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한남대교 하류교 정밀안전진단 및 상류교 정밀안전점검 실태조사 용역 .[1-3] ,요약보고서, 한남대교(하류교)

서울특별시 교량안전과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기술용역보고서
단체저자명서울특별시.교량안전과;
서명/저자사항한남대교 하류교 정밀안전진단 및 상류교 정밀안전점검 실태조사 용역.서울특별시 교량안전과 [편].
발행사항서울:서울특별시 교량안전과,2023
형태사항423 p., (일부접지) :삽화,도표,설계도;30 cm
일반주기 임의권차부여
비통제주제어요약보고서,정밀안전점검,한남대교,정밀안전진단,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21308 S 539.73 2023-6 v1-3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21308
청구기호
S 539.73 2023-6 v1-3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한남대교 하류교 정밀안전진단 및 상류교 정밀안전점검 실태조사 용역 .[1-3] ,요약보고서, 한남대교(하류교)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한남대교 하류교 정밀안전진단 및 상류교 정밀안전점검 실태조사 용역 .[1-3] ,요약보고서, 한남대교(하류교)

제출문

정밀안전진단 결과표

정밀안전진단 실시결과 요약표

현황표

참여 기술자 명단

시설물 위치도

시설물 전경현황

교량별 전경현황

목차

제1장 정밀안전진단 개요
1.1 과업의 목적 30
1.2 과업의 범위 및 내용 30
 1.2.1 과업의 범위 30
 1.2.2 과업수행 기간 30
 1.2.3 과업의 내용 31
1.3 과업수행 일정 32
 1.3.1 과업수행절차 32
 1.3.2 과업수행 일정 33
1.4 대상시설물의 현황 34
 1.4.1 시설물 현황 34
 1.4.2 대상시설물의 사진 36
1.5 사용장비 및 시험기기 현황 44
1.6 교량기호의 정의 46
1.7 참고문헌 47

제2장 자료수집 및 분석
2.1 자료수집 50
 2.1.1 개요 50
 2.1.2 설계도면 52
 2.1.3 구조계산서 검토 53
 2.1.4 유지관리 자료 72
2.2 자료분석 90
 2.2.1 설계/시공/유지관리 요약도 90
 2.2.2 전차 정밀안전진단 결과 요약 90
 2.2.3 내진설계 여부 확인 99
 2.2.4 자료분석 결과 100

제3장 외관조사
3.1 개요 112
 3.1.1 외관조사 항목 및 조사방향 112
 3.1.2 부재제원 확인 114
 3.1.3 외관조사 경간 및 지점 구분 115
 3.1.4 외관조사 기간 및 내용 115
 3.1.5 형하공간 이용 현황 조사 116
3.2 외관조사 결과 117
 3.2.1 본선 부재별 현장조사 117
 3.2.2 램프A 부재별 현장조사 174
 3.2.3 램프C 부재별 현장조사 199
 3.2.4 기타 시설물 현장조사 215
3.3 손상물량 총괄표 223
 3.3.1 본선 손상물량 총괄표 223
 3.3.2 램프A교 손상물량 총괄표 226
 3.3.3 램프C교 손상물량 총괄표 227
 3.3.4 손상물량 증감원인 분석 228

제4장 내구성 조사
4.1 현장시험 232
 4.1.1 개요 232
 4.1.2 콘크리트 압축강도 236
 4.1.3 초음파 전달속도 시험 242
 4.1.4 철근탐사 시험 결과 246
 4.1.5 탄산화 깊이 측정 시험 결과 250
 4.1.6 염화물 함유량 시험 253
 4.1.7 균열깊이 측정 시험 255
 4.1.8 강재 초음파 탐상 시험 255
 4.1.9 강재 도막두께 측정 시험 257
 4.1.10 현장시험 결과 259

제5장 시설물의 상태평가 및 종합평가
5.1 상태평가 기준 262
 5.1.1 부재별 상태평가 적용 범위 262
5.2 상태평가 결과 263
 5.2.1 구조물별 상태평가 결과 263
 5.2.2 전체 교량 상태평가 결과 267
 5.2.3 기 점검결과 비교·분석 268
 5.2.4 공중이 이용하는 부위의 상태평가 271
5.3 종합평가 및 안전등급지정 273
 5.3.1 종합평가 273
 5.3.2 안전등급지정 273

제6장 안정성평가
6.1 개요 276
 6.1.1 구조물의 개요 276
 6.1.2 구조해석 방법 276
 6.1.3 설계기준 277
 6.1.4 설계 상수 비교 278
6.2 NM01 강판형 거더교 안전성 검토 279
 6.2.1 모델링 279
 6.2.2 전산 해석 결과 280
 6.2.3 거더 안전성 검토 282
 6.2.4 검토 결과 283
6.3 NM06 강박스 거더교 안전성 검토 284
 6.3.1 모델링 284
 6.3.2 전산 해석 결과 285
 6.3.3 거더 안전성 검토 288
 6.3.4 검토 결과 289
6.4 NM06 강박스 거더교 안전성 검토 290
 6.4.1 모델링 290
 6.4.2 전산 해석 결과 290
 6.4.3 거더 안전성 검토 292
 6.4.4 검토 결과 292
6.5 RAMP-A2 강판형 거더교 안전성 검토 293
 6.5.1 모델링 293
 6.5.2 전산 해석 결과 293
 6.5.3 거더 안전성 검토 295
 6.5.4 검토 결과 295
6.6 하부구조 안전성 검토 296
 6.6.1 세굴심 검토 296
 6.6.2 교각(P14) 검토 297
6.7 재하시험 306
 6.7.1 개요 306
 6.7.2 재하시험 계획 309
 6.7.3 1경간(Steel Plate Girder) 314
 6.7.4 14~15경간(STeel box Girder) 324
6.8 내하력평가 337
 6.8.1 개요 337
 6.8.2 강판형 거더교(NM01)의 내하력 평가 339
 6.8.3 강박스 거더교(NM06)의 내하력 평가 341
6.9 안전성 평가 결과 344
 6.9.1 안전성 평가기준 344
 6.9.2 NM01 강판형 거더교의 안전성 평가 345
 6.9.3 NM06 강박스 거더교의 안전성 평가 346
 6.9.4 하부구조(P14)의 안전성 평가 347
 6.9.5 기진단 결과와 안전성 및 내하력평가 비교 검토 348

제7장 내진성능평가
7.1 일반사항 352
 7.1.1 내진 성능 평가 개요 352
 7.1.2 내진 성능 기준 353
 7.2.2 고정하중 해석에 의한 축하중 산정 360
 7.2.3 교각 단면해석 364
 7.2.4 고유치 해석 결과 366
 7.2.5 내진 성능 평가 결과 382
7.3 준공당시 내진 성능 평가 결과 394
 7.3.1 교대1 내진성능 평가 결과 394
 7.3.2 교각1 내진성능 평가 결과 394
 7.3.3 교각2 내진성능 평가 결과 396
 7.3.4 교각3 내진성능 평가 결과 397
 7.3.5 교각5 내진성능 평가 결과 397
 7.3.6 교각8 내진성능 평가 결과 398
 7.3.7 교각11 내진성능 평가 결과 399
 7.3.8 교각14 내진성능 평가 결과 399
 7.3.9 교각17 내진성능 평가 결과 400
 7.3.10 교각 PA-2 내진성능 평가 결과 401
 7.3.11 교각 PA-6 내진성능 평가 결과 402
 7.3.12 전단키(낙교방지책) 검토 403
7.4 준공당시 기준과 최신기준 검토결과 404

제8장 보수ㆍ보강 및 유지관리 방안
8.1. 개요 408
8.2. 일반 보수ㆍ보강 방안 408
 8.2.1. 보수·보강 방안 수립에 따른 검토사항 408
 8.2.2. 결함내용별 보수ㆍ보강 방안 413
8.3. 개략공사비 417
 8.3.1. 본교 개략공사비 417
 8.3.2. 램프-A 개략공사비 420
 8.3.3. 램프-C 개략공사비 422
 8.3.4. 순위별 개략공사비 424
8.4. 유지관리 방안 425
 8.4.1. 개요 425
 8.4.2 주요 손상별 유지관리 사항 425

제9장 종합결론
9.1. 개요 434
9.2. 정밀안전진단 실시결과의 종합결론 434
 9.2.1. 본선 434
 9.2.2. 램프 A 현장조사 결과 439
 9.2.3. 램프 C 현장조사 결과 443
 9.2.4. 기타 시설물 445
 9.2.5. 현장시험 결과 447
 9.2.6. 상태평가 결과 447
 9.2.7. 안전성평가 결과 448
 9.2.8. 내진성능평가 결과 448
 9.2.9. 종합평가 및 안전등급 지정 449
 9.2.10. 종합결론 450
 9.2.11. 정밀안전진단 및 시설물의 사용제한의 필요성 여부 450
 9.2.12. 유지관리시 특별한 관리가 요구되는 사항 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