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서울시 고령인구 밀집지역 사회공간적 특성과 근린환경 개선방향

양재섭 연구책임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개인저자양재섭 성수연 
서명/저자사항서울시 고령인구 밀집지역 사회공간적 특성과 근린환경 개선방향 /양재섭 연구책임 ;성수연 연구.
발행사항서울:서울연구원,2021
형태사항165 p.:삽화, 도표;26 cm
총서사항서울연;2020-BR-11
총서부출표목서울연;2020-BR-11
ISBN9791157005956
일반주기 권말부록: 뉴욕·도쿄의 고령친화 근린환경 개선사례와 시사점 등
서지주기참고문헌: p. 113-117
비통제주제어서울시,고령인구,근린환경,
언어주기영어 요약 있음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14094 S 307 2013-5 v2020-11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114095 S 307 2013-5 v2020-11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14094
청구기호
S 307 2013-5 v2020-11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114095
청구기호
S 307 2013-5 v2020-11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고령인구 밀집지역 사회공간적 특성과 근린환경 개선방향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서울시 고령인구 밀집지역 사회공간적 특성과 근린환경 개선방향
목차 18
 요약 6
 01 연구개요 26
  1_연구배경 및 목적 26
  2_연구내용 및 방법 30
  3_선행연구 검토 33
 02 서울의 고령화 현황과 고령친화도시 정책 동향 38
  1_서울의 고령화 추이와 지역별 현황 38
  2_고령화에 대응한 정책과 사업 추진현황 42
  3_고령친화도시 정책 개선과제 60
 03 고령인구 밀집지역의 현황과 유형별 특성 64
  1_서울의 고령인구 밀집지역 분포 현황 64
  2_고령인구 밀집지역의 유형과 사회공간적 특성 70
  3_고령인구 밀집지역의 근린시설 현황과 공급 특성 77
  4_소결 87
 04 고령인구 밀집지역의 근린환경 진단 및 이용실태 분석 90
  1_고령친화도 진단의 틀 90
  2_사례지역의 근린환경 고령친화도 진단 99
  3_고령인구 밀집지역의 근린환경 이용실태 113
  4_소결 124
 05 초고령사회에 대응한 서울의 근린환경 개선방향 128
  1_지역사회 통합 돌봄과 도시정책의 연계 추진 129
  2_지역 특성을 고려한 고령친화도 진단체계 마련 131
  3_고령친화 커뮤니티 조성을 위한 사업모델 개발 133
  4_도시재생사업 및 지역생활권계획 등과 연계 추진 135
 참고문헌 137
 부록1 뉴욕·도쿄의 고령친화 근린환경 개선사례와 시사점 144
  1_ 뉴욕 144
  2_ 도쿄 160
 부록2 서울시 고령인구 밀집지역 근린환경 이용실태 설문 조사지 176
 Abstract 186
 표 목차 20
  [표 1-1] 서울시 고령친화정책 추진 현황 28
  [표 1-2] 고령인구 밀집지역과 고령친화도시 정책 관련 선행연구 33
  [표 2-1] 고령친화도시 8대 영역별 주요 내용(WHO, 2007) 44
  [표 2-2] 제1기 실행계획 ‘살기 편한 환경’ 분야 추진현황 및 평가 결과 46
  [표 2-3] 서울시 지역중심 어르신 돌봄 커뮤니티 사업 내용 49
  [표 2-4] 서울시 지역중심 어르신 돌봄 커뮤니티 사업 대상지별 사업 내용 49
  [표 2-5] 서울시 2019년 10분 동네 생활SOC 시범사업 추진현황 52
  [표 2-6] 서울시·자치구 공원 중심의 고령친화 환경조성 사업 53
  [표 2-7]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 가입 자치구 현황 55
  [표 2-8] 강북구 건강수명 백세도시 종합계획 중 근린환경 관련 내용 56
  [표 2-9] 도봉구 고령친화도시 3개년 실행계획 중 근린환경 관련 내용 57
  [표 3-1] 서울시 고령인구수 상위 30개 행정동 현황 65
  [표 3-2] 서울시 고령화율 상위 30개 행정동 현황 67
  [표 3-3] 서울시 고령인구 밀집지역(46개 동) 현황 69
  [표 3-4] 서울시 고령인구 밀집지역 유형별 행정동과 지역 예시 71
  [표 3-5] 고령자 이용 6가지 근린시설 분석 자료 77
  [표 3-6] 고령인구 밀집지역과 서울시 내 근린시설 공급 현황 78
  [표 3-7] 고령인구 밀집지역과 서울시 근린시설 총 공급 현황 79
  [표 3-8] 근린시설 서비스 인구 비율 분석 대상 구분 81
  [표 3-9] 경로당 반경 400m 내 서비스 인구 비율 현황 82
  [표 3-10] 노인여가복지시설 반경 800m 내 서비스 인구 비율 현황 82
  [표 3-11] 공원 반경 400m 내 서비스 인구 비율 현황 83
  [표 3-12] 데이케어센터 반경 400m 내 서비스 인구 비율 현황 84
  [표 3-13] 노인의료복지시설 반경 800m 내 서비스 인구 비율 현황 84
  [표 3-14] 보건소 반경 800m 내 서비스 인구 비율 현황 85
  [표 3-15] 고령인구 밀집지역 특성 종합 87
  [표 4-1] 고령인구 보행행태 추적조사 항목 93
  [표 4-2] 고령인구 보행 및 근린환경 이용 추적조사 항목 94
  [표 4-3] 고령인구의 보행 및 근린환경 이용 특성 종합 95
  [표 4-4] 고령친화도 진단 체크리스트 종합 96
  [표 4-5] 고령친화도 진단 조사표(안) 98
  [표 4-6] 고령친화도 진단 조사 추진 일정 99
  [표 4-7] 고령친화도 진단 사례지역: 홍제3동 101
  [표 4-8] 고령친화도 진단 사례지역: 송중동 107
  [표 4-9] 고령인구 근린시설 이용실태 설문조사 응답자 특성 114
  [표 4-10] 동네 커뮤니티 활동 참여 여부와 종류 123
  [표 5-1] 고령친화도 진단 체크리스트(안) 132
 그림 목차 22
  [그림 1-1] 장래 우리나라 고령화 추이와 전망: 1970~2045 26
  [그림 1-2] 저소득 고령인구 밀집지역의 공간적 고착화 28
  [그림 1-3] 연구의 배경과 목적 29
  [그림 1-4] 연구의 주요내용과 흐름 32
  [그림 2-1] 2000년(좌)과 2018년(우) 행정동별 고령인구수 분포 비교 38
  [그림 2-2] 자치구별 고령인구수(2017) 39
  [그림 2-3] 자치구별 고령인구수 전망(2037) 40
  [그림 2-4] 자치구별 고령화율(2017) 41
  [그림 2-5] 자치구별 고령화율 전망(2037) 41
  [그림 2-6] WHO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GNAFCC) 회원도시 현황 42
  [그림 2-7] WHO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GNAFCC) 회원도시 관리체계 43
  [그림 2-8] WHO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GNAFCC) 가이드와 주요 영역 43
  [그림 2-9] ‘오래오래 상점’에 적용된 고령친화요소 48
  [그림 2-10] 찾동 사업 중 ‘SOS돌봄센터’ 운영체계 50
  [그림 2-11] 10분 동네 생활SOC 개념도와 주요 시설 51
  [그림 2-12] 양천구 오솔길 실버공원 54
  [그림 2-13] 강서구 쌈지놀이터 54
  [그림 2-14] 서울시 실버숲 프로그램 54
  [그림 2-15] 강동구 쌈지놀이터 54
  [그림 2-16] 강북구 무장애 배려공원(좌)과 노인보호구역(우) 56
  [그림 2-17] 도봉구 경로당 개관(좌) 및 어르신 맞춤형 커뮤니티케어주택(우) 58
  [그림 2-18]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중 고령화에 대응한 주요 추진과제 59
  [그림 3-1] 서울시 고령인구수 평균(2,880명) 이상 행정동 현황(2015) 64
  [그림 3-2] 서울시 고령화율 14% 이상 행정동 현황(2015) 66
  [그림 3-3] 서울시 저층주거지 내 고령인구수와 고령화율 순위 합 분포(2015) 68
  [그림 3-4] 서울시 고령인구 밀집지역 현황 및 유형별 분포 70
  [그림 3-5] 서울시 고령인구 밀집지역 현황: 고령인구수와 고령화율 72
  [그림 3-6] 서울시 고령인구 밀집지역 현황: 고령인구 중 중졸 이하 비율 73
  [그림 3-7] 서울시 동별 독거노인수(2019) 73
  [그림 3-8] 서울시 고령인구 밀집지역 현황: 자가 비율(2010) 74
  [그림 3-9] 서울시 고령인구 밀집지역 현황: 시가화지역 평균 경사도 75
  [그림 3-10] 서울시 고령인구 밀집지역 현황: 단독·다세대·연립주택 비율 76
  [그림 3-11] 서울시 고령인구 밀집지역 현황: 30년 이상 노후 주택 비율 76
  [그림 3-12] 동별 고령인구수 대비 근린시설 공급량: 고령인구 밀집지역과 서울시 비교 79
  [그림 3-13] 동별 고령인구수 대비 근린시설 공급량: 고령인구 밀집지역 유형별 비교 79
  [그림 3-14] 근린시설별 분포 현황 80
  [그림 3-15] 서비스 인구 비율 분석 방법 예시 81
  [그림 3-16] 근린시설별 서비스 반경 현황 종합 86
  [그림 4-1] WHO 외부환경 및 시설 영역의 체크리스트 주요 항목 90
  [그림 4-2] 고령인구 생애주기별 일상에서 이용하는 외부공간과 시설 92
  [그림 4-3] 고령인구 보행행태 조사결과 예시(홍제3동) 93
  [그림 4-4] 현장조사(2020.11.13.) 모습 99
  [그림 4-5] 조사결과 공유 및 논의 99
  [그림 4-6] 조사대상 블록과 길 구분 100
  [그림 4-7] 홍제3동 내 조사대상지 102
  [그림 4-8] 홍제3동 내 조사대상 범위(블록, 길, 주요 근린시설) 102
  [그림 4-9] 홍제3동 보행환경 주요 문제지점: 안전성 측면 103
  [그림 4-10] 홍제3동 보행환경 주요 문제지점: 안전성 측면 104
  [그림 4-11] 홍제3동 시설 진입부 주요 문제지점: 접근성 측면 105
  [그림 4-12] 홍제3동 보행공간 및 대중교통 주요 문제지점: 편의성 측면 105
  [그림 4-13] 홍제3동 주요 문제점 진단과 유형별 개선사업 예시 106
  [그림 4-14] 송중동 내 조사대상지 108
  [그림 4-15] 송중동 내 조사대상 범위(블록, 길, 주요 근린시설) 108
  [그림 4-16] 송중동 시설 진입부 주요 문제지점: 안전성 측면 109
  [그림 4-17] 송중동 근린시설 주요 문제지점: 접근성 측면 110
  [그림 4-18] 송중동 보행공간 및 대중교통 주요 문제지점: 편의성 측면 110
  [그림 4-19] 송중동 주요 문제점 진단과 유형별 개선사업 예시 111
  [그림 4-20] 고령인구가 집 밖으로 외출하는 주된 목적 115
  [그림 4-21] 주요 외출 목적별 이용 교통수단 116
  [그림 4-22] 주요 외출 목적별 동행인 116
  [그림 4-23] 동네에서 이용(방문)한 적 있는 근린시설 117
  [그림 4-24] 동네 근린시설별 도보 이용 비율 118
  [그림 4-25] 동네에서 이용하기 불편하거나 부족한 시설 119
  [그림 4-26] 걸어서 동네 외출 시 가장 불편한 점 120
  [그림 4-27] 연령대별 걸어서 동네 외출 시 가장 불편한 점 120
  [그림 4-28] 조사지역별 걸어서 동네 외출 시 가장 불편한 점 121
  [그림 4-29] 향후 계속 거주 의향 122
  [그림 4-30] 계속 거주 의향이 있는 이유 122
  [그림 4-31] 동네에서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사항 123
  [그림 5-1] 고령인구가 살기 편한 근린환경 조성 기본방향 128
  [그림 5-2] 건강·의료·복지정책의 연계 방안 예시 130
  [그림 5-3] 고령인구 밀집지역에 대한 정량적·정성적 고령친화도 조사 예시 132
  [그림 5-4] 지역단위 근린환경 통합 개선 사례: 강북구 삼양동 133
  [그림 5-5] 고령친화 생할환경 개선사업 운영 절차(안)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