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서울형 사회복지시설운영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오문준 연구책임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개인저자오문준 박종수숙명여자대학교 행정학과 주지현가족세대통합연구소 서로이음 이형미 윤선예 
서명/저자사항서울형 사회복지시설운영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오문준 연구책임 ;박종수 ,주지현 공동연구 ;이형미 ,윤선예 연구.
발행사항서울:서울시복지재단,2020
형태사항368 p. :삽화, 도표;26 cm
총서사항서울시복지재단;2020-19
총서부출표목서울시복지재단;2020-19
ISBN9788962986488
일반주기 권말부록 수록
서지주기참고문헌: p. 337-347
비통제주제어서울형,사회복지시설,가이드라인,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12468 S 338.15 2014-2 v2020-19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112469 S 338.15 2014-2 v2020-19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12468
청구기호
S 338.15 2014-2 v2020-19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112469
청구기호
S 338.15 2014-2 v2020-19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형 사회복지시설운영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서울형 사회복지시설운영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목차
제1장 서 론 31
 제1절 연구의 배경 33
 제2절 연구목적 및 연구내용 35
 제3절 연구방법 36
 제4절 연구의 구성 및 추진과정 38
제2장 이론적 논의 41
 제1절 사회복지직 가치 관련 이론적 논의 43
 제2절 사회복지시설 운영 선행연구 검토 48
 제3절 연구의 분석틀 59
제3장 서울시 사회복지시설 운영현황 및 선진사례 61
 제1절 서울시 사회복지시설 운영현황 63
 제2절 해외 선진사례 122
 제3절 소결 137
제4장 서울형 사회복지시설운영 가이드라인 수립 관련 기초조사 141
 제1절 조사개요 143
 제2절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인식조사 결과 150
 제3절 사회복지시설 이용자 대상 인식조사 결과 220
 제4절 표적집단면접조사 결과 238
 제5절 소결 246
제5장 서울형 사회복지시설운영 가이드라인 개발 251
 제1절 사회복지시설운영 가이드라인 개발 방향 253
 제2절 시설 및 환경 분야 가이드라인 257
 제3절 인적자원관리 분야 가이드라인 282
 제4절 재정 분야 가이드라인 338
제6장 결 론 361
참고문헌 367
표목차 23
 <표 1-1> 자문위원회 구성 36
 <표 1-2> 자문회의 주요 논의내용 37
 〈표 2-1〉 연구자별 공직가치 구성요소 45
 〈표 2-2〉 공직가치 세부역량별 측정항목 47
 〈표 2-3〉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및 재정 관련 선행연구 검토 49
 〈표 2-4〉 사회복지시설 조직?인사관리 관련 선행연구 검토 53
 〈표 2-5〉 사회복지시설 서비스품질 관련 선행연구 검토 57
 〈표 3-1〉 사회복지시설 운영 관련 보건복지부-서울시 법령 및 조례 비교 64
 〈표 3-2〉 대상별 서울시 사회복지시설유형 67
 〈표 3-3〉 서울시 지역주민 대상 사회복지시설 운영내용 및 운영방법 68
 〈표 3-4〉 서울시 노인 대상 사회복지시설 운영내용 및 운영방법 69
 〈표 3-5〉 서울시 장애인 대상 사회복지시설 운영내용 및 운영방법 71
 〈표 3-6〉 서울시 노숙인 대상 사회복지시설 운영내용 및 운영방법 73
 〈표 3-7〉 사회복지시설 지도?감독 세부 조사항목 76
 <표 3-8> 사회복지시설 지도?감독 내실화 중점사항 77
 <표 3-9> 사회복지시설 운영 관련 법령 및 조례 내 규제 사항 78
 <표 3-10> 사회복지시설별 서울형 평가 추진 현황 80
 <표 3-11> 서울형 평가 추진 현황 80
 〈표 3-12〉 서울시 사회복지시설유형별 시설수 및 종사자수 현황 82
 <표 3-13>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항목 83
 〈표 3-14〉 재난?안전 관련 주체별 주요 임무 86
 <표 3-15> 시설운영위원회 설치 대상시설(사회사업법 제36조제1항) 86
 <표 3-16> 시설운영위원회 위원 자격 87
 <표 3-17> 사회복지시설 시설장 및 종사자 자격 88
 <표 3-18>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공개모집 원칙의 예외(시행일 2019.1.1.) 89
 <표 3-19> 사회복지사업법 시행규칙 제23조의 2(사회복지관의 운영기준) 91
 〈표 3-20〉 종합사회복지관 최소 인력기준 권고안 91
 <표 3-21> 지역자활센터 운영지침 ? 제3장(조직) 91
 〈표 3-22〉 지역자활센터 직원채용자격 기준표 92
 〈표 3-23〉 지역자활센터 규모 및 직급별 정원표 93
 <표 3-24> 노인복지관 인사 및 보수기준 93
 <표 3-25> 시니어클럽 인력 기준 94
 <표 3-26> 시니어클럽 인사 및 보수기준 95
 <표 3-27> 노인주거복지시설 직원 배치기준 95
 <표 3-28>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직원 배치기준 96
 <표 3-29> 장애인복지관 조직 및 직제기준 97
 <표 3-30> 장애인복지관 직원 인사관리 기준 99
 <표 3-31>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인력지원기준 99
 〈표 3-32〉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 배치기준 100
 <표 3-33>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 자격기준 101
 〈표 3-34〉 장애인거주시설 직종별 지원기준 102
 〈표 3-35〉 노숙인시설 종사자 자격 및 배치 기준 103
 〈표 3-36〉 사회복지법인 및 사회복지시설 회계 구분 109
 〈표 3-37〉 지역주민 대상 사회복지시설 주요 사업내용 116
 〈표 3-38〉 노인 대상 사회복지시설 주요 사업내용 117
 〈표 3-39〉 장애인 대상 사회복지시설 주요 사업내용 119
 〈표 3-40〉 노숙인 대상 사회복지시설 주요 사업내용 121
 〈표 3-41〉 영국 사회복지시설 가이드라인 및 관리차원 주요내용 126
 〈표 3-42〉 즉시 기소 가능한 불법행위 관련 규정 128
 〈표 3-43〉 조건부 기소 가능한 불법행위 관련 규정 128
 〈표 3-44〉 일본 사회복지시설 가이드라인 및 관리차원 주요내용 133
 <표 4-1> 모집단 특성 143
 <표 4-2> 사회복지시설 설문조사 표본특성 144
 <표 4-3> 사회복지시설 운영기준 수립을 위한 기초조사 설문조사방법 145
 <표 4-4> 조사설계(정성조사) 146
 <표 4-5> 설문조사 항목 및 내용(종사자) 146
 <표 4-6> 설문조사 항목 및 내용(이용자) 148
 〈표 4-7〉 정성조사 인터뷰 내용(종사자) 149
 〈표 4-8〉 정성조사 인터뷰 내용(이용자) 149
 <표 4-9> 응답자 특성 - 종사자 150
 <표 4-10> 사회복지직 가치 - 전체 평균 152
 <표 4-11> 윤리적 가치 - 종합 평균 153
 <표 4-12> 윤리적 가치 - 청렴성 154
 <표 4-13> 윤리적 가치 - 테그리티 155
 <표 4-14> 윤리적 가치 - 사회복지에 대한 헌신 156
 <표 4-15> 윤리적 가치 - 공평성 157
 <표 4-16> 윤리적 가치 - 정직성 158
 <표 4-17> 윤리적 가치 - 윤리적 판단 159
 <표 4-18> 민주적 가치 - 종합 평균 161
 <표 4-19> 민주적 가치 - 헌법가치 161
 <표 4-20> 민주적 가치 - 다양성 162
 <표 4-21> 민주적 가치 - 합법성 163
 <표 4-22> 민주적 가치 - 책임성 164
 <표 4-23> 민주적 가치 - 참여성 165
 <표 4-24> 민주적 가치 - 개방성 166
 <표 4-25> 민주적 가치 - 대표성 167
 <표 4-26> 직업적 가치 - 종합 평균 169
 <표 4-27> 직업적 가치 - 전문성 170
 <표 4-28> 직업적 가치 - 반응성 171
 <표 4-29> 직업적 가치 - 효율성 172
 <표 4-30> 직업적 가치 - 책무성 173
 <표 4-31> 직업적 가치 - 원칙성 174
 <표 4-32> 직업적 가치 - 고객지향성 175
 <표 4-33> 직업적 가치 - 효과성 176
 <표 4-34> 직업적 가치 - 자긍심 177
 <표 4-35> 직업적 가치 - 창의성 178
 <표 4-36> 직업적 가치 - 일/가정의 조화 179
 <표 4-37> 인본주의적 가치 - 종합 평균 181
 <표 4-38> 인본주의적 가치 - 돌봄 181
 <표 4-39> 인본주의적 가치 - 관용성 182
 <표 4-40> 인본주의적 가치 - 예의바름 183
 <표 4-41> 인본주의적 가치 - 동정 184
 <표 4-42> 인본주의적 가치 - 공공봉사 185
 <표 4-43> 인본주의적 가치 - 인본성 186
 <표 4-44> 인본주의적 가치 - 다문화감수성 187
 <표 4-45> 사회복지직 가치 조사 결과: 순위별 세부요소(내림차순) 188
 <표 4-46> 조직 환경 및 운영 - 전체 평균 191
 <표 4-47> 의사결정 - 종합 평균 193
 <표 4-48> 집합적 조직시민행동 - 종합 평균 195
 <표 4-49> 리더십 - 종합 평균 197
 <표 4-50> 조직문화 - 종합 평균 199
 <표 4-51> 조직풍토/기후 - 종합 평균 201
 <표 4-52> 조직 몰입 - 종합 평균 203
 <표 4-53> 직무 만족 - 종합 평균 205
 <표 4-54> 갈등 수준 - 종합 평균 207
 <표 4-55> 동기부여 - 종합 평균 209
 <표 4-56> 사회적 동기 - 종합 평균 211
 <표 4-57> 업무열의 - 종합 평균 213
 <표 4-58> 시설 타입별 특성 214
 <표 4-59> 서비스 특성별 사회복지직 가치 - 전체 평균 215
 <표 4-60> 윤리적 가치 - 종합 평균 216
 <표 4-61> 민주적 가치 - 종합 평균 217
 <표 4-62> 직업적 가치 - 종합 평균 218
 <표 4-63> 인본주의적 가치 - 종합 평균 219
 <표 4-64> 응답자 특성 - 이용자 220
 <표 4-65> 서비스 품질수준 - 종합 평균 221
 <표 4-66> 유형성 - 종합 평균 223
 <표 4-67> 신뢰성 - 종합 평균 225
 <표 4-68> 반응성 - 종합 평균 227
 <표 4-69> 확신성 - 종합 평균 229
 <표 4-70> 공감성 - 종합 평균 231
 <표 4-71> 서비스 이용행태 - 종합 평균 231
 <표 4-72> 서비스 만족도 - 종합 평균 233
 <표 4-73> 서비스 평가 - 종합 평균 235
 <표 4-74> 삶의 질 - 종합 평균 237
그 림 목 차 28
 [그림 1-1] 연구추진과정 39
 [그림 2-1] 연구의 분석틀 59
 [그림 3-1] 사회복지시설 자체 안전점검 흐름도 84
 [그림 3-2] 장애인복지관 정원별 조직 및 직제기준 98
 [그림 3-3] 노숙인종합지원센터 종사자 직종별 배치 기준 104
 [그림 3-4] 쪽방상담소 종사자 직종별 배치 기준 104
 [그림 3-5] 노숙인일시보호시설 종사자 직종별 배치 기준 105
 [그림 3-6] 노숙인요양시설 종사자 직종별 배치 기준 106
 [그림 3-7] 노숙인재활시설 종사자 직종별 배치 기준 107
 [그림 3-8] 노숙인자활시설 종사자 직종별 배치 기준 108
 [그림 3-9] 예산 성립 시기에 따른 예산 편성 종류 110
 [그림 3-10] 예산 편성 절차 111
 [그림 3-11] 예산 편성 시 첨부서류 112
 [그림 3-12] 결산 절차 113
 [그림 3-13] 후원금 수입?사용 내역 공개 절차 114
 [그림 3-14] 보조사업 운영절차 115
 [그림 3-15] 지방보조사업 공모 및 사업자 선정 절차 116
 [그림 3-16] 영국 CQC 운영 모델 124
 [그림 3-17] 복지서비스 제삼자평가의 흐름 132
 [그림 4-1] 사회복지직 가치 조사결과 - 전체 통합 151
 [그림 4-2] 사회복지직 가치 조사결과 - 윤리적 가치 153
 [그림 4-3] 사회복지직 가치 조사결과 - 민주적 가치 160
 [그림 4-4] 사회복지직 가치 조사결과 - 직업적 가치 168
 [그림 4-5] 사회복지직 가치 조사결과 - 인본주의적 가치 180
 [그림 4-6] 의사결정 조사결과 192
 [그림 4-7] 집합적 조직시민행동 조사결과 194
 [그림 4-8] 리더십 조사결과 196
 [그림 4-9] 조직문화 조사결과 198
 [그림 4-10] 조직풍토/기후 조사결과 200
 [그림 4-11] 조직몰입 조사결과 202
 [그림 4-12] 직무 만족 조사결과 204
 [그림 4-13] 갈등 수준 조사결과 206
 [그림 4-14] 동기부여 조사결과 208
 [그림 4-15] 사회적 동기 조사결과 210
 [그림 4-16] 업무 열의 조사결과 212
 [그림 4-17] 서비스 특성별 분류 모형 213
 [그림 4-18] 서비스 특성별 사회복지직 가치 조사결과 - 전체 통합 215
 [그림 4-19] 서비스 특성별 사회복지직 가치 - 윤리적 가치 216
 [그림 4-20] 서비스 특성별 사회복지직 가치 - 민주적 가치 217
 [그림 4-21] 서비스 특성별 사회복지직 가치 - 직업적 가치 218
 [그림 4-22] 서비스 특성별 사회복지직 가치 - 인본주의적 가치 219
 [그림 4-23] 서비스 품질수준 조사결과 - 유형성 222
 [그림 4-24] 서비스 품질수준 조사결과 - 신뢰성 224
 [그림 4-25] 서비스 품질수준 조사결과 ? 반응성 226
 [그림 4-26] 서비스 품질수준 조사결과 - 확신성 228
 [그림 4-27] 서비스 품질수준 조사결과 - 공감성 230
 [그림 4-28] 서비스 이용행태 조사결과 - 서비스 만족도 232
 [그림 4-29] 서비스 이용행태 조사결과 - 서비스 평가 234
 [그림 4-30] 삶의 질 조사결과 236
 [그림 5-1] 사회복지시설운영 가이드라인 개발방향 : 시설 및 환경관리분야 254
 [그림 5-2] 사회복지시설운영 가이드라인 개발방향 : 인적자원관리분야 255
 [그림 5-3] 사회복지시설운영 가이드라인 개발방향 : 재정분야 256
 [그림 5-4] 사회복지시설 운영규정 표준안(서울특별시사회복지협의회) - 안전관리 업무구성 264
 [그림 5-5] 사회복지시설 운영규정 표준안(서울특별시사회복지협의회) - 일상적인 안전관리의 연간업무 265
 [그림 5-6] 은평기쁨의 집 위기관리지침 270
 [그림 5-7] 보건복지부 유튜브 채널 : 위기상황 대피훈련 및 교육 동영상 모음 272
 [그림 5-8] 위생안전관리 예방활동 및 점검표 : 사회복지시설운영규정 표준안(별첨자료) 280
 [그림 5-9] 장애인대상 감염병 대응 매뉴얼-코로나19를 중심으로 : 보건복지부 281
 [그림 5-10] 공개채용의 원칙 사례: 사회복지시설 운영규정 표준안 중 인사관리 규정 288
 [그림 5-11] 공정채용의 예시: 인사혁신처 공정채용가이드북 289
 [그림 5-12] 인사위원회 사례: 국가인권위원회 인사관리 규정 290
 [그림 5-13] 인사위원회 사례: 공기업?준정부기관의 인사운영에 관한 지침 291
 [그림 5-14] 사회복지시설의 직위분류의 사례 297
 [그림 5-15] 직무 및 직능등급관리규정의 예: 한국중부발전 298
 [그림 5-16] 사회복지종사자 직급별 주요역량: 세종시복지재단 299
 [그림 5-17] 사회복지시설 인재상 정립 과정 사례 306
 [그림 5-18] 인재상 및 역량모델의 개발: 서울시 인재상 및 역량모델의 개발절차 사례 307
 [그림 5-19] 인재상 및 역량모델의 개발: 서울시 공무원의 역량모델안 308
 [그림 5-20] 인재상과 역량모델의 연계 사례: 서울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찾동)의 인재상 도출 309
 [그림 5-21] 사회복지시설 인재상 정립 과정 사례: 산링청의 인재상 정립모델 310
 [그림 5-22] 사회복지종사자 역량별 학습모듈 및 내용: 경기복지재단 315
 [그림 5-23] 역량별 교육훈련체계의 사례: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316
 [그림 5-24] 공공기관(공기업) 직무 분야별 교육체계 예시: 한국도로공사 317
 [그림 5-25] 공공기관(지방공기업) 직무 분야별 교육체계 예시: 성동구도시관리공단 317
 [그림 5-26] 지방공무원 교육훈련체계: 생애주기별, 직급별, 직무별 역량 정의 318
 [그림 5-27] 종사자 인권보호: 제도적 정비, 사회복지시설 운영규정 표준안 322
 [그림 5-28] 종사자 인권보호 및 사회복지종사자 위기대응메뉴얼 사례 323
 [그림 5-29]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컨설팅 매뉴얼 사례: 일하는 방식 개선 328
 [그림 5-30] 대전시 인력운용계획 사례: 인적자원운영의 안정성 확보 333
 [그림 5-31] 종사자 복리후생: 사회복지시설 운영규정 표준안 337
 [그림 5-32] 후원금 수입?사용 내역 공개 절차 예시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