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서울 생활예술 2031 액션플랜 연구

서울문화재단 생활문화교류팀 [기획]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단체저자명서울문화재단.생활문화교류팀;
서명/저자사항서울 생활예술 2031 액션플랜 연구 /서울문화재단 생활문화교류팀 [기획].
발행사항서울:서울문화재단,2017
형태사항257 p. :표.
비통제주제어서울시,예술행정,생활문화정책,지역문화정책,생활예술,액션플랜,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00335 S 600.13 2018-1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100336 S 600.13 2018-1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00335
청구기호
S 600.13 2018-1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100336
청구기호
S 600.13 2018-1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 생활예술 2031 액션플랜 연구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표지]

목차
01. 서론 10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1. 연구의 배경 12
  2. 연구의 목적 14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5
  1. 연구의 범위 15
  2. 연구의 방법 17
02. 생활예술 정책 및 활동 현황 분석 20
 제1절 생활예술 정책의 흐름 22
  1. 생활문화정책의 태동기(1987-1993) 22
  2. 지역문화정책의 초기발전과 생활문화(1993-2003) 27
  3. 문화의 기본권화와 생활문화(2003-2008) 31
  4. 수요자 중심 생활문화 정책(2008-2013) 37
  5. 지역문화진흥법과 생활문화 정책의 확산(2013-현재) 42
 제2절 생활예술 공간 및 활동 현황 47
  1. 전국 생활예술 공간 및 활동 현황 47
  2. 서울 생활예술 공간 및 활동 현황 59
 제3절 소결 70
03. 생활예술의 개념적 현황과 지향 74
 제1절 생활예술의 개념적·철학적 고찰: 목표와 방법 76
 제2절 문화민주주의 이해를 위한 철학적 고찰 78
  1. 고대 민주정체와 목적론적 인간 가치 78
  2. 근대 민주주의 사회 구성과 보편적 인간 가치 80
  3. 현대의 인간 가치와 문화민주주의 83
 제3절 문화예술의 이론적 발전과 현대 문화민주주의 84
  1. 근대 예술 체계의 성립과 문화 '향유'의 확대 84
  2. 文化 속의 藝術: 문화의 양면성과 개인의 주체성 85
  3. 문화민주주의의 현대적 의의와 한국적 특수성 86
  4. 문화민주주의와 현대 사회의 개인 가치 육성 책무 88
 제4절 생활예술과 문화민주주의: 개념적 위치설정 90
  1. 국내 문화예술정책 발전 과정과 생활예술 정책 90
  2. 생활문화, 생활예술, 전문예술의 개념적 구분 92
  3. 생활문화예술, 문화예술교육, 지역문화의 개념적 구분 94
  4. 생활문화예술, 여가문화, 생활체육의 개념적 구분 96
 제5절 소결: 생활예술, 문화민주주의의 상징적 정점 98
04. 생활예술의 미래 이슈 및 전망 100
 제1절 미래 이슈 분석의 개요 102
 제2절 네트워크 사회의 생활예술 105
  1. 네트워크 생활예술의 배경 105
  2. 생활예술 네트워크의 현황과 특징 108
  3. 생활예술 네트워크 활성화의 조건 118
  4. 소결: 생활예술 전략을 위한 시사점 127
 제3절 생활체육을 통한 생활예술 의미론 모색 131
  1. 분석의 구조와 방법 131
  2. 생활체육 의미론 분석 133
  3. 생활체육 지원정책 분석 142
  4. 소결: 생활예술 전략을 위한 시사점 152
 제4절 생활예술 법체계 현황 및 개선방안 161
  1. 생활예술 보호를 위한 헌법상 근거 161
  2. 생활예술 관련 현행 법체계 검토 169
  3. 소결: 생활예술 법체계 개선방안 190
05. 생활예술 관계자 및 전문가 심층조사 200
 제1절 조사 개요 202
 제2절 생활예술 매개자 심층인터뷰 203
  1. 생활예술 매개자 203
  2. 생활예술 매개자 심층인터뷰 주요내용 204
  3. 생활예술 매개자 심층인터뷰 키워드 도출 208
 제3절 생활예술 참여자 심층인터뷰 및 설문조사 211
  1. 생활예술 참여자 심층인터뷰 주요내용 211
  2. 생활예술 참여자 설문조사 결과 216
  3. 생활예술 참여자 심층인터뷰 키워드 도출 220
 제4절 생활예술 전문가 심층인터뷰 223
  1. 생활예술 관계자 심층인터뷰 종합 223
  2. 주요 이슈별 전문가 의견 수렴 225
 제5절 시사점 종합 227
06. 서울 생활예술 2031 액션플랜 구상 230
 제1절 서울 생활예술 정책의 비전과 핵심가치 232
  1. 서울 생활예술 정책의 비전 232
  2. 서울 생활예술 정책의 핵심가치 233
 제2절 서울 생활예술 액션플랜의 전략과 과제 234
  1. 서울 생활예술 액션플랜의 4대 전략 234
  2. 서울 생활예술 액션플랜의 15대 과제 237
 제3절 서울 생활예술 2031 액션플랜 로드맵 254
  1. 서울 생활예술 액션플랜의 추진단계 254
  2. 서울 생활예술 액션플랜의 추진계획 256
부록 262
 1. 설문지 264
 2. 서울생활예술선언 전문 266
판권기 268

표목차
〈표 2-1〉 문화발전 10개년 계획 23
〈표 2-2〉 경기문화재단의 4대 업무목표와 사업방향 29
〈표 2-3〉 문화현장의 주요 논의 33
〈표 2-4〉 성남문화재단 '문화예술 창조도시' 정책의 구조 34
〈표 2-5〉 생활문화 공동체 만들기 시범사업의 기본지향 40
〈표 2-6〉 지방자치단체 및 기초자치단위의 생활문화진흥 조례 43
〈표 2-7〉 문화예술 활동 공간 47
〈표 2-8〉 전국 문화기반시설 총람 48
〈표 2-9〉 문화예술활동 공간 이용횟수 및 이용률 49
〈표 2-10〉 문화예술 공간별 이용률 변화 50
〈표 2-11〉 문화예술 활동 공간/환경 만족도 51
〈표 2-12〉 문화예술활동, 문화예술교육 및 동호회 정의 52
〈표 2-13〉 문화예술행사 관람횟수 53
〈표 2-14〉 분야별 문화관련 동호회 참여경험 56
〈표 2-15〉 문화관련 동호회 성격 57
〈표 2-16〉 문화관련 동호회 활동공간(복수응답) 57
〈표 2-17〉 문화예술행사 관람·참여, 문화예술교육 만족도 58
〈표 2-18〉 서울시 문화기반시설 59
〈표 2-19〉 2015년 자치구별 생활문화공간 수 61
〈표 2-20〉 문화활동 관람 실태(문화활동 관람률, 연간 총 관람횟수) 62
〈표 2-21〉 문화활동 관람(참석) 애로사항 63
〈표 2-22〉 문화예술 관련 교육 경험 64
〈표 2-23〉 향후 참여 희망 문화예술 교육 분야(중복응답) 65
〈표 2-24〉 문화예술 동호회 활동 분야 응답자 특성 66
〈표 2-25〉 향후 참여 희망 동호회 활동 분야 응답자 특성 67
〈표 2-26〉 문화예술활동 만족도 종합 68
〈표 2-27〉 문화예술 교육 만족도 69
〈표 2-28〉 문화예술관련 동호회 만족도 69
〈표 4-1〉 대표적인 생활예술 네트워크 사례 117
〈표 4-2〉 전국 문화기반시설 현황(2016년) 124
〈표 4-3〉 성과관계도 154
〈표 5-1〉 생활예술매개자(FA) 분야 및 역할 203
〈표 5-2〉 설문조사 응답자 사회인구학적 특성 질문지 및 응답자 특성 216
〈표 5-3〉 생활예술 참여자 인식조사 응답 내용 요약 217
〈표 5-4〉 생활예술 참여자 수요조사 응답 내용 요약 218
〈표 6-1〉 생활예술매개자 역할 및 역량 강화 방안 239
〈표 6-2〉 생활예술 인식공감 캠페인의 집단별 접근 245
〈표 6-3〉 생활예술 참여단계별 지원트랙의 구조 246
〈표 6-4〉 생활예술 종합정보포털 형성을 위한 참고 사례 249
〈표 6-5〉 Arts & Tech 지원기구 설립을 위한 사례 및 적용 방안 251
〈표 6-6〉 서울 생활예술 2031 액션플랜의 추진단계 254
〈표 6-7〉 1단계 '누리期'의 핵심 과제 257
〈표 6-8〉 2단계 '잇期'의 핵심 전략 및 과제 258
〈표 6-9〉 3단계 '창조期'의 핵심 전략 및 과제 259

그림목차
[그림 1-1] 서울시 25개 자치구 15
[그림 1-2] 심층인터뷰 및 설문조사 개요 17
[그림 1-3] 연구내용 흐름도 19
[그림 2-1] 성남문화재단 5대 문화정책사업 개념도 35
[그림 2-2] 문화예술 공간이용 실태 49
[그림 2-3] 문화예술행사별 관람률 변화(2014 vs 2016) 53
[그림 2-4] 학교교육 외 문화예술교육 경험(복수응답) 54
[그림 2-5] 문화예술교육 시 애로사항 55
[그림 2-6] 문화관련 동호회 참여경험 56
[그림 2-7] 권역별 생활문화 공간 수 60
[그림 2-8] 문화예술 동호회 활동 분야 66
[그림 2-9] 향후 참여 희망 동호회 활동 분야 67
[그림 2-10] 문화예술활동 만족도 68
[그림 2-11] 국내 생활문화예술 정책의 흐름 70
[그림 2-12] 문화관련 동호회 참여 경험 72
[그림 2-13] 문화예술 행사 관람률 비교 72
[그림 2-14] 문화예술 교육 참여 경험 비교 73
[그림 2-15] 문화예술 동호회 참여 경험 비교 73
[그림 4-1] 생활예술 미래 이슈의 세 가지 층위(그림없음) 103
[그림 4-2] 전세계의 거리 예술 현황 108
[그림 4-3] 구글 아트 앤 컬쳐 연구소 109
[그림 4-4] 뉴욕 지하철의 버스킹을 네트워크로 연결한 오케스트라 'Signal Strength' 110
[그림 4-5] 드로잉 작가 네트워크 '어반 스케쳐' 111
[그림 4-6] 예술 커뮤니티 '99도' 인스타그램 112
[그림 4-7] 킥스타터 113
[그림 4-8] 킥스타터의 누적 펀딩액 및 성공 캠페인 수 114
[그림 4-9] 킥스타터의 목표 114
[그림 4-10] 버스웍스의 진행과정 116
[그림 4-11] 네스타의 예술 분야 대표 프로젝트 119
[그림 4-12] DACA의 9개 기관 120
[그림 4-13] 네덜란드의 웨그 소사이어티 121
[그림 4-14] 예술 분야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122
[그림 4-15] 예술 지원 조직의 연결과 체계의 역할 변화 123
[그림 4-16] 예술 활동 참여의 개인적 효과와 사회공동체적 효과 126
[그림 5-1] 심층인터뷰 및 설문 개요 202
[그림 5-2] 생활예술매개자(FA) 인터뷰 도출 키워드 208
[그림 5-3] 생활예술 참여자 인식조사 분포 218
[그림 5-4] 생활예술 참여자 수요조사 분포 219
[그림 5-5] 생활예술 참여자 인터뷰 도출 키워드 220
[그림 5-6] 4가지 차원의 키워드 분류 223
[그림 5-7] 종합 키워드 도출 227
[그림 6-1] 서울 생활예술 정책의 비전 232
[그림 6-2] 서울 생활예술 정책의 핵심 가치 233
[그림 6-3] 서울 생활예술 액션플랜의 4대 전략[원문불량;p.225] 234
[그림 6-4] 서울 생활예술 액션플랜의 15대 과제 237
[그림 6-5] 생활예술 미디어 콘텐츠의 사례 : 영국 BBC 'Get Creative' 프로그램과 KBS 드라마 베토벤 바이러스 241
[그림 6-6] 컨테이너박스를 이용한 공간 활용 사례 : 서울숲 언더스탠드 에비뉴, 창동 플랫폼61, 광진구 커먼그라운드 248
[그림 6-7] 정보플랫폼에 기반한 연극 장르 자원공유체계 '공쓰재' 250
[그림 6-8] 서울 생활예술 2031 액션플랜 추진계획 256
[그림 6-9] 생활예술 2031 액션플랜 종합로드맵 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