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전체
1
2020년도 서울시 청년 인권의식 및 혐오표현 실태조사
목차 4
제1장 연구배경 및 목적 26
제1절 문제 제기 28
제2절 개념적 검토 31
제3절 연구의 구성 43
제2장 청년 세대와 인권 48
제1절 청년과 청년 세대 : 개념적 규정 50
제2절 청년 세대 담론의 정치학 53
제3장 청년 인권의식 및 험오표현 논의 64
제1절 불평등과 불공정 : 청년 세대 내부의 담론적 쟁점 66
제2절 세대를 관통하는 새로운 균열 76
제4장 청년층의 인권의식과 험오표현 설문결과 86
제1절 조사 개요 88
제2절 조사 결과 분석 95
제3절 함의 및 시사점 156
제5장 온라인 커뮤니티 조사 결과 166
제1절 온라인 커뮤니티와 청년 세대 168
제2절 연구 방법 176
제3절 분석 결과 179
제4절 함의 및 시사점 194
제6장 청년 인권의식 및 혐오표현 면접조사 결과 196
제1절 청년 여성과 청년 남성 201
제2절 소수자 그룹 218
제7장 정책적 시사점 240
제1절 차별과 증오, 험오표현에 대처하는 법적, 제도적 규제 243
제2절 국내외 인권위원회의 험오표현 관련 결정 사례 250
제3절 당사자의 자율성 증진을 위한 형성적 정책 과제 258
제4절 청년 인권 의식 향상 및 험오표현 방지를 위한 가이드라인의 제정 (준비) 262
제8장 요약 및 함의 270
제1절 요약 및 시사점 272
제2절 정책적 과제 279
참고문헌 286
부록 300
표목차 300
[표 1-1] 험오표현의 범주와 주요 유형 33
[표 1-2] 연구 흐름에 따른 연구 방법 45
[표 2-1] 연령대별 실업률 추이(2000?18년) 55
[표 2-2] 연도별 청년(20?39세) 주거 점유 형태 비중 변화(1995?2015) 56
[표 4-1] 청년 인권 의식 및 험오표현 실태 조사 문항 90
[표 4-2] 청년 인권 의식 및 험오표현 실태 조사 개요 93
[표 4-3] 응답자 특성 94
[표 4-4] 본인의 인권이 존중받는 정도 96
[표 4-5] 집단별 본인의 인권과 사회적으로 인권이 존중받는 정도의 차0| 96
[표 4-6] 한국 사회 전반적으로 인권이 존중받는 정도 98
[표 4-7]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인권침해나 차별에 대한 인식 99
[표 4-8] 집단별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인권침해나 차별에 대한 인식 차이 1 101
[표 4-9] 집단별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인권침해나 차별에 대한 인식 차이2 104
[표 4-10] 사회적 소수자 대상 혐오표현 규제에 대한 인식 107
[표 4-11] 낙태 허용여부 인식 108
[표 4-12] 양심적 병역거부자의 대체복무에 대한 인식 108
[표 4-13] 장애인 탈 시설에 대한 인식 109
[표 4-14] 사회적 약자의 배려에 대한 인식 110
[표 4-15] 집단별 사회적 약자의 배려에 대한 인식 차이 111
[표 4-16] 험오표현 접촉 경로 116
[표 4-17] 자주 보거나 들었던 혐오표현 대상 118
[표 4-18] 험오표현에 대한 이해도 120
[표 4-19] 집단 간 험오표현에 관한 동의 정도 비교1 123
[표 4-20]사회문제로서의 험오표현에 대한 인식 태도 127
[표 4-21]집단 간 혐오표현에 관한 동의 정도 비교2 128
[표 4-22]험오표현의 유형별 심각성에 대한 인식 태도 132
[표 4-23] 험오표현의 발생 이유 134
[표 4-24]험오표현 개선방안 138
[표 4-25] 집단 별 험오표현 개선방안 인식 비교1 140
[표 4-26] 집단 별 험오표현 개선방안 인식 비교 2 142
[표 4-27]청년 세대의 자기 인식과 사회 인식 144
[표 4-28]집단별 청년 세대 사회에 대한 인식 비교 1 147
[표 4-29]집단별 청년 세대 사회에 대한 인식 비교 2 149
[표 4-30]집단별 청년 세대 사회의 삶의 만족도 비교 153
[표 5-1] 2020년 1월? 11월에 에브리타임 게시판에 나타난 핵심 이슈 177
[표 5-2]심층 면접 참여자 주요 정보 178
[표 6-1] 초점집단면접 인터뷰 : 일시 및 대상자 198
[표 6-2]초점집단면접 인터뷰 : 논의 주제 200
[표 6-3]청년 여성■남성 그룹 면접조사 내용 정리표 201
[표 6-4]소수자 그룹 면접조사 내용 정리표 218
[표 7-1]국내 언론에 적용되는 험오표현 관련 법제의 주요 조항 246
[표 7-2]혐오표현의 규제 방법 259
[표 7-3]형성적 정책의 수립을 위한 인식론적 전제 259
[표 7-4] 13가지 의무(The Strategy's 13 Commitments) 264
[표 7-5] 서울시 청년청, 혐오표현 대응 및 인권의식 함양을 위한 가이드라인의 제정 방향 264
[표 8-1] 서울시 청년청의 구체적인 정책 과제의 제안 264
그림목차 8
[그림 4-1] 설문조사 연구모형 92
[그림 4-2] 온라인 혐오표현 접촉 경험 115
[그림 4-3] 혐오표현 접촉 경로 115
[그림 4-4] 자주 보거나 들었던 험오표현 대상 117
[그림 4-5] 혐오표현을 접했을 때 드는 생각 119
[그림 4-6] 험오표현에 대한 대응 120
[그림 4-7] 험오표현 관련 의견에 대한 동의정도 - 표현 내용과 무관한 상대를 향한 표현은 험오표현이 아니다 122
[그림 4-8] 혐오표현 관련 의견에 대한 동의정도 - 특정 대상에 대한 부정적 표현은 논리가 있다면 혐오표현은 아니다 124
[그림 4-9] 험오표현 관련 의견에 대한 동의 정도 - 상대가 권력을 갖고 있더라도 불쾌하게 느끼면 혐오표현이다 125
[그림 4-10] 험오표현 관련 의견에 대한 동의 정도 - 부정적으로 여겨지는 속성을 근거로 개인이나 집단을 비난하는 것은 혐오표현이다 126
[그림 4-11] 혐오표현 관련 의견에 대한 동의 정도 - 혐오는 개인의 문제라기보다는 사회구조의 문제이다 129
[그림 4-12] 험오표현 관련 의견에 대한 동의 정도 - 상대가 권력을 갖고 있더라도 불쾌하게 느끼면 험오이다 130
[그림 4-13] 험오표현 관련 의견에 대한 동의 정도 - 혐오표현은 사회적 갈등을 일으킨다 131
[그림 4-14] 혐오표현 발생 이유 133
[그림 4-15] 혐오표현 가해 경험 134
[그림 4-16] 혐오표현가해 경험 135
[그림 4-17] 혐오표현가해 이유 136
[그림 4-18] 혐요표현비인지 사용 후 알게 된 경우 137
[그림 4-19] 혐오표현 인지 경로 138
[그림 4-20] 혐오표현 개선방안 - 혐오표현을 제재하는 법을 제정해야 한다 143
[그림 5-1] 5대 일간지 '인천국제공항(비정규직 전환)' 기사 180
[그림5-2] '인천국제공항공사' 기사와 연관성이 높은 키워드 180
[그림 5-3] A대학 에브리타임 게시판 '인천국제공항' 정규직 관련 게시글 181
[그림 5-4] A대학 에브리타임 '제2캠퍼스' 관련 게시글 184
[그림 5-5] 5대 일간지 '숙명여대 트랜스젠더 입학' 관련 기사 빈도 185
[그림 5-6] '트랜스젠더'기사와 연관성이 높은 키워드 186
[그림 5-7] 5대 일간지 '변희수 하사' 관련 기사 186
[그림 5-8] '변희수 하사' 기사와 관련성 높은 키워드 187
[그림 5-9] A대학 에브리타임 '트랜스젠더' 관련 게시글 188
[그림 5-10] A대학 에브리타임 '중국 유학생' 관련 게시글 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