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신사사거리~고양시계(덕산중~향동동)간 도로개설공사 :종합보고서

서울특별시 건설안전본부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기술용역보고서
서명/저자사항신사사거리~고양시계(덕산중~향동동)간 도로개설공사:종합보고서 /서울특별시 건설안전본부 편.
발행사항서울:서울특별시 건설안전본부,2007
형태사항682 p:삽화,지도,표;30 cm
기타표제종합보고서
일반주기 권말부록 : 1.관계기관 협의 내용 등 수록
비통제주제어신사사거리,고양시계,도로개설공사,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074639 S 534 2013-50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074639
청구기호
S 534 2013-50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신사사거리~고양시계(덕산중~향동동)간 도로개설공사 : 종합보고서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과업의 개요
1.1 과업 목적 17
1.2 과업 범위 17
1.3 과업 내용 18
1.4 과업추진 경위 19
1.5 과업수행 결과 요약 20
 1.5.1 설계기준 20
 1.5.2 장래 교통수요예측 22
 1.5.3 공사개요 23
1.6 성과품 24
제2장 사전조사 및 검토
2.1 관련계획 검토 27
 2.1.1 서울시 도시기본계획(서울특별시, 2006) 27
 2.1.2 서울시 교통정비 기본계획(서울특별시, 2002) 28
 2.1.3 서울시 교통정비 중기기본계획(서울특별시, 2000) 29
2.2 교통관련계획 30
 2.2.1 상위계획 30
 2.2.2 고양시 관련계획 56
 2.2.3 주변 관련계획 67
2.3 측량 74
 2.3.1 현황측량 74
 2.3.2 노선측량 74
 2.3.3 수준측량 75
 2.3.4 도근측량 75
2.4 토질 및 지질조사 79
 2.4.1 조사개요 79
 2.4.2 조사 위치 80
 2.4.3 현장조사 및 실내시험 방법 81
 2.4.4 지반 분류 및 기재 방법 88
 2.4.5 지형 및 지질 94
 2.4.6 지표지질조사 결과 96
 2.4.7 현장조사결과 103
 2.4.8 실내시험 결과 110
 2.4.9 재료원 품질시험 결과 113
 2.4.10 토공성과 분석 114
 2.4.11 재료원 조사결과 120
2.5 구조물조사 124
2.6 용지 및 지장물조사 125
 2.6.1 개요 125
 2.6.2 행정기관 125
 2.6.3 주요 지장물 현황 125
 2.6.4 용지현황 126
제3장 교통수요예측 및 분석
3.1 교통조사개요 및 시설현황 129
 3.1.1 교통조사 개요 129
3.2 교통현황분석 131
 3.2.1 교차로 기하구조 운영 현황 131
 3.2.2 교통량 조사결과 135
 3.2.3 교통현황 분석 결과 136
3.3 과업노선의 기능 138
3.4 교통수요예측 및 시설규모 산정 139
 3.4.1 장래교통수요예측 139
 3.4.2 차로수 산정 140
3.5 주변도로 소통여건 분석 142
제4장 설계기준설정
4.1 일반사항 147
 4.1.1 적용 기준 147
 4.1.2 관련 법규 및 제규정 147
4.2 도로의 구분 및 설계속도 148
 4.2.1 도로의 구분 148
 4.2.2 설계속도 149
4.3 기하구조 150
 4.3.1 평면 곡선반경 150
 4.3.2 평면 곡선의 길이 151
 4.3.3 완화곡선 및 완화구간의 길이 152
 4.3.4 종단선형 155
 4.3.5 본선 및 연결로 기하구조 기준 156
4.4 횡단구성 157
 4.4.1 차로폭 157
 4.4.2 중앙분리대 157
 4.4.3 길어깨 158
 4.4.4 보도 158
 4.4.5 표준횡단구성 159
4.5 횡단경사 167
 4.5.1 평면곡선부의 편경사 167
 4.5.2 길어깨부 167
4.6 터널 설계기준 171
제5장 기본설계 검토
5.1 개요 183
 5.1.1 현황조사 및 분석 183
 5.1.2 중요 검토사항 183
 5.1.3 설계 자문회의 183
5.2 선형계획 184
 5.2.1 과업주변 현황 184
 5.2.2 세부 노선 검토 184
 5.2.3 최적노선 선정 208
5.3 터널계획 210
 5.3.1 선형계획 210
 5.3.2 환기검토 213
 5.3.3 방재설비 230
 5.3.4 터널내 공동구 및 배수구 235
 5.3.5 터널굴착 검토 235
 5.3.6 버력 반출 251
5.4 포장공법 선정 253
 5.4.1 개요 253
 5.4.2 포장의 종류 253
 5.4.3 포장형식 비교 254
 5.4.4 포장공법의 선정 257
5.5 옹벽 형식선정 259
 5.5.1 검토목적 259
 5.5.2 검토 내용 259
 5.5.3 쌓기부 옹벽 형식 비교 259
 5.5.4 구간별 적용방안 264
5.6 기타검토 265
 5.6.1 보도 265
제6장 실시설계
6.1 선형설계 270
 6.1.1 일반사항 270
 6.1.2 평면선형설계 270
 6.1.3 종단선형설계 272
6.2 토공설계 273
 6.2.1 토공량 설계 273
 6.2.2 암발파 설계 273
 6.2.3 토공설계량 279
6.3 배수설계 280
 6.3.1 개요 280
 6.3.2 홍수량 산정 280
6.4 터널설계 285
 6.4.1 터널설계의 기본방향 285
 6.4.2 내공단면 결정 285
 6.4.3 지보패턴 설계 293
 6.4.4 발파설계 310
 6.4.5 암반 분류 및 구간별 지보형식 결정 326
 6.4.6 터널안정성 해석 346
 6.4.7 콘크리트 라이닝 351
 6.4.8 방수 및 배수 353
 6.4.9 갱문설계 363
 6.4.10 터널내장재 368
 6.4.11 계측 369
 6.4.12 공사중 임시설비 380
 6.4.13 터널내부 포장형식 391
 6.4.14 시점부 차수 그라우팅 392
6.5 포장설계 393
 6.5.1 개요 393
 6.5.2 포장의 종류 393
 6.5.3 포장공법의 비교 394
 6.5.4 포장공법 선정기준 398
 6.5.5 포장설계 방법 400
 6.5.6 설계교통하중 401
 6.5.7 동결심도 404
 6.5.8 동결심도 산정 409
 6.5.9 설계 CBR 및 노상지지력 412
 6.5.10 서비스지수(Serviceability Index) 413
 6.5.11 지역계수(Regional Factor : Rf) 414
 6.5.12 포장층 상대강도 계수 414
 6.5.13 포장두께 산정 414
6.6 옹벽설계 420
 6.6.1 개요 420
 6.6.2 옹벽형식 비교검토 420
 6.6.3 옹벽 설치현황 420
6.7 교통안전시설 설계 421
 6.7.1 교통표지판 421
 6.7.2 시선유도표지 424
 6.7.3 노면표시 429
 6.7.4 가드레일 433
 6.7.5 낙석방호시설 438
 6.7.6 가드휀스 439
 6.7.7 충격흡수시설 440
 6.7.8 교통신호기 442
6.8 부대시설 설계 443
 6.8.1 도로 안내 표지판 443
 6.8.2 방호시설 456
 6.8.3 방음벽 457
 6.8.4 세륜세차시설 458
 6.8.5 환경오염방지시설 459
 6.8.6 폐기물 처리 459
6.9 비탈면 설계 460
 6.9.1 검토구간 선정 460
 6.9.2 설계기준 460
 6.9.3 지표지질조사 결과 467
 6.9.4 비탈면 안정성 검토 472
 6.9.5 비탈면 보강공법 478
 6.9.6 비탈면 보호공법 480
6.10 조경설계 484
6.11 전기설계 487
 6.11.1 개요 487
 6.11.2 터널설계 488
제7장 환경성 검토
7.1 사업의 개요 514
 7.1.1 사업의 배경 및 목적 514
 7.1.2 사업내용 514
 7.1.3 사업의 기대효과 514
7.2 지역 개황 515
 7.2.1 토지이용 현황 515
 7.2.2 환경관련 지구·지역 지정 현황 516
 7.2.3 주요 보호대상 시설별 현황 517
 7.2.4 국토환경성 평가도 및 생태자연도 519
7.3 환경성 검토 결과 요약 521
 7.3.1 환경성검토 종합평가 및 결론 521
 7.3.2 환경영향요인 및 저감방안 521
제8장 건설사업비
8.1 공사개요 526
8.2 공사량 526
8.3 공사비 산출기준 527
8.4 사업비 분석 528
제9장 경제성 분석
9.1 분석의 과정 및 접근방법 532
 9.1.1 분석과정 532
 9.1.2 분석기준 533
 9.1.3 분석방법 535
9.2 비용 및 편익의 산출 536
 9.2.1 비용산출 536
 9.2.2 편익산출 538
9.3 경제성분석 결과 547
부록
1. 관계기관 협의내용 552
2. 자문회의 조치결과 582
3. 건설기술심의 검토서 612
4. 경관심의 640
5. 선형계산부 648
6. 참여기술자 명단 6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