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식민도시 경성, 차별에서 파괴까지

이상배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개인저자이상배 한동수 이규철 은정태 
서명/저자사항식민도시 경성, 차별에서 파괴까지 /이상배,한동수,이규철,은정태 [외] 저.
발행사항서울:서울역사편찬원,2020
형태사항255 p.:삽화;23 cm
총서사항서울역사강좌 ;09
총서부출표목서울역사강좌 ;09
ISBN9791160710915
9788994033952(세트)
일반주기 색인수록
권말부록 수록
서지주기참고문헌: p. 236-243
비통제주제어서울,역사,경성,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08374 S 911.6 2016-2 v9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108375 S 911.6 2016-2 v9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08374
청구기호
S 911.6 2016-2 v9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108375
청구기호
S 911.6 2016-2 v9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식민도시 경성, 차별에서 파괴까지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식민도시 경성, 차별에서 파괴까지
발 간 사 9
목 차 11
제 1 강 식민사관의 실상과 문제점 15
 식민사관이란 무엇인가? 17
 식민사관의 여러 가지 논리 19
제 2 강 경복궁 파괴와 조선총독부 박물관 설치 27
 경복궁 영역의 상징성 변화와 약탈적 훼손 29
 조선총독부 박물관의 건립과정과 의미 34
 총독부 박물관의 공간구성과 건축 특징 39
 조선총독부 박물관 개관이 가지는 상징성 42
제 3 강 창덕궁·창경궁 파괴와 창경원 탄생 과정 43
 대한제국 시기 궁궐의 국유화 45
 창덕궁의 화양절충식 개조 48
 창덕궁의 양관 계획과 화재 복구 51
 창경궁의 공원화 54
제 4 강 경희궁의 훼철과 전각의 향방 57
 경희궁 훼철의 배경 59
 전각 훼철 후의 경희궁 64
 남아 있던 경희궁 전각은 어디로 갔나 67
 현재의 경희궁 71
제 5 강 철도와 서울, 그리고 식민지 근대 73
 철도를 보는 시각 75
 일제강점기 한국철도의 성격 77
 철도와 서울, 그리고 시민의 삶 78
 일본이 외국에서 최초로 건설한 철도, 경인선 79
 한반도에서 가장 중요한 철도, 경부선 81
 한반도를 고리로 일본과 아시아를 최단거리로 잇는 경의선 84
 한반도 횡단선이자 국제간선, 경원선 85
 국책과 영리가 교묘하게 결합된 경춘선 87
 식민지배의 마지막 철도, 반신불수 경경선(중앙선) 88
 한국철도의 진가가 발휘되기를 기대하며 90
제 6 강 일제강점기 주택지 개발과 서울의 변화 91
 조선인의 경성이냐? 일본인의 게이조냐? 93
 일본인들의 북진과 궁궐 내 관사지 개발 94
 한양도성의 해체와 고급 교외주택지 개발 98
 국유림의 해제 및 불하와 함께 탄생한 주택지 100
 그들의 전원주택지와 토막촌의 콘트라스트 103
 한강 너머의 이상향 조성과 토지 투기의 확산 105
 현재도 재현되고 있는 서울의 주택지 개발을 둘러싼 이슈들 107
제 7 강 한반도 문화재들이 일본에 소장되어 있는 이유 109
 경복궁에 있어야 할 전각이 왜 이 먼 타국에 자리하고 있을까? 111
 문화재 반환 문제는 식민지 지배와 필연적 관계 113
 소장처인 도쿄대만 몰랐던 조선왕조실록 오대산본의 존재, 그리고 반환 115
 한일회담에서 진행된 문화재 반환 협상 116
 한일회담에서 일본으로부터의 문화재 반환은 없었다 117
 한일회담 문화재 반환 협상의 한계 118
 여전히 계속되는 식민지 지배에 대한 무반성 120
 한일 간 문화재반환 문제의 숨은 조력자는 일본 시민단체 122
 우리에게 남은 과제 123
제 8 강 대한제국과 메이지의 공간충돌, 장충단과 박문사 125
 명성황후를 기리는 공간, 장충단 127
 장충단의 제향 폐지와 식민도시로의 몰락 131
 장소의 혼과 성역의 제단 132
 장충단의 공간구성 135
 메이지의 공간 이식과 장충단의 변화 138
제 9 강 일제 경찰의 간섭과 폭력 143
 ‘조선에 대한 이해’는 경찰학교에서부터 145
 조선인의 일상사에는 최대한 관여하고 강력하게 처벌하라 147
 ‘문화경찰’, 더욱 오만해진 경찰 149
 일제경찰의 대표적인 폭력성, 대검과 발검 151
 전시경찰, 총후전선의 선봉에 서다 155
제10강 경성부내 조선인의 교육차별 157
 근대 교육과 학생의 ‘탄생’ 159
 식민 교육의 구성과 체계 160
 식민지 조선 학생의 학교생활 163
 식민지 조선 학생의 문화 활동 167
 전시체제기와 학생 ‘동원’ 169
제11강 남산신궁 건립에 담긴 의미 173
 공간과 건축을 활용한 고도의 지배 테크닉 175
 조선신궁 건립의 의미를 이해하려면 남산 전체의 변화를 먼저 살펴야 178
 경성에 늘어가는 신사들, 그리고 조선신궁 181
 상징공간으로서 조선신궁의 창건이 지닌 의미 184
 일본의 신들이 떠나간 자리 186
제12강 일제가 한글을 없앤 방식 189
 훈민정음이 국문이 되다 191
 1910년 나라가 없어지다 193
 온갖 방법으로 조선어와 한글을 억압하다 195
 ‘한글’을 지켜라 ? 조선어학회의 조선어독립운동 199
 사전을 편찬하는 것이 독립의 길이다 200
 해방과 큰사전 완성 203
제13강 일본군 ‘위안부’ 피해와 서울 : 끌고간 자, 끌려간 자 205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기억을 간직한 남산 207
 ‘위안부’ 동원을 둘러싼 소문들 209
 ‘위안부’ 동원의 거점, 인사소개소와 여관 212
 조선군사령부의 의뢰를 받아 ‘위안부’를 동원하다 215
 돌아온 피해여성들, 서울에 머물다 217
제14강 일제의 경성 금융 장악 221
 의열단 - 은행을 노리다 223
 경성의 ‘월스트리트’ 224
 조선은행 - 일본 제국주의 대륙 침략의 첨병 225
 조선식산은행과 동양척식주식회사 - 조선인의 고혈로 쌓아올린 성 226
 경성부 금융 개황 227
 경성의 일본인 은행 231
 일제강점기 대출금리 추이와 고리대 232
 중일전쟁 이후 저축을 강요당하다 234
 경성부에서 전시공채를 강제로 소화시키다 236
부 록 239
 참고문헌 241
 찾아보기 249
 필자약력 255
 도판출처 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