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탄천 생태하천복원 타당성 조사 보고서

서울특별시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기술용역보고서
단체저자명서울특별시;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용역기관;
서명/저자사항탄천 생태하천복원 타당성 조사 보고서 /서울특별시 [편].
발행사항서울:서울특별시,2019
형태사항1 v. (일부접지) :삽화, 지도, 표;30 cm
일반주기 권말부록수록
비통제주제어생태하천복원,생태계 복원,하천,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07351 S 539.112 2020-1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107352 S 539.112 2020-1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07351
청구기호
S 539.112 2020-1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107352
청구기호
S 539.112 2020-1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탄천 생태하천복원 타당성 조사 보고서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탄천 생태하천복원 타당성 조사 보고서
제출문 2
 목차 3
  제1장 과업의 개요 19
   1.1 과업의 명칭 20
   1.2 과업의 배경 및 목적 20
   1.3 과업의 범위 20
    1.3.1 시간적 범위 20
    1.3.2 공간적 범위 20
   1.4 과업의 주요내용 21
   1.5 추진현황 22
  제2장 하천복원의 기본구상 23
   2.1 하천복원의 기본구상 24
    2.1.1 하천복원의 정의 24
    2.1.2 생태하천 복원의 정의 24
    2.1.3 하천사업의 변화 25
    2.1.4 하천생태계 복원정책 동향 26
    2.1.5 생태하천 복원의 기본방향 27
    2.1.6 생태하천 복원사업 추진 절차 31
   2.2 하천복원의 필요성 32
    2.2.1 우리나라 도시하천 복원의 필요성 32
    2.2.2 하천복원의 당위성 32
  제3장 일반현황 33
   3.1 유역현황 34
    3.1.1 유역 및 하천현황 34
    3.1.2 유역 및 하도특성 35
    3.1.3 홍수량 및 홍수위 41
   3.2 자연환경 45
    3.2.1 지형 45
    3.2.2 지질 및 토양 46
    3.2.3 기상 · 수문 47
    3.2.4 식생 및 생태환경 54
    3.2.4 생태경관보전지역 현황 67
    3.2.5 수질현황 69
    3.2.6 저질현황 78
   3.3 인문 · 사회 환경 81
    3.3.1 경관 · 하천의 변화, 역사 81
    3.3.2 공원, 지상 · 하 구조물 84
    3.3.3 인구 86
    3.3.4 주변지역 토지이용 현황 및 개발계획 88
    3.3.5 도로 및 교통현황 91
    3.3.6 문화재 및 유적현황 97
   3.4 일반현황 98
    3.4.1 기존시설물 현황 98
    3.4.2 과업구간 생태하천 복원 시 주요 문제점 99
   3.5 상위 관련계획 및 관련법규 검토 101
    3.5.1 상위 관련계획 101
    3.5.2 연관계획 126
    3.5.3 관련법규 검토 128
   3.6 생태하천복원 국내?외 주요 사례분석 131
    3.6.1 국내사례 131
    3.6.2 해외사례 133
    3.6.3 유사개발사례의 시사점 135
  제4장 생태하천복원방향 136
   4.1 생태하천복원의 기본방향 137
   4.2 생태하천복원 목표 설정 138
    4.2.1 수생태 개선 목표 설정 138
    4.2.2 문헌 및 현장조사에 의한 깃대종 선정 139
   4.3 하천유지용수 141
    4.3.1 하천유지용수 공급개요 141
    4.3.2 필요 하천유지유량 산정 141
   4.4 물리적 환경 개선 계획 146
    4.4.1 하천복원 형태 계획 146
    4.4.2 호안 147
    4.4.3 치수안전성 검토 151
    4.4.4 기타 물리적 다양성 확보계획 153
   4.5 수질 개선 계획 159
    4.5.1 수질정화 습지를 통한 수질정화 159
    4.5.2 수질정화 습지의 설계 및 운영 169
    4.5.3 기타 수질정화 171
    4.5.4 서울시 탄천유역 수질개선 사업 현황 175
   4.6 생태보전 및 복원계획 179
    4.6.1 생물 분류군별 서식처 복원 계획 179
    4.6.2 식재계획 191
   4.7 동선 및 시설물계획 200
    4.7.1 동선 계획 200
    4.7.2 수변시설물 계획 201
   4.8 기존시설 이전 및 대체부지 확보방안 205
    4.8.1 개요 205
    4.8.2 강남운전면허시험장 이전방안 검토 205
    4.8.3 강남운전면허시험장 이전의 당위성 검토 231
    4.8.4 탄천공영주차장 이전검토 251
   4.9 생태하천복원 계획(안) 253
    4.9.1 기본방향 253
    4.9.2 동선계획 254
    4.9.3 식재계획 256
    4.9.4 시설배치계획 257
    4.9 탄천 생태하천복원 종합계획도(안) 259
  제5장 모니터링 및 유지관리계획 260
   5.1 모니터링 계획 261
    5.1.1 모니터링 개요 261
    5.1.2 모니터링 계획 264
    5.1.3 분야별 모니터링 조사방법 267
    5.1.4 모니터링 결과 정리 및 평가 271
   5.2 유지관리 계획 272
    5.2.1 하천환경 유지관리계획 272
    5.2.2 시설물 및 구조물 278
    5.2.3 하천 내 시설의 활용 284
    5.2.4 생태계 복원 관리지침 287
    5.2.5 분류군별 관리지침 288
    5.2.6 생물 서식처 관리 290
    5.2.7 식재 지침 292
    5.2.8 식재 유지관리 296
    5.2.9 법규 및 기준 검토 306
    5.2.10 주민참여계획 308
  제6장 경제성 분석 310
   6.1 경제성 분석 개요 311
    6.1.1 개요 311
    6.1.2 평가기법 311
    6.1.3 경제성 분석의 전제 313
   6.2 비용 및 편익의 추정 314
    6.2.1 비용편익 항목결정 314
    6.2.2 비용의 추정 315
    6.2.3 편익의 추정 316
   6.3 경제성 분석 320
    6.3.1 검토결과 320
  제7장 결론 327
   7.1 타당성 검토 328
    7.1.1 물리적 측면의 타당성 328
    7.1.2 경제적 측면의 타당성 329
    7.1.3 사회적 측면의 타당성 329
   7.2 검토 결과 330
  부록 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