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새서울 市政 2年 主要 施策資料 :인간적인,한국적인,세계적인 도시

서울特別市 企劃擔當官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단체저자명서울特別市.企劃擔當官편;
서명/저자사항새서울 市政 2年 主要 施策資料:인간적인,한국적인,세계적인 도시 /서울特別市 企劃擔當官 편
발행사항서울:서울特別市 企劃擔當官,2000
형태사항103 p.,30 cm
비통제주제어시정,시책,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032240 S 359.116 2000-53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032240
청구기호
S 359.116 2000-53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새서울 市政 2年 主要 施策資料 :인간적인,한국적인,세계적인 도시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새서울市政」2年 主要 施策資料,2006.6.
차례 2
1. 시민본위의 「열린 시청」으로 행정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저비용?고효율의 경영조직으로 개편하여 「새천년 새서울」시정의 기틀을 마련하였습니다. 8
 1. 시?구청 담장 철거 및 「새서울 민원봉사실」개관 10
 2. 매주 토요일마다 「시민과 시장의 데이트」운영 11
 3. 저비용?고효율의 경영조직으로 시정개혁 단행 13
 4. 외부전분가 영입 및 민간위탁으로 전문경영체제 확립 14
 5. 국내 처음으로 행정서비스 「시민평가제」실시 15
 6. 행정부문에서 최초로 「실?국별 책임경영제」시행 16
 7. 자치단체간의 광역행정 협력체계 구축 17
 8. 지하철 부채 해소를 중심으로 한 「부채관리 종합대책」 추진 18
 9. 주행세 주도적 도입 국고보조금 확대 등 지방재정 확충 19
 10. 정보화시대에 대비하는 정보인프라 구축 20
2. 「시장 판공비」공개, 「민원처리 온라인 공개제도」 개발로 시정이 유리알처럼 투명해졌으며, 부조리 척결을 위한 토대가 구축되었습니다. 22
 11. 시장이 쓰는 판공비, 영수증까지 공개 24
 12. 세계 최초로 「민원처리 온라인 공개시스템」개발 25
 13. 시정의 청렴도, 「반부패지수」 발표 26
 14. 원인요법 ?처벌요법 등 시스템적 접근을 통한 부패방지시스템 구축 27
 15. 시 공무원들의 자정운동인 「클린신고센터」설치 29
3. 생명의 나무 1000만 그루를 심어 서울을 푸른 숲이 우거진 '녹색 도시'로 가꾸고, 깨끗한 물, 맑은 공기를 보전해 나가는 등 환경보전 기반을 구축하였습니다. 30
 16. 「생명의 나무 1000만 그루 심기」 사업 추진 32
 17. 서울의 좌청룡인 「낙산 복원」 사업 추진 34
 18. 「한강수계관리위원회」 구성, 수질검사항목 확대 등 깨끗한 수돗물 공급체계 구축 35
 19. CNG 버스 도입, 먼지 저감 등 「대기질개선 종합대책」 추진 37
 20. 구로구 ?광명시 쓰레기 ?하수처리 환경 빅딜 39
4. 「내부순환로」, 「2기 지하철」 등 서울의 기간교통망이 완성되었으며, 지하철, 버스, 택시 서비스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체계를 확립하였습니다. 40
 21. '도심순환 고속도로 시대'를 연 「내부순환로」 개통 42
 22. 제2기 지하철(6?7호선) 개통으로 선진 지하철망 구축 44
 23. 기간교통망 보안을 위한 「지하철 9호선」, 「강남순환로」 건설 45
 24. 「지하철 환승편의시설」 확충, 「교통카드」 호환사용 등 대중교통 서비스를 획기적으로 개선 46
 25. 간선도로 교통시설 종합개선, 신신호시스템 설치 등 과학적인 교통관리시스템 구축으로 소통문제 해결 48
 26. 교통문제를 현장에서 개선하는 「현장교통처리반」운영 49
 27. 주택가 주차난 해소 및 「조업주차 개선사업」 확대 50
5. 「상암 새천년 신도시」 건설계획 수립, 「새서울 우리 한강」사업 등 생태 및 정보, 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도시개발의 기본틀을 마련하였으며, 서울의 도시환경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가꾸어 나가고 있습니다. 52
 28. 상암 「새천년 신도시(Millennium City)」 건설 54
 29. 자연이 살아 숨쉬고 시민이 즐겨찾는 한강을 만들기 위한 「새서울 우리 한강」 사업 추진 56
 30.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한 「도시계획조례」 제정 57
 31. 도심 곳곳에 「걷고 싶은 거리」 조성 58
 32. 간판, 도로표지판, 공중화장실 등 도시환경을 세계 보편적 기준(Global standard)에 알맞게 개선 59
6. 「수해방지 5개년계획」을 연차별로 차질없이 추진해 오고 있으며, 「서울 종합방재센터」 설립, 「공사실명제」 실시 도시생명선(Life-Line)의 철저한 관리로 도시안전 기반을 구축하였습니다 62
 33. 수해없는 서울 건설을 위한 「수해방지 5개년계획」 추진 64
 34. 시민의 안전파수꾼 「서울 종합방재센터」 설립 65
 35. 119 구조·구급서비스 확대 66
 36. 지하매설물 「공사실명제」, 「GIS 시스템」 구축 등으로 도시안전관리 기반 조성 67
 37. 한강다리 안전관리를 위한 「수중구조물 전문조사팀」 운영 68
 38. 지진에 대비하는 「지진방재연구소」 설립 70
7. IMF 이후 급증한 노숙자 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처해 왔으며, 계층별 수요에 맞는 다양한 복지시책을 펼쳐 시민 복지수준을 한단계 높였습니다. 72
 39. IMF 이후 급증한 노숙자 보호 및 자활대책 적극 추진 74
 40. 화장중심의 「장묘문화 개선사업」추진 75
 41. 청소년 대책의 새 전기, 「청소년보호 특별종합대책」마련 77
 42. 어려운 이웃과 함께하는 「따뜻한 겨울보내기」사업 추진 79
 43. 장애인 편의시설 확충 등 장애인 복지시책 적극 추진 80
 44. 맞벌이 부부의 육아부담을 덜어주는 「방과후 교실」 확충 82
8. 고부가가치의 「서울형 신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다양한 일자리 창출로 실업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처하여 서울 경제가 정상을 되찾아 가고 있습니다 84
 45 소프트웨어, 애니메이션, 패션 등 「서울형 신산업」 전략적 육성 86
 46 유망 중소기업에 창업·자금·기술·판로 지원 88
 47 서울의 투자환경을 개선하여 외국인 투자 적극 유치 90
 48 다양한 일자리 창출로 실업문제에 효율적 대처 91
 49 지하철 파업의 효율적 수습으로 「신노사문화」 정착 93
9. 「미디어 시티 서울」 등 서울을 상징하는 세계적인 문화 축제를 창설하였으며, 서울의 관광경쟁력을 강화하여 문화관광도시 기반을 조성하였습니다. 94
 50. 4대문안 역사·문화탐방로 조성 96
 51. 「미디어-시티 서울」, 「서울 세계드럼페스티벌」 등 서울을 상징하는 세계적인 문화축제 창설 97
 52 서울의 문화유산 복원 및 전통문화행사 재현 98
 53. 「도심순환 시티투어」, 숙박시설 확충 등 관광서비스 기반조성으로 서울의 관광경쟁력 강화 100
 54. 2002년 「메트로폴리스 총회」, 제11차 「국제 반부패회의」 등 대규모 국제회의 유치 102
10. 「2002년 월드컵대회」의 개막식이 열리는 「서울 월드컵경기장」을 아시아 최대규모로 건설중이며, 「밀레니엄 공원」 조성, 「새서울 자원봉사 2002」 운동 등 「문화·환경·시민 월드컵」을 준비해 나가고 있습니다. 104
 55. 아시아 최대규모의 「서울 월드컵경기장」 건설 106
 56. 버려진 난지도의 생태복원 등 「밀레니엄 공원」 조성 108
 57. 월드컵 시민운동 「새서울 자원봉사 2002」 추진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