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2019) 장애인의 생활예술 활동지원 및 FA역량 개발방안 연구

최선영 책임연구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개인저자최선영 강유선 권은영 성연주 
단체저자명짓거리연구소;
서명/저자사항(2019) 장애인의 생활예술 활동지원 및 FA역량 개발방안 연구 /최선영 책임연구;강유선,권은영,성연주 공동연구.
발행사항서울:서울문화재단,2019
형태사항175 p. :삽화,표;30 cm
일반주기 권말부록: 2019 생활문화지원센터 시설 접근성 체크리스트 ; 장애인의 생활예술 활동 참여를 위한 기초 조사 ; 정보 접근성 관련 일본 자료
비통제주제어장애인,생활예술,FA역량,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08977 S 600.15 2020-2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108978 S 600.15 2020-2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08977
청구기호
S 600.15 2020-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108978
청구기호
S 600.15 2020-2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2019) 장애인의 생활예술 활동지원 및 FA역량 개발방안 연구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제출문

목차
제1장. 연구 개요 13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4
  1) 연구 배경 14
  2) 연구 필요성 15
 2. 연구 내용 및 방법 17
  1) 연구 내용 17
  2) 연구 방법 18
제2장. 서울시 생활문화 활성화 사업과 생활예술 22
 1. 생활예술 활성화 사업의 배경 및 역사 23
  1) 개념의 역사 23
  2) 개념의 구체적 내용 26
 2. 생활예술 지원사업과 지역사회 30
 3. 서울시 생활문화 활성화 사업 32
  1) 서울시 생활문화 활성화 사업 배경 32
  2) 서울시 생활문화 활성화 사업 유형 및 종류 33
제3장. 장애인과 생활예술 38
 1. 장애인의 문화향수 39
  1) 장애와 장애인 39
  2) 장애인 문화향수 관련 개념 41
  3) 장애인 문화향수 관련 선행연구 43
  4)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문화향수 실태 비교 47
 2. 장애인의 삶과 생활예술 50
  1) 장애인의 삶과 기존 생활예술 개념과의 연결 가능성 50
 3. 장애인과 생활예술 관련 접근성 57
  1) 정보 접근성 57
  2) 시설 접근성 58
  3) 경험 접근성 59
제4장. 서울시 생활문화 활성화 사업과 장애인의 참여 62
 1. 생활문화 활성화 사업과 장애인의 참여 접근성 현황 63
  1) 장애인과 생활문화 활성화 사업 63
  2) 생활문화지원센터 시설 접근성 조사 결과 66
  3) 생활예술 활동의 장애인 참여 현황: 생활예술매개자(FA) 설문 결과 75
 2. 생활문화 활성화 사업의 장애인 참여 접근성 개선 방안 91
  1) 사업의 단계적 개선 필요 91
  2) FA 역할 및 역량 개발 94
제5장. 참고사례 96
 1. 국내사례 97
  1) 인포숍카페별꼴 97
  2) 차별없는가게 100
 2. 해외사례 : 일본 105
  1) 와라코 미술관 105
  2) 코코룸 108
 3. 해외사례 : 영국 113
  1) 쉐이프아츠(Shape Arts) 113
 4. 해외사례 : 호주 116
 5. 해외사례 : 미국 119
제6장. 장애인의 생활예술 관련 FA 역량 개발방안 120
 1. 방향성 121
  1) 퍼실리테이팅 방식의 논의 기회 마련 121
  2) 현장조사를 통한 장애인의 사업 참여 가능성 모색 121
  3) 접근성 중심의 사고 전환 121
  4) 정애를 포괄한 문화다양성 및 인권 중심적 접근 121
 2. 프로그램 122
  1) 리서치형 122
  2) 시뮬레이션 기반 강의형 123
  3) 워크숍형 124
  4) 학습모임형 128
제7장. 정책적 제언 130
 1. 생활문화 개념으로의 접근 131
 2. 장애인의 참여가능성을 전제한 생활문화의 개념 확장 131
 3. 생활문화 사업 내 단계적 사업 개선 132
 4. FA의 역량 강화를 위한 주체적 논의 과정 설계 133
 5. 장애인의 사업 참여를 넘어 문화다양성 실현으로 134
참고문헌 135
부록 137
 01 2019 생활문화지원센터 시설 접근성 체크리스트 138
 02 장애인의 생활예술 활동 참여를 위한 기초 조사 146
 03 정보 접근성 관련 일본 자료 151

표 목차
<표 1-1> 전문가 및 활동가 인터뷰 내용 18
<표 1-2> FA 대상 FGI 내용 19
<표 2-1> 생활예술 개념 정의 26
<표 2-2> '비전 2030, 문화시민도시 서울' 목표 32
<표 2-3> 생활예술매개자 구성도 35
<표 2-4> 일상예술활성화 사업 구조 37
<표 3-1> 장애인복지법 상의 유형과 분류 39
<표 3-2> 장애예술인의 정의 42
<표 3-3> 장애 예술 선행연구 목록 43
<표 3-4> 생활예술의 지향점 50
<표 4-1> 생활문화지원센터 시설 접근성 조사 체크리스트 내용 구분 67
<표 4-2> 장애인 시설 접근가능/접근 부분가능 생활문화지원센터 68
<표 4-3> 생활문화지원센터 시설 접근성 조사 결과 요약 72
<표 4-4> 장애인의 생활예술 활동 참여를 위한 기초 조사 온라인 설문 내용 구분 76
<표 4-5> 응답자 경력 구분 77
<표 4-6> 응답자 역할 구분 77
<표 4-7> 응답자의 사업 외 장애인 참여 문화예쑬 활동 종류 78
<표 4-8> 심층 인터뷰 대상자 기본 정보 79
<표 4-9> 장애인의 생활예술 활동 참여를 위한 개선 사항 85
<표 4-10> 장애인 인식 개선 교육 참여 의향 86
<표 4-11> 장애인의 사업 참여 지원을 위한 필요 사항 86
<표 4-12> 정보 접근성의 단계적 개선 방안 91
<표 4-13> 시설 접근성의 단계적 개선 방안 92
<표 4-14> 경험 접근성의 단계적 개선 방안 93
<표 4-15> FA 역량 강화 워크숍 95
<표 5-1> 장애인 예술가 대상 프로그램 113
<표 5-2> 문화예술 기관 대상 프로그램 114
<표 6-1> 프로그램 유형 122
<표 6-2> '다름의 모양' 워크숍 세부안 125
<표 7-1> 단계별 사업 개선안 132

그림 목차
<그림 3-1>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문화예술 행사 관람 실태 47
<그림 3-2>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문화예술 행사 정보 습득 경로 48
<그림 3-3>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문화예쑬 행사 관람시 중요한 기준 49
<그림 3-4> "천만시민 아티스타가 세계시민 생활예술가로!" Action Plan 52
<그림 3-5> 장애인의 생활예술 논의점 55
<그림 3-6> 장애인, 비장애인 관점/입장에서의 생활문화, 예쑬의 관점 55
<그림 4-1> 서울시 생활문화 활성화 사업 참여 형태 64
<그림 4-2> 응답자의 사업 외 장애인 참여 문화예술 활동 경험 78
<그림 4-3> 사업 내 장애인의 활동 참여 목격 경험 80
<그림 4-4> 사업 내 장애인의 활동 참여 형태 81
<그림 4-5> 사업 내 장애인의 활동 참여 종류 81
<그림 4-6> 장애인의 사업 참여 저조 원인 84
<그림 5-1> DIY종이만들기 워크숍 98
<그림 5-2> 진라이브러리 98
<그림 5-3> 미디어아티스트 듀오 '다이애나밴드' 와 함께 한 사운드진 워크숍 99
<그림 5-4> 차별없는가게 약속문과 접근성 아이콘 101
<그림 5-5> 차별없는가게 AAC카페메뉴판 언어치료AAC센터 <사람과 소통> 제작 102
<그림 5-6> 이동식경사로를 설치한 차별없는가게 102
<그림 5-7> 차별없는가게 점자메뉴판과 모뉴먼트 103
<그림 5-8> 고치의 자연재료로 쉽게 소리나는 악기를 만들어 연주해보는 워크숍 106
<그림 5-9> <플림애니메이션x댄스x음악워크숍> 107
<그림 5-10> <가마가사키 예술대학> 110
<그림 5-11> <가마가사키 예술대학> 110
<그림 5-12> 호주 장애인/비장애인의 문화예술 참여 116
<그림 5-13> The Tutti Kids and Youth 2017 showcase 117
<그림 5-14> Rebus Theatre 프로그램 장면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