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전체
1
2020 서울시민이 만들어가는 평화, 통일 사회적 대화 백서
목차 3
1장. 평화·통일 사회적 대화 배경 및 목적 27
1. 평화·통일 사회적 대화 배경 29
2. 평화·통일 사회적 대화 목적 및 기대효과 30
2장. 평화·통일 사회적 대화 의제 선정 등 31
1. 의제선정위원회 구성 33
2. 숙의 방식 결정 및 숙의 프로그램 구성 35
2.1 숙의 방식 및 의제선정 35
2.2 숙의 프로그램 38
2.3 숙의 토론회 설계-온라인 토론회 43
3. 숙의 자료 준비 47
3.1 숙의 토론 자료집 47
3.2 숙의 의제 발제자 선정 및 발제자료 50
3.3 사전/사후 설문 구성 52
4. 퍼실리테이터 육성 58
5. 의제선정위원회 결과 보고 64
3장 평화·통일 사회적 대화 개요 67
1. 홍보 69
2. 참여단 모집 및 관리 74
2.1 시민참여단 74
2.2 청년참여단 77
2.3 교사참여단 79
4장 평화·통일 사회적 대화 결과 요약 81
5장 시민 설문 조사 결과 101
1.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대한 인식 및 지식 수준 103
1.1. 한반도 평화통일에 대한 관심도 103
1.2. 한반도 통일에 대한 입장 105
1.3. 한반도 평화?통일의 중요도 107
1.4. 한반도 평화?통일 정보에 대한 학습/숙의 수준 109
2. 토론 의제 평가 113
2.1. 한반도 평화?통일 체제 113
2.2. 재난예방/방역/의료협력 분야 북한과의 협력 추진 방안 117
2.3. 2032 서울-평양 하계올림픽 공동유치의 추진 효과 121
3. 2032 서울-평양 하계올림픽 공동유치 관련 우려 및 기대 사항 125
3.1. 2032 서울-평양 하계올림픽 공동유치 우려 사항 125
3.2. 2032 서울-평양 하계올림픽 공동유치 추진, 개최 기대효과 130
3.3. 2032 서울-평양 하계올림픽 공동유치 시 자원봉사자 참여 의향 139
4. 사회적 대화 연관 의제 분석 결과 140
4.1. 한반도 평화?통일 체제 관련 의제 146
4.2. 재난예방, 방역, 보건의료 등 남북협력 관련 의제 146
4.3. 기타 관련 의제 150
4.4. 향후 사회적 대화 우선순위 156
5. 사회적 대화 효과에 대한 평가 159
5.1. 사회적 대화 효과 진술에 대한 동의 159
5.2. 정치적 효능감 166
6. 사회적 대화 토론회에 대한 평가 171
6.1. 사회적 대화 운영에 대한 평가 171
6.2. 학습 지원 사항에 대한 평가 174
6.3. 분임 토의에 대한 평가 178
6.4. 토론회에 대한 만족도 182
6장 청년 설문 조사 결과 191
1.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대한 인식 및 지식 수준 193
1.1. 한반도 평화통일에 대한 관심도 193
1.2. 한반도 통일에 대한 입장 195
1.3. 한반도 평화?통일의 중요도 197
1.4. 한반도 평화?통일 정보에 대한 학습/숙의 수준 199
2. 토론 의제 평가 203
2.1. 한반도 평화?통일 체제 203
2.2. 북한 언론방송의 남한 내 개방 207
2.3. 2032 서울-평양 하계올림픽 공동유치 추진 211
3. 2032 서울-평양 하계올림픽 공동유치 관련 우려 및 기대 사항 215
3.1. 2032 서울-평양 하계올림픽 공동유치 우려 사항 215
3.2. 2032 서울-평양 하계올림픽 공동유치 추진, 개최 기대효과 224
3.3. 2032 서울-평양 하계올림픽 공동유치 시 자원봉사자 참여 의향 233
4. 사회적 대화 연관 의제 분석 결과 235
4.1. 한반도 평화?통일 체제 관련 의제 235
4.2. 재난예방, 방역, 보건의료 등 남북협력 관련 의제 241
4.3. 기타 관련 의제 247
4.4. 향후 사회적 대화 우선순위 255
5. 사회적 대화 효과에 대한 평가 258
5.1. 사회적 대화 효과 진술에 대한 동의 258
5.2. 정치적 효능감 265
6. 사회적 대화 토론회에 대한 평가 270
6.1. 사회적 대화 운영에 대한 평가 270
6.2. 학습 지원 사항에 대한 평가 275
6.3. 분임 토의에 대한 평가 281
6.4. 토론회에 대한 만족도 287
7장 교사 설문 조사 결과 297
1.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대한 인식 및 지식 수준 299
1.1. 한반도 평화통일에 대한 관심도 299
1.2. 한반도 통일에 대한 입장 301
1.3. 한반도 평화?통일의 중요도 303
1.4. 한반도 평화?통일 정보에 대한 학습/숙의 수준 205
2. 토론 의제 평가 208
2.1. 한반도 평화?통일 체제 208
2.2. 통일교육의 강조점 312
3. 2032 서울-평양 하계올림픽 공동유치 관련 우려 및 기대 사항 316
3.1. 2032 서울-평양 하계올림픽 공동유치 추진 316
3.2. 2032 서울-평양 하계올림픽 공동유치 우려 사항 318
3.3. 2032 서울-평양 하계올림픽 공동유치 추진, 개최 기대효과 327
3.4. 2032 서울-평양 하계올림픽 공동유치 시 자원봉사자 참여 의향 336
4. 사회적 대화 연관 의제 분석 결과 338
4.1. 한반도 평화?통일 체제 관련 의제 338
4.2. 재난예방, 방역, 보건의료 등 남북협력 관련 의제 342
4.3. 기타 관련 의제 348
4.4. 향후 사회적 대화 우선순위 358
5. 사회적 대화 효과에 대한 평가 361
5.1. 사회적 대화 효과 진술에 대한 동의 361
5.2. 정치적 효능감 368
6. 사회적 대화 토론회에 대한 평가 373
6.1. 사회적 대화 운영에 대한 평가 373
6.2. 학습 지원 사항에 대한 평가 378
6.3. 분임 토의에 대한 평가 384
6.4. 토론회에 대한 만족도 390
8장 제언 399
1. 결과 요약 및 총평 401
2. 2020 사회적 대화 개선방안 406
3. 향후 사회적 대화 운영방안(안) 408
부록 설문지 및 토론회별 녹취록 413
부록1. 사진으로 보는 사회적 대화 415
부록2. 설문지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