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성균관과 반촌

안대회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개인저자안대회 김세호 박현순 정재훈 
서명/저자사항성균관과 반촌 /안대회 ,김세호,박현순 ,정재훈 [외] 저.
발행사항서울:서울역사박물관 조사연구과,2019
형태사항304 p.:삽화, 표;26 cm
총서사항서울기획연구;5
총서부출표목서울기획연구 (서울역사박물관) ;5
ISBN9791190480000
9791186324615 (세트)
비통제주제어성균관,반촌,성균관,조선 시대,전시 도록,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06680 S 911.6 2018-1 v5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106681 S 911.6 2018-1 v5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06680
청구기호
S 911.6 2018-1 v5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106681
청구기호
S 911.6 2018-1 v5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성균관과 반촌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성균관과 반촌

발간사 : 성균관과 반촌 / 송인호

PREFACE : Sungkyunkwan National Academy and Its Surrounding Village, Banchon / Song In-ho

목차
제1장 총론 / 안대회 8
 성균관과 반촌의 위상 9
 18세기의 성균관과 반촌 10
 성균관의 종합적이고 다양한 접근 12
제2장 성균관의 공간과 조영 / 김세호 16
 성균관의 공간과 조영 17
 조선 전기 성균관의 건립 18
 성균관의 완성과 소실 22
 조선 중기 성균관의 복원 27
 조선 후기 성균관의 융성 30
 대성전의 편액과 계성사의 건립 35
 유생들의 공부와 시험 39
 풍류와 휴식의 공간 벽송정 44
 유학생활의 향수를 달랜 망향대 49
 도성 최고의 유상지 송동(宋洞) 53
 송동의 명물들 57
 한적한 마을 흥덕동(興德洞) 61
 동반촌(東泮村)의 사현사(四賢祠) 65
제3장 성균관과 성균관 유생들 / 박현순 70
 성균관의 이상과 현실 속의 성균관 유생 71
 성균관의 입학 자격과 출석제도 73
 성균관 교육의 양대 축을 이루는 강경과 제술 76
 성균관 유생의 활동과 조직화 81
 17세기 성균관의 위기 84
 원점과(圓點科)와 도기과(到記科)의 도입 88
 성균관으로 모이는 유생들 92
 강경과 제술을 둘러싼 이상과 현실 97
 조선의 실재(實才) 상재생(上齋生) 101
 강경의 달인 하재생(下齋生) 106
 시험이 넘쳐나는 성균관 110
 성균관 유생의 하루 114
 상소를 올리지 않는 성균관 유생 120
제4장 성균관과 의례 / 정재훈 126
 국가의례와 성균관의례(문묘의례) 127
  성균관 의례의 종류 129
  성균관 관련 의례의 발전 130
 석전시학례(釋奠視學禮)와 왕세자석전례(王世子釋奠禮) 131
  재계(齊戒) 134
  진설(陳設) 134
  거가출궁(車駕出宮) 136
  성생기(省牲器) 136
  전폐(奠幣) 136
  궤향(饋享) 137
  진찬(進饌) 137
  초헌(初獻) 138
  아헌(亞獻) 138
  종헌(終獻) 139
  음복수조(飮福受?) 139
  철변두(徹?豆) 139
  망예(望?) 139
  시학(視學) 139
  거가환궁(車駕還宮) 140
  재계(齊戒) 143
  진설(陳設) 143
  성생기(省牲器) 144
  출궁(出宮) 144
  전폐(奠幣) 144
  초헌(初獻) 145
  아헌(亞獻) 146
  종헌(終獻) 146
  음복수조(飮福受?) 147
  철변두(徹?豆) 147
  망예(望?) 147
 왕세자입학례(王世子入學禮) 147
  1662년(효종3) 4월 12일 현종의 입학 기사 - 현종동궁일기 149
  『국조보감(國朝寶鑑)』 「입학의(入學儀)」 : 1761년(영조 37) 왕세손(후의 정조)의 입학례 153
  왕세자입학도첩(王世子入學圖帖) 159
 삭망전(朔望奠): 연향례(延享禮)·분향례(焚香禮) 163
  재계(齊戒) 164
  진설(陳設) 164
  작헌(酌獻) 164
 고유제(告由祭): 이안제(移安祭)·환안제(還安祭)·위안제(慰安祭)·예성제(禮成祭) 167
  재계(齊戒) 167
  진설(陳設) 167
  전폐(奠幣) 168
  작헌(酌獻) 168
  철변두(徹?豆) 169
  망예(望?) 169
 대사례(大射禮) 170
 양로례(養老禮) 175
 벽송연(碧松宴) 176
제5장 반촌(泮村)과 반인(泮人) / 안대회 178
 반촌(泮村)과 반인(泮人) 179
 한양의 특수구역 반촌 181
  반촌이란 마을 이름 181
  반촌 형성의 역사 183
  반촌의 영역과 동반촌, 서반촌 186
  반촌은 치외법권이 적용된 특수지역 190
 반인의 성격과 집단거주 194
  안향이 희사한 노비의 후예 195
  개성 이주민의 후예 200
  반인의 집단거주와 반촌의 규모 204
 반인의 성균관 업무 209
  반인의 성균관 직무 210
  수복(守僕)의 위치와 자부심 213
  반인의 대변자 대사성 이정보 215
 반주인(泮主人)의 세계 217
  반주인의 성격과 하는 일 217
  반주인과 유생의 관계 220
 반촌은 지방 출신 유생과 관료의 서울 거점 228
  반촌은 지방 유생의 한양 거점 228
  동호인 모임과 상소의 거점 232
 반촌의 문화적 분위기와 반촌의 문학 235
  반촌의 문화적 분위기 235
  반인과 유생의 문학 교류 237
  『반림영화』의 편찬과 반인의 문학활동 240
  반인과 여항문학의 주요 담당층 247
 반촌을 빛낸 명사 252
  문묘의 신주를 지킨 정신국(鄭信國) 252
  반촌 문화를 바꾼 안광수(安光洙) 254
  반촌 제일의 훈장 정학수(鄭學洙) 256
 근대 이후의 반촌과 반인 261
제6장 반민(泮民)의 경제생활과 현방(懸房) / 조영준 266
 성균관 지킴이: 반민의 역할 267
 성균관 유생의 베이스캠프: 반주인과 하숙 273
 반민의 대표적 특권: 현방 운영 278
 현방 분포의 장기적 추이 283
 현방의 도축 실태 286
 소고기는 성균관 유생의 별미? 290
 현방에게 부과된 의무 291
 반민의 세력 확장: 도성 안팎에서의 이권 다툼 296
 우전(牛廛)과의 갈등 및 향도사(鄕屠肆)의 설치 298
 현방의 설움: 늑매(勒買)라는 폭력 301
판권기 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