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성인발달장애인 자립생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성인발달장애인과 가족의 욕구 및 복지관 사업 현황을 중심으로

서울시복지재단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단체저자명서울시복지재단;
서명/저자사항성인발달장애인 자립생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성인발달장애인과 가족의 욕구 및 복지관 사업 현황을 중심으로 /서울시복지재단 [편].
발행사항서울:서울시복지재단,2016
형태사항226 p.:표;26 cm
총서사항서울시복지재단;2016-46
ISBN9788962984286
서지주기참고문헌수록
비통제주제어성인발달장애,발달장애인,자립생활 프로그램,프로그램 개발,복지관 사업,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093347 S 338.15 2014-2 v2016-46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093348 S 338.15 2014-2 v2016-46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093347
청구기호
S 338.15 2014-2 v2016-46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093348
청구기호
S 338.15 2014-2 v2016-46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성인발달장애인 자립생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성인발달장애인과 가족의 욕구 및 복지관 사업 현황을 중심으로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표지

목차
제1장 서론 14
 1. 연구의 필요성, 연구목적 및 연구목표 15
 2. 연구개요와 제한점 17
제2장 이론적 배경 21
 1. 발달장애 개념 22
 2. 장애인 자립생활과 삶의 질 25
 3.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자립역량강화 프로그램: 문헌 및 해외사례 연구 31
제3장 연구방법 70
 1. 초점집단인터뷰 조사 방법 71
 2. 장애인복지관 사업 현황조사 방법 76
 3. 장애인복지 현장전문가 인식조사 방법 79
제4장 성인발달장애인의 욕구: FGI 분석결과 84
 1. 성인발달장애인의 욕구: 가족의 관점 86
 2. 성인발달장애인 욕구: 현장전문가의 관점 119
제5장 장애인복지관 사업 현황 139
 1. 장애인복지관의 일반적 현황 141
 2. 역량강화 및 권익옹호지원 사업 현황 149
 3. 기능강화지원 사업 현황 168
 4. 직업지원 및 사회서비스 지원 사업 현황 171
 5. 지역사회네트워크 및 문화여가지원 사업 현황 177
 6. 장애인가족지원 사업 현황 189
제6장 장애인복지 현장전문가 인식 199
 1. 성인발달장애인의 욕구에 대한 전문가 인식 201
 2. 장애인복지관과 서비스에 대한 전문가 인식 210
 3. 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사항에 대한 전문가 인식 216
제7장 제언 236
 1. 프로그램의 내용 차원 238
 2. 프로그램 운영과 전달 차원 253
참고문헌 258

표 목차
<표 Ⅱ-1> 삶의 질의 하위차원에 대한 주요 선행연구 결과 정리 29
<표 Ⅱ-2> 증거기반실천 과정 35
<표 Ⅱ-3> 일상생활기술의 하위범주 및 항목 38
<표 Ⅱ-4> SNAP의 자립생활기술영역의 범주와 구체적 이슈의 예 45
<표 Ⅱ-5> 자해 및 공격적 행동과 기능적 의사소통 행동의 예 58
<표 Ⅲ-1> 초점집단인터뷰 참여자의 인구학적 특성 74
<표 Ⅲ-2> 장애인복지관 사업 현황 조사 응답자 특성 78
<표 Ⅲ-3> 전문가인식조사 응답자 특성 81
<표 Ⅳ-1> 성인발달장애인 자녀에 대한 인구학적 특성 87
<표 V-1> 운영법인 종교 141
<표 V-2> 운영 기간(2016년 11월 기준) 141
<표 V-3> 전체 서비스 이용자 수 142
<표 V-4> 장애인 서비스 이용자 및 성인발달장애인 이용자 수 143
<표 V-5> 성인발달장애인 서비스 이용자 성별 분포 144
<표 V-6> 전체 직원 수 145
<표 V-7> 장애인 직원 수 145
<표 V-8> 계약직 직원 수 146
<표 V-9> 자원봉사동아리 및 봉사단 유무 146
<표 V-10> 사례관리 대상자 현황 148
<표 V-11> 지역사회통합사례회의 빈도 149
<표 V-12> 동료상담: 성인발달장애인 비율 150
<표 V-13> 자조모임: 성인발달장애인이 참여한 자조모임 수 151
<표 V-14> 자조모임: 성인발달장애인으로만 구성된 자조모임 수 151
<표 V-15> 재능개발지원: 성인발달장애인 대상 여부 152
<표 V-16> 성인발달장애인 대상의 재능개발사업 개수 152
<표 V-17> 독립주거생활훈련(체험홈): 성인발달장애인 참여인원 수 154
<표 V-18> 성인발달장애인 대상 일상생활훈련 프로그램 수 154
<표 V-19> 일상생활훈련 프로그램: 성인발달장애인 참여 비율, 기간, 개별화 수준 156
<표 V-20> 성인발달장애인 대상 자기결정·주장훈련 프로그램 수 157
<표 V-21> 자기결정·주장훈련 프로그램: 성인발달장애인 참여 비율, 기간,개별화 수준 159
<표 V-22> 성인발달장애인 대상 안전 및 위험 교육 수 159
<표 V-23> 안전 및 위험 교육: 성인발달장애인 참여 비율, 기간, 개별화 수준 161
<표 V-24> 성인발달장애인 대상 개인관리 교육 수 162
<표 V-25> 개인관리 교육: 성인발달장애인 참여 비율, 기간, 개별화 수준 163
<표 V-26> 사회활동정보지원: 성인발달장애인 대상 사업여부 및 사업 수 165
<표 V-27> 개별 권익옹호서비스: 성인발달장애인 참여인원 수 167
<표 V-28> 기능강화지원서비스 제공 현황 168
<표 V-29> 기능강화지원서비스 대기자 여부 및 평균 대기기간 171
<표 V-30> 직업상담 및 평가 (실인원) 172
<표 V-31> 직업상담 및 평가 (건수) 173
<표 V-32> 직업적응 및 성인기의 고용지원사업의 성인발달장애인 참여인원 수 174
<표 V-33> 일자리 지원사업 성인발달장애인 참여인원 수 176
<표 V-34>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 성인발달장애인 이용자 수 176
<표 V-35> 위생관리서비스: 성인발달장애인 대상 서비스 실시 여부 179
<표 V-36> 성인발달장애인 대상 위생관리서비스 수 179
<표 V-37> 심리·정서지원 서비스: 성인발달장애인 제공인원 수 181
<표 V-38> 협력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공공기관 수 181
<표 V-39> 협력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유관복지기관 수 182
<표 V-40> 협력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민간기관 수 182
<표 V-41> 평생교육 사업 대상자 중 성인발달장애인 수 188
<표 V-42> 평생교육차원 낮활동지원 서비스 대상자 중 성인발달장애인 수 188
<표 V-43>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과정(전공과) 운영 과정 189
<표 V-44> 가족지원정보제공 및 전문상담: 발달장애인 가족대상 비율 190
<표 V-45> 가족 교육: 발달장애인 가족대상 비율 192
<표 V-46> 가족역량강화지원: 성인발달장애인 가족 참여 여부 193
<표 V-47> 가족역량강화지원: 발달장애인 가족 대상 사업 수 193
<표 V-48> 가족휴식지원: 성인발달장애인 가족 대상 사업 수 196
<표 V-49> 가족위기/긴급상황대응: 성인발달장애인 대상 여부 197
<표 V-50> 가족위기/긴급상황대응: 발달장애인 가족 대상 사업 수 197
<표 Ⅵ-1> 삶의 질 영역별 욕구수준 201
<표 Ⅵ-2> 삶의 질 영역별 욕구충족 수준 203
<표 Ⅵ-3> 일상생활기술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 206
<표 Ⅵ-4> 일상생활기술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 208
<표 Ⅵ-5> 장애인복지관의 프로그램 개발 역량 210
<표 Ⅵ-6> 서비스제공양식 현황 및 적절성 213
<표 Ⅵ-7> 개입유형 현황 및 효과성 215
<표 Ⅵ-8> 발달장애인 인구집단 내 상대적 소외계층 217
<표 Ⅵ-9> 대변자로서의 가족에 대한 고려 220
<표 Ⅵ-10> 건강증진 관련 프로그램 개발 저해요인 222
<표 Ⅵ-11> 물질적 안녕 증진 프로그램 개발 저해요인 223
<표 Ⅵ-12> 주거복지 증진 프로그램 개발 저해요인 224
<표 Ⅵ-13> 생산적 활동 및 발달 증진 프로그램 개발 저해요인 225
<표 Ⅵ-14> 사회적 안녕 증진 프로그램 개발 저해요인 226
<표 Ⅵ-15> 심리 · 정서적 안녕 증진 프로그램 개발 저해요인 227
<표 Ⅵ-16> 프로그램 활성화 선결조건에 대한 고려 228

그림 목차
[그림 I-1] 연구개요 19
[그림 Ⅱ-1] 증거기반실천 모델 32
[그림 Ⅲ-1] 성인발달장애인 사업 및 프로그램 참여경험(모두 선택) 83
[그림 Ⅳ-1] 성인발달장애인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127
[그림 Ⅳ-2] 자립생활에 필요한 6가지 영역 131
[그림 Ⅳ-3] 자립생활을 위해 개입이 요구되는 영역 131
[그림 V-1] 전체 서비스이용자 중 성인발달장애인 비율 143
[그림 V-2] 전체 서비스이용자 중 성인발달장애인 비율 144
[그림 V-3] 자원봉사동아리 및 봉사단 참여여부 147
[그림 V-4] 동료상담 방법 150
[그림 V-5] 재능개발지원: 사업 내용 153
[그림 V-6] 일상생활훈련 프로그램: 개입방법 155
[그림 V-7] 자기결정·주장훈련 프로그램: 개입방법 158
[그림 V-8] 안전 및 위험 교육: 개입방법 160
[그림 V-9] 개인관리 교육: 개입방법 162
[그림 V-10] 장애인정보화교육: 교육내용 164
[그림 V-11] 사회활동정보지원: 사업내용 166
[그림 V-12] 예방적·일상적 권익옹호: 사업 내용 167
[그림 V-13] 직업적응 및 성인기 고용지원사업의 성인발달장애인 참여인원 수 175
[그림 V-14] 장애발생예방 및 인식개선: 사업내용 177
[그림 V-15] 일상생활지원 서비스: 서비스 내용 178
[그림 V-16] 일상생활지원 서비스: 서비스 내용 180
[그림 V-17] 성인발달장애인이 참여한 건강/보건/의료 서비스 183
[그림 V-18] 스포츠, 댄스 및 각종 184
[그림 V-19] 미술활동 개수 184
[그림 V-20] 음악활동 수 185
[그림 V-21] 각종 공연 및 185
[그림 V-22] 나들이, 소풍, 186
[그림 V-23] 체육, 문화, 예술 활동이 혼합된 프로그램 수 186
[그림 V-24] 국내·해외여행(1박 이상) 프로그램 개수 187
[그림 V-25] 문화 및 스포츠 시설 운영 여부 187
[그림 V-26] 가족지원정보제공 및 전문상담: 상담 방법 190
[그림 V-27] 가족지원정보제공 및 전문상담: 상담 주제 191
[그림 V-28] 가족교육: 교육 방법 192
[그림 V-29] 가족역량강화지원: 사업 내용 194
[그림 V-30] 가족역량강화지원: 개입방법 195
[그림 V-31] 가족역량강화지원: 성인발달장애인 가족 비율 및 기간 196
[그림 V-32] 가족위기/긴급상황대응: 사업 내용 198
[그림 Ⅵ-1] 삶의 질 영역별 욕구 및 욕구충족 수준 205
[그림 Ⅵ-2] 삶의 질 영역별 초기 성인기(20∼30대) 발달장애인 욕구수준 218
[그림 Ⅵ-3] 삶의 질 영역별 중고령기(40세 이상) 발달장애인의 욕구수준 219
[그림 Ⅵ-4] 프로그램 활성화 선결조건에 대한 고려 230
[그림 Ⅵ-5] 가치, 윤리 및 이론적 관점 영역에서의 역량 231
[그림 Ⅵ-6] 사정 및 평가 영역에서의 역량 232
[그림 Ⅵ-7] 개입활동 영역에서의 역량 233
[그림 Ⅵ-8] 서비스, 프로그램 및 정책 영역에서의 역량 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