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서울특별시 빗물관리 기본계획(보완) : 빗물관리시설 설치 기본계획

서울특별시 물관리정책과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기술용역보고서
단체저자명서울특별시.물관리정책과;
서명/저자사항서울특별시 빗물관리 기본계획(보완):빗물관리시설 설치 기본계획 /서울특별시 물관리정책과 [편].
발행사항서울:서울특별시 물관리정책과,2013
형태사항575 p.:표;30 cm
기타표제빗물관리시설 설치 기본계획
비통제주제어빗물관리,물관리,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075371 S 537.42 2013-2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075372 S 537.42 2013-2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075371
청구기호
S 537.42 2013-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075372
청구기호
S 537.42 2013-2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특별시 빗물관리 기본계획(보완) : 빗물관리시설 설치 기본계획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서울특별시 빗물관리 기본계획(보완) : 빗물관리시설 설치 기본계획

제출문

목차

표차례

그림차례

제1장 계획의 개요
1. 배경 및 목적 26
 1.1 계획수립의 배경 26
 1.2 계획수립의 목적 26
 1.3 계획의 위상 27
2. 범위 및 내용 27
 2.1 계획의 범위 27
 2.2 주요 내용 28
3. 추진 현황 31

제2장 물환경 회복을 위한 빗물관리
1. 물환경 및 물순환 개요 33
 1.1 도시화로 인한 물환경 변화 33
 1.2 빗물관리의 필요성 및 어려움 34
 1.3 주요 개념 및 용어 정리 37
2. 서울시 물환경 및 빗물관리 현황 43
 2.1 국내 기후변화 현황 43
 2.2 서울시 물환경 변화 47
 2.3 서울시 물환경 문제점 60
 2.4 서울시 빗물관리시설 이용현황 및 문제점 66
3. 관련 자료 검토 및 적용방안 74
 3.1 관련 계획 74
 3.2 관련계획 적용방안 78
4. 빗물관리 관련 법률 검토 및 적용 79
 4.1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79
 4.2 빗물관리와 연관된 법률 103
 4.3 서울시 빗물관리 조례 및 지침 114
 4.4 관련 법률 적용방안 121
5. 국내·외 빗물관리 동향 및 개선방안 125
 5.1 세계 각국의 빗물관리 정책 사례 125
 5.2 국내 빗물관리시설 동향 167
6. 국내·외 빗물관리시설 설치 사례 170
 6.1 세계 각국의 녹색도시 프로젝트에서의 물관리 사례 170
 6.2 세계 각국의 빗물관리시설 적용사례 178
 6.3 세계 각국 빗물관리 체계 주요 시사점 207

제3장 계획수립을 위한 기초조사
1. 기초조사 개요 211
 1.1 조사 목적 211
 1.2 대상 범위 211
 1.3 조사 내용 212
2. 인문·사회 현황 213
 2.1 행정구역 213
 2.2 인구 현황 216
 2.3 주택 현황 217
3. 자연환경 현황 219
 3.1 지형 현황 219
 3.2 지질 현황 222
 3.3 토지이용 현황 224
4. 수리·수문 현황 227
 4.1 하천 현황 227
 4.2 배수구역 및 배수분구 현황 230
 4.3 하수관거 현황 238
5. 포화투수계수 239
 5.1 산정 개요 239
 5.2 산정 방법 239
 5.3 산정 결과 및 적용 241

제4장 물순환 분석
1. 물순환 분석 249
 1.1 물순환 분석 방법 249
 1.2 물순환 분석 방법의 적용 및 결과 273
2. 결과에 따른 대안 강구 289
 2.1 대안 방향 289

제5장 빗물관리시설 설치 기본계획
1. 계획수립 개요 293
 1.1 빗물관리시설 설치 기본방향 293
 1.2 빗물관리 목표 295
 1.3 계획 수립 절차 및 주요내용 297
 1.4 계획 수립 시 주요 고려사항 298
2. 빗물관리방안 설정 299
 2.1 대상지별 관리방안 299
 2.2 통합관리방안 300
 2.3 관리방안의 설정 301
3. 빗물관리필요량 303
 3.1 관리목표 설정 305
 3.2 빗물관리필요량 산정 306
4. 빗물관리대책량 359
 4.1 시설분류별 빗물분담량 산정 359
 4.2 빗물관리대책량 산정 373
 4.3 적용성 검토 386
5. 빗물관리시설 설치 사업의 시행 406
 5.1 분산식 빗물관리 406
 5.2 빗물이용시설의 설치 414
 5.3 빗물침투시설의 설치 422
 5.4 사업시행 방법 446

제6장 사업 시행계획 및 효과분석
1. 경제성 분석 465
 1.1 빗물관리시설 보급방안 465
 1.2 경제성 분석 방법 466
 1.3 빗물이용시설의 경제성 분석 471
2. 사업 시행계획 498
 2.1 빗물관리시설 설치 추진계획 498
 2.2 빗물관리시설 설치 소요예산 507
 2.3 재원조달 방안 519
3. 관련제도 개선 및 지원방안 521
 3.1 서울시 조례 및 지침의 개정방향 521
 3.2 서울시 빗물관리 정책 개선방안 525
4. 설치 효과 분석 527
 4.1 개요 527
 4.2 직접유출량 감소 효과 529
 4.3 하천유지유량 증가 효과 536
 4.4 도시열섬화 완화 효과 537
 4.5 오염부하량 저감 효과 540
 4.6 물순환 복원 및 생태복원 효과 549
 4.7 빗물관리시설의 치수효과 553

제7장 결론 및 제언
1. 결론 578
 1.1 과업의 범위와 목적 578
 1.2 빗물관리계획 578
 1.3 빗물관리시설 설치 종합계획 579
 1.4 빗물관리시설 설치 세부계획 579
2. 제언 581
 2.1 물순환 변화 범위 581
 2.2 빗물관리시설의 관리 581
 2.3 추진계획 및 필요예산 582
 2.4 사업시행 데이터베이스 관리 582

제8장 기타 사항
1. 심의 585
2. 참여기술자 명단 594
 2.1 빗물관리시설 설치 기본계획 용역 594
 2.2 빗물관리시설 설치 기본계획(2단계) 용역 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