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서울동행프로젝트 환경분석을 통한) 운영전략 수립 연구보고서

서울시자원봉사센터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단체저자명서울시자원봉사센터;
서명/저자사항(서울동행프로젝트 환경분석을 통한) 운영전략 수립 연구보고서 /서울시자원봉사센터 [편].
발행사항서울:서울시자원봉사센터:서울특별시:서울특별시교육청 ,2017
형태사항157 p.:표;30 cm
일반주기 권말부록수록: 별첨
서지주기참고문헌수록
비통제주제어서울동행프로젝트,환경분석,운영전략,연구보고서,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097317 S 334.14 2017-2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097318 S 334.14 2017-2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097317
청구기호
S 334.14 2017-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097318
청구기호
S 334.14 2017-2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동행프로젝트 환경분석을 통한) 운영전략 수립 연구보고서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표제지

목차
요약 11
I. 서론 30
 1. 연구 목적과 필요성 30
  1-1. 연구의 필요성 30
  1-2. 연구 목적 30
 2. 연구 내용과 사업 추진 체계 31
  2-1. 연구내용 31
  2-2. 사업 추진 전략 및 체계 32
 3. 연구 방법 33
 4. 기대효과 36
II. 서울동행프로젝트 현황 분석 37
 1. 서울동행프로젝트 참여 현황 37
  1-1. 서울동행프로젝트 대학생 참여 추세 변화 37
  1-2. 서울동행프로젝트 수혜기관(수혜자) 참여 추세 변화 40
  1-3. 서울동행프로젝트 분야별 참여 추세 변화 40
  1-4. 소결 42
 2. 서울동행프로젝트 운영 현황 42
  2-1. 프로젝트 운영개요 42
  2-2. 담당조직 현황 43
  2-3. 소결_주요 특징 요약 45
III. 서울동행프로젝트 외부 환경 변화 분석 46
 1.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 46
  1-1. 인구 구조 변화 46
  1-2. 과학 기술과 산업 구조의 변화 52
  1-3. 청년 노동 시장 변화 60
  1-4. 사회 불평등과 교육복지 정책 66
 2. 교육 환경 변화 69
  2.1.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의 전환 69
  2.2. 진로 및 직업교육의 중요성 확대 72
  2-3. 대학생 대외활동 참여 추세 변화 73
  2-4. 정보통신기술에 기초한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환경 구축 가속화 75
  2.5. 동행 프로젝트에의 함의 77
 3. 동행 유사 프로그램 현황 78
  3-1. 역사적 사례 1: 미국국가봉사단(Americorps) 78
  3-2. 역사적 사례 2: 학생사회개발단 79
  3-3. 최근 사례 1: 티치 포 아메리카(Teach For America, TFA) 79
  3-4. 최근 사례 2: 한양대학교 사회봉사 사회혁신센터 80
  3-5. 최근 사례 3: 한국장학재단 교육근로장학사업 81
  3-6. 최근 사례 4: 기업의 대학생-청소년 멘토링 프로그램 83
  3-7. 최근 사례 5: 자치구청의 대학생 멘토링 사업 84
 4. 대학생 사회참여 관련 정책 현황 85
  4-1. 정부의 정책현황 85
  4-2. 서울시의 정책현황 86
  4-3. 정책현황의 시사점 87
IV. 서울동행프로젝트 개선 전략 도출 88
 1. 서울시동행프로젝트 이해관계자 의견 조사 88
  1-1. 이해관계자 및 전문가 인터뷰 결과 88
  1-2. 이해관계자 설문조사 105
 2. 대학생 자원봉사 참여 감소 원인 128
 3. 서울동행프로젝트 SWOT 분석 129
  3-1. 외부환경 분석 129
  3-2. 내부역량 분석 130
  3-3. SWOT 분석 131
  3-4. 전략 기획 시나리오 도출 132
 4. 이해관계자 시나리오 워크숍 결과 134
  4-1. 목적 및 주요 내용 134
  4-2. 진행방법 135
  4-3. 이해관계자 워크숍 결과 135
V. 동행 프로젝트 발전전략 제안 145
 1. 전략방향 145
  1-1. 개요 145
 2. 발전전략 제안 146
  2-1. 운영체계 146
  2-2. 프로그램 147
  2-3. 이해관계자 148
  2-4. 사회적 위상 149
참고문헌 151
별첨 154
 별첨 1] 동행 프로젝트 현황 기초 통계 156
  (1) 동행 프로그램별 봉사자 수 추이(2009년~2017년) 156
  (2) 동행 프로그램별 수혜학생 수 추이(2009년~2017년) 157
  (3) 교과목 학습지도 프로그램 수요처별 봉사자 수 추이(2009년~2017년) 158
  (4) 봉사자 출신 학교 추이(2009년~2017년) 159
  (5) 봉사자 출신 학과 추이(2009년~2017년) 163
  (6) 주요 학교별 봉사자 증감 추이(2013년~2017년) 164
  (7) 지역구별 봉사자 현황 및 증감 추이(2010년~2017년) 165
  (8) 봉사자 만족도 추이(2012년~2017년) 166
  (9) 봉사자 지원동기 추이(2011년~2017년) 167
  (10) 봉사자 지원 경로 추이(2013년~2017년) 168
  (11) 지역구별 수혜학생 수 추이(2009년~2017년) 169
  (12) 저소득층 수혜학생 수 추이(2013년~2017년) 171
  (13) 수혜학생 만족도 추이(2011년~2016년) 172
 별첨 2] 대학생 설문지 173
 별첨 3] 수혜기관 담당자 설문지 178
 별첨 4] 대학 사회봉사 담당자 설문 183
 별첨 5] 시나리오 워크숍 활동지 186
판권기 187

표목차
〈표 I-1〉 사업 추진 일정 33
〈표 II-1〉 전체 봉사자 수 37
〈표 II-2〉 출신학교 및 봉사자 수 37
〈표 II-3〉 전공별 분포: 교육 관련 전공 및 비교육 관련 전공 비교 39
〈표 II-4〉 봉사자 출신 상위 10위학과 39
〈표 II-5〉 프로그램별 봉사자 수 41
〈표 III-1〉 학령인구의 변화 49
〈표 III-2〉 산업혁명 과정 비교 54
〈표 III-3〉 직업적인 핵심역량의 중요도 변화 70
〈표 III-4〉 20대가 선호하는 모바일 검색 서비스 76
〈표 III-5〉 콘텐츠 형식별 완독비율 및 적정 길이 77
〈표 IV-1〉 대학교 사회봉사 담당자의 일반적 특성 109
〈표 IV-2〉 참여대학생들의 대외활동 선택 기준 110
〈표 IV-3〉 동행 프로젝트의 목표 달성 수준 112
〈표 IV-4〉 동행 프로젝트의 운영 만족도 112
〈표 IV-5〉 동행 프로젝트의 장점 112
〈표 IV-6〉 교육전공 여부에 따른 동행 프로젝트 장점 인식 비교 113
〈표 IV-7〉 동행 프로젝트에서 지속참여 방해 요인 113
〈표 IV-8〉 교육 전공 여부에 따른 지속 참여 방해 요인 응답 비교 114
〈표 IV-9〉 동행 프로젝트 참여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 114
〈표 IV-10〉 교육전공 여부에 따른 동행 프로젝트 참여활성화 요인 비교 114
〈표 IV-11〉 동행 프로젝트에서 확대운영이 필요한 영역 115
〈표 IV-12〉 교육전공 여부에 따른 동행 프로젝트 확대 운영 필요 영역 비교 115
〈표 IV-13〉 동행 프로젝트 참여의 유익성과 의미 116
〈표 IV-14〉 교육전공 여부에 따른 동행 프로젝트의 유익성과 의미 비교 116
〈표 IV-15〉 동행 프로젝트의 바람직한 가치 지향 요인 116
〈표 IV-16〉 교육전공 여부에 따른 동행 프로젝트 가치 지향 인식 비교 117
〈표 IV-17〉 개선점(괄호 안의 숫자는 빈도임) 118
〈표 IV-18〉 수혜기관 담당자들의 동행 프로젝트 목표 달성 수준 인식 119
〈표 IV-19〉 수혜기관 담당자들의 동행 프로젝트 운영 평가 119
〈표 IV-20〉 수혜기관 관계자들의 관심과 인지도 수준 120
〈표 IV-21〉 수혜기관 담당자가 느끼는 동행 프로젝트 참여시 어려운 점 120
〈표 IV-22〉 동행 프로젝트에서 확대운영이 필요한 영역 121
〈표 IV-23〉 참여대학생들이 더 갖추어야 할 역량 요소 121
〈표 IV-24〉 동행 프로젝트 참여의 유익성과 의미 요인 122
〈표 IV-25〉 동행 프로젝트의 가치 지향 요인 122
〈표 IV-26〉 개선점(괄호 안의 숫자는 빈도임) 123
〈표 IV-27〉 대학 사회봉사 담당자들이 인식한 동행 프로젝트 목표 달성 수준 124
〈표 IV-28〉 동행 프로젝트 운영 절차에 대한 평가 124
〈표 IV-29〉 대학관계자들의 동행 프로젝트 관심과 인지도 수준 124
〈표 IV-30〉 참여대학생에게 필요한 역량 요소 125
〈표 IV-31〉 동행 프로젝트 참여의 유익성과 의미 125
〈표 IV-32〉 동행 프로젝트의 가치 지향 요인 126
〈표 IV-33〉 개선점(괄호 안의 숫자는 빈도임) 126
〈표 IV-34〉 동행 프로젝트의 목표 달성 수준: 세 집단 비교 126

그림목차
[그림 I-1] 사업 추진 체계 32
[그림 II-1] 주요 학교 봉사자 증감 추이 38
[그림 II-2] 최근 5년간 지역구 수혜학생 증감 추이 40
[그림 III-1] 서울시 인구피라미드의 변화(1980, 2015) 47
[그림 III-2] 행정동별 유소년 인구 분포 48
[그림 III-3] 산업별 취업자 비중의 추이 57
[그림 III-4] OECD 주요 국가의 서비스업 부가가치 비중 57
[그림 III-5] 연도별 성별 취업률 및 지역별 계열별 취업률 61
[그림 III-6] 연도별 성별 졸업자수 및 지역별 계열별 졸업자수 62
[그림 III-7] 서울시 실업률 변화(2000~2015) 63
[그림 III-8] 소득 계층 내 격차 67
[그림 III-9] 21세기 학습을 위한 프레임워크 70
[그림 III-10] 2015 개정 초중등 교육과정의 인간상과 핵심역량 71
[그림 III-11] 대학생이 가장 선호하는 대외활동 프로그램 유형 비교 74
[그림 III-12] K-MOOC 홈페이지 76
[그림 IV-1] 참여대학생 응답자와 일반적 특성 106
[그림 IV-2] 수혜기관 담당자 중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108
[그림 IV-3] 대학 사회봉사 담당자들의 동행 프로젝트 관심 수준 109
[그림 IV-4] 참여대학생들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주된 이유 110
[그림 IV-5] 교육 전공 여부에 따른 참여 동기 비교 111
[그림 IV-6] 동행 프로젝트의 가치지향 요인에 대한 세 집단 비교 127
[그림 IV-7] 그림 TAIDA Process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