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맞춤형 도시재생 실현을 위한 합리적) 도시계획시설 복합화 제도 개선방안 연구 :공무원 자체학술 연구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 시설계획과 도시계획상임기획단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학술용역보고서
단체저자명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 .시설계획과 .도시계획상임기획단;
서명/저자사항(맞춤형 도시재생 실현을 위한 합리적) 도시계획시설 복합화 제도 개선방안 연구 :공무원 자체학술 연구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 시설계획과 도시계획상임기획단 [편].
발행사항서울: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 ,2018
형태사항173 p. :삽화, 표 ;30 cm
서지주기참고문헌: p. 173
비통제주제어도시재생,도시계획,도시계획시설,시설계획,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01691 S 539.7 2018-29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101692 S 539.7 2018-29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01691
청구기호
S 539.7 2018-29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101692
청구기호
S 539.7 2018-29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맞춤형 도시재생 실현을 위한 합리적) 도시계획시설 복합화 제도 개선방안 연구 :공무원 자체학술 연구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맞춤형 도시재생 실현을 위한합리적 도시계획시설 복합화 제도 개선방안 연구
목 차 6
제1장 
연구개요  14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5
  1.1.1 연구 배경 15
  1.1.2 연구 목적 17
 1.2 연구 내용 및 방법 18
  1.2.1 연구 내용 및 방법 18
  1.2.2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23
제2장 
도시계획시설 복합화 개념  25
 2.1 도시계획시설의 정의 및 분류 26
  2.1.1 기반시설 26
  2.1.2 도시계획시설 27
 2.2 도시계획시설 현황 및 관련법·제도 28
  2.2.1 서울시 도시계획시설 현황 28
  2.2.2 도시계획시설 설치 및 복합화 관련법 · 제도 체계 31
  2.2.3 법·제도의 변천 32
  2.2.4 도시계획시설 결정 및 설치 절차 34
 2.3 도시계획시설의 복합화 개념 및 필요성 36
  2.3.1 복합화(입체)도시계획의 개념 36
  2.3.2 복합화(입체) 도시계획의 유형 37
  2.3.3 도시계획시설 복합화의 필요성 39
  2.3.4 도시계획시설에서의 행위 및 입지기준 40
제3장 국내외 도시계획시설 복합화 사례  44
 3.1 국내사례 45
  3.1.1 개요 45
  3.1.2 중복결정 현황 45
  3.1.3 입체적 결정 현황 48
  3.1.4 공간적 범위 결정 현황 49
  3.1.5 소결 51
 3.2 국외사례 53
  3.2.1 개요 53
  3.2.2 일본 입체복합개발 개념 및 제도 55
  3.2.3 국외 입체복합개발 중복결정(시설+시설) 사례 56
  3.2.4 국외 입체복합개발 입체적 결정(비시설+시설) 사례 57
  3.2.5 국외 입체복합개발 공간적 범위 결정(시설+비시설) 사례 58
  3.2.6 소결 62
 3.3 국내외사례 시사점 및 적용방안 63
  3.3.1 국내 사례 연구 주요 특성 63
  3.3.2 국외 사례 연구 주요 특성 65
  3.3.3 사례 시사점을 통한 연구활용 및 적용 방안 66
제4장 서울형 도시계획시설 복합화 가이드라인
 68
 4.1 원칙 및 기본방향 69
  4.1.1 서울형 도시계획시설의 복합화 원칙 69
  4.1.2 서울형 도시계획시설 복합화 목표 및 기준 70
  4.1.3 서울형 도시계획시설 복합화 기준의 구성 71
 4.2 서울형 도시계획시설 복합화 단계별 검토 기준 72
  4.2.1 시설별 복합화 운영기준 구조 72
  4.2.2 시설별 복합화 단계별 검토 흐름도 73
  4.2.3 시설별 복합화 단계별 검토 기준 76
 4.3 서울형 도시계획시설 복합화 단계별 세부 기준 77
  4.3.1 Step1 : 대상지 검토 77
  4.3.2 Step2 : 수요 및 타당성 검토 78
  4.3.3 Step3 : 세부시설 기준 검토 80
 4.4 서울형 도시계획시설 복합화 유형별 분류기준 86
  4.4.1 유형별 분류 기준 86
  4.4.2 유형별 세부기준_부지+부지 87
  4.4.3 유형별 세부기준_부지+건축물 88
  4.4.4 유형별 세부기준_건축물+건축물 90
제5장 서울형 도시계획시설 복합화 기준 적용 사례 93
 5.1 도시계획시설 복합화 연구의 사례 대상지 선정 94
  5.1.1 적용 시설 선정 94
 5.2 시장시설 96
  5.2.1 복합화 개요 96
  5.2.2 복합화 단계별 검토 98
 5.3 자동차정류장시설(버스차고지) 106
  5.3.1 복합화 개요 106
  5.3.2 복합화 단계별 검토 109
 5.4 공원시설 116
  5.4.1 복합화 개요 116
  5.4.2 복합화 단계별 검토 120
 5.5 공공문화체육시설(공공청사) 127
  5.5.1 복합화 개요 127
  5.5.2 복합화 단계별 검토 130
 5.6 유수지시설 137
  5.6.1 복합화 개요 137
  5.6.2 복합화 단계별 검토 139
제6장 제도개선 및 활용방안
 147
 6.1 제도개선 148
  6.1.1 제도개선 148
  6.1.2 도시계획시설 복합 시 통합 운영 기준 마련 필요 151
 6.2 활용방안 152
  6.2.1 활용방안 152
제7장 부록
 153
 7.1 서울형 도시계획시설 복합화 기준(안) 154
 7.2 건축물 등 공공시설 결정현황('15. 2월 ~ '18. 3. 16.) 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