현황 179
제3절. 지방자치단체 국제기구 유치 및 교류·협력 185
1. 서울특별시 185
2. 인천광역시 190
3. 부산광역시 196
Ⅴ. 국제기구 유치 및 교류협력 성과분석 201
제1절. 국제기구 효과 Diffusion Model 202
1. 도시 국제기구 유치 및 교류 협력의 진화 단계 202
2. 국제기구 효과 Diffusion Model 205
제2절. 서울시 국제기구 경제적 효과성 분석 217
1. 분석 개요 217
2. 분석 결과 226
제3절. 서울시 국제기구 정치·외교적 효과성 분석 239
1. 국제사회에서의 위상 강화 240
2. 국제사회에서의 어젠다 주도 241
3. 다차원적 외교채널 확보 243
제4절. 서울시 국제기구 사회·문화적 효과성 분석 245
1. 도시 브랜드 가치 상승 246
2. 지역사회의 국제화 247
3. 도시의 국제적 역량 강화 248
4. 국제회의 개최에 따른 MICE·관광산업 활성화 249
제5절. 시사점 251
Ⅵ. 국제기구 유치 및 교류협력에 관한 의견조사 253
제1절. 이해당사자 의견 설문조사 253
1. 조사 개요 254
2. 분석 결과 256
제2절. PWG(Power Working Group) 심층인터뷰 264
1. 조사 설계 264
2. 분석 결과 266
제3절. 시사점 275
Ⅶ. 서울시 국제기구 및 교류협력 전략도출 276
제1절. STEEP 분석 277
1. 조사 개요 277
2. 분석 절차 277
3. STEEP-Mental Map 분석 278
제2절. 서울시 정책 동향 287
1. 서울 정책 287
2. 서울형 도시재생 및 환경 정책 289
제3절. 균형성과분석(Balanced Scored Card) 295
1. 조사 개요 295
2. 세부 내용 297
제4절. 전략도출 323
1. 전략 요인 도출 324
2. 분석을 통한 전략적 접근 327
Ⅷ. 국제기구 유치 및 교류협력 활성화 방안 329
제1절. 국제기구 활성화 비전 및 목표 수립 330
제2절. 서울시 국제기구 유치 및 교류협력 핵심 과제 333
1. 거버넌스 구축 334
2. 유치·창립 활동 369
3. 교류·협력 강화 408
4. 활동기반 구축 425
제3절. 서울시 국제기구 유치 및 교류협력 추진 과제 로드맵 449
Ⅸ. 유치가능 국제기구 대상 분석 455
제1절. 유치가능 대상 분석 개요 456
1. 서울시 유치가능 국제기구 접근 체계 456
2. UN국제기구 사무소 유치 전략 459
3. UN국제기구 사무소 유형에 따른 유치절차 461
4. 유치 분담금 463
제2절. 서울시 유치가능 국제기구 대상 분석 464
1. 서울시 중장기 유치활동 및 모니터링 대상 국제기구 현황 464
2. 서울시 유치가능 국제기구 분석 결과 469
3. 유치가능 국제기구 유형별 전략 476
부록 483
1. 서울시 국제기구별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484
1. 유엔협회 국제회의 484
2. 이클레이 국제회의 경제효과 489
3. GSEF 국제회의 경제효과 493
4. 시티넷 관련 국제회의 경제효과 498
2. 국제기구 유치가능 대상 분석 503
1. 지속가능한 환경 503
2.지속가능한 도시 508
3. 지속가능한 사회 516
참고문헌 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