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로컬랩 동네발전소 사업을 통한 주축조직 성장 요인 분석 연구 :제2020-03-002호

서울시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전략사업실 마을성장팀 기획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단체저자명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전략사업실 .마을성장팀;
서명/저자사항로컬랩 동네발전소 사업을 통한 주축조직 성장 요인 분석 연구:제2020-03-002호 /서울시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전략사업실 마을성장팀 기획.
발행사항서울:서울시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2020
형태사항241 p. :천연색삽화, 도표 ;26 cm
일반주기 권말부록: 센터 담당자 및 주축조직 활동가 대상 설문 ; 활동참여자 대상 설문 ; 일반참여자 대상 설문
서지주기참고문헌 수록
비통제주제어마을 공동체,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19756 S 331.47 2022-5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119757 S 331.47 2022-5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19756
청구기호
S 331.47 2022-5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119757
청구기호
S 331.47 2022-5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로컬랩 동네발전소 사업을 통한 주축조직 성장 요인 분석 연구 :제2020-03-002호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로컬랩 동네발전소 사업을 통한 주축조직의 성장 요인 분석 연구

요약문

목차

Ⅰ.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52
 1) 서울시 마을정책의 성과와 한계 52
 2) 2019년 로컬랩 동네발전소 사업 52
 3) 연구의 필요성 53
 4) 목적 및 추진방향 53
2. 연구의 범위 54
 1) 분석대상 및 분석기준 54
 2) 내용적 범위 54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55
 1) 로컬랩 동네발전소 사업 관련 기초조사 55
 2) 로컬랩 동네발전소 사업 분석모델 설정 55
 3) 설문을 통한 사업의 영향?변화 요인 검정 55
4. 연구모델 설정 56
5. 인터뷰 및 설문조사 57
 1) 인터뷰 57
 2) 설문조사 58

Ⅱ.로컬랩 동네발전소의 정책의도
1. 마을 내 의제의 발굴 및 해결 63
 1) 논의과정 및 정책화 63
 2) 참여주체의 인식 65
2. 마을주체의 성장지원 및 공공적 역할 촉진 67
 1) 논의과정 및 정책화 67
 2) 참여주체의 인식 68
3. 좀 더 높은 단계의 지원사업 개발 및 확산 70
 1) 논의과정 및 정책화 70
 2) 참여주체의 인식 71
4. 마을공동체 활동에 대한 참여자확대 및 다양화 73
 1) 논의과정 및 정책화 73
 2) 참여주체의 인식 75
5. 장기적?지속적 마을공동체 지원 77
 1) 논의과정 및 정책화 77
 2) 참여주체의 인식 79
6. 이상적인 중간지원의 구현 80
 1) 논의과정 및 정책화 80
 2) 참여주체의 인식 83
7. 소결 85

Ⅲ.로컬랩 동네발전소의 사업요소
1. 마을공동체에 기반을 둔 주축조직 92
 1) 참여주체의 인식 92
 2) 정책의도와 사업요소의 연결관계 93
2. 사업에 집중할 수 있는 활동가 95
 1) 참여주체의 인식 95
 2) 정책의도와 사업요소의 연결관계 96
3. 현장 주체성을 살린 다양한 지원 방안 99
 1) 참여주체의 인식 99
 2) 정책의도와 사업요소의 연결관계 100
4. 다양한 환경을 고려한 정책 개발 102
 1) 참여주체의 인식 102
 2) 정책의도와 사업요소의 연결관계 103
5. 마을현장별 전담 연구자 105
 1) 참여주체의 인식 105
 2) 정책의도와 사업요소의 연결관계 106
6. 파트너쉽에 근거한 협업 108
 1) 참여주체의 인식 108
 2) 정책의도와 사업요소의 연결관계 109
7. 더 쉬운 참여 프로그램 111
 1) 참여주체의 인식 111
 2) 정책의도와 사업요소의 연결관계 112
8. 지원사업의 장기적?지속적 운영 114
 1) 참여주체의 인식 114
 2) 정책의도와 사업요소의 연결관계 115
9. 다양한 관련 사업의 융합?조정 117
 1) 참여주체의 인식 117
 2) 정책의도와 사업요소의 연결관계 118
10. 민관?민민 마을거버넌스체계 형성 120
 1) 참여주체의 인식 120
 2) 정책의도와 사업요소의 연결관계 121
11. 안정적인 활동공간 123
 1) 참여주체의 인식 123
 2) 정책의도와 사업요소의 연결관계 124
12. 센터와 주축조직간 정기회의?컨설팅?조율 126
 1) 참여주체의 인식 126
 2) 정책의도와 사업요소의 연결관계 127
13. 사업 기획단계부터 현장활동가 참여 129
 1) 참여주체의 인식 129
 2) 정책의도와 사업요소의 연결관계 130
14. 의제발굴?솔루션개발을 위한 로컬랩 132
 1) 참여주체의 인식 132
 2) 정책의도와 사업요소의 연결관계 134
15. 교육?워크숍 136
 1) 참여주체의 인식 136
 2) 정책의도와 사업요소의 연결관계 137
16. 소결 139
 1) 참여주체의 인식 변화 139
 2) 정책의도와 사업요소의 연결관계 142

IV. 로컬랩 동네발전소의 영향
1. 지역내 의사결정 참여기회 확대 149
 1) 참여주체의 인식 149
 2) 사업요소와 사업경험의 연결관계 150
2. 마을 내 다양한 사업들과의 연결 153
 1) 참여주체의 인식 153
 2) 사업요소와 사업경험의 연결관계 154
3. 마을의제에 대한 주민의 관심과 참여 증가 157
 1) 참여주체의 인식 157
 2) 사업요소와 사업경험의 연결관계 158
4. 거버넌스를 통한 마을의제 해결의 기대감 161
 1) 참여주체의 인식 161
 2) 사업요소와 사업경험의 연결관계 162
5. 공공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부담감 165
 1) 참여주체의 인식 165
 2) 사업요소와 사업경험의 연결관계 166
6. 의견조율과정에서의 감정노동 169
 1) 참여주체의 인식 169
 2) 사업요소와 사업경험의 연결관계 170
7. 새로운 방법론과 과정의 경험 통한 성장 173
 1) 참여주체의 인식 173
 2) 사업요소와 사업경험의 연결관계 174
8. 마을 단위에서의 집중적 활동 가능 177
 1) 참여주체의 인식 177
 2) 사업요소와 사업경험의 연결관계 178
9. 안정적인 마을활동 가능 181
 1) 참여주체의 인식 181
 2) 사업요소와 사업경험의 연결관계 182
10. 담당자 교체 등 여건 변화에 따른 어려움 185
 1) 참여주체의 인식 185
 2) 사업요소와 사업경험의 연결관계 186
11. 다소 만족스럽지 못한 일부 간접지원 189
 1) 참여주체의 인식 189
 2) 사업요소와 사업경험의 연결관계 190
12. 활동참여자의 경험 193
13. 일반참여자의 경험 197
14. 소결 212
 1) 사업주체의 경험과 성장 212
 2) 영향 및 변화를 이끈 요인 217

Ⅴ.연구결과 및 시사점
1. 연구결과요약 230
 1) 주요 정책방향 231
 2) 주요 사업요소 231
 3) 주요 영향?변화 233
 4) 로컬랩 동네발전소 사업의 성과를 이끈 요소 235
2. 정책적 시사점 238
 1) 주축조직 지원의 효과 238
 2) 향후 세심히 살펴보아야 할 사항 239

VI. 참고문헌

VII. 부록

표목차
표 3-1. 각 정책의도와 사업요소 ‘마을공동체에 기반을 둔 주축조직’의 연결성 94
표 3-2. 각 정책의도와 사업요소 ‘사업에 집중할 수 있는 활동가’의 연결성 98
표 3-3. 각 정책의도와 사업요소 ‘현장의 주체성을 살린 다양한 지원 방안’의 연결성 101
표 3-4. 각 정책의도와 사업요소 ‘다양한 환경을 고려한 정책 개발’의 연결성 104
표 3-5. 각 정책의도와 사업요소 ‘마을현장별 전담 연구자’의 연결성 107
표 3-6. 각 정책의도와 사업요소 ‘파트너쉽에 근거한 협업’의 연결성 110
표 3-7. 각 정책의도와 사업요소 ‘더 쉬운 참여 프로그램’의 연결성 113
표 3-8. 각 정책의도와 사업요소 ‘지원사업의 장기적?지속적 운영’의 연결성 116
표 3-9. 각 정책의도와 사업요소 ‘다양한 관련 사업의 융합 ?조정’의 연결성 119
표 3-10. 각 정책의도와 사업요소 ‘민관?민민 마을거버넌스체계 형성’의 연결성 122
표 3-11. 각 정책의도와 사업요소 ‘안정적인 활동공간’의 연결성 125
표 3-12. 각 정책의도와 사업요소 ‘센터와 주축조직간 정기회의?컨설팅?조율’의 연결성 128
표 3-13. 각 정책의도와 사업요소 ‘사업 기획단계부터 현장활동가 참여’의 연결성 131
표 3-14. 각 정책의도와 사업요소 ‘의제발굴?솔루션개발을 위한 로컬랩’의 연결성 135
표 3-15. 각 정책의도와 사업요소 ‘교육?워크숍’의 연결성 138
표 3-16. 사업 경험 후 선택비율 50% 이상인 사업요소 142
표 3-17. 정책의도와 사업요소의 주요 연결관계 144
표 4-1. 각 사업요소와 사업경험 ‘지역내 의사결정 참여기회 확대’의 연결성 152
표 4-2. 각 사업요소와 사업경험 ‘마을 내 다양한 사업들과의 연결’의 연결성 156
표 4-3. 각 사업요소와 사업경험 ‘마을의제에 대한 주민의 관심과 참여 증가’의 연결성 160
표 4-4. 각 사업요소와 사업경험 ‘거버넌스를 통한 마을의제 해결의 기대감’의 연결성 164
표 4-5. 각 사업요소와 사업경험 ‘공공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부담감’의 연결성 168
표 4-6. 각 사업요소와 사업경험 ‘의견조율과정에서의 감정노동’의 연결성 172
표 4-7. 각 사업요소와 사업경험 ‘새로운 방법론과 과정의 경험 통한 성장’의 연결성 176
표 4-8. 각 사업요소와 사업경험 ‘마을 단위에서의 집중적 활동 가능’의 연결성 180
표 4-9. 각 사업요소와 사업경험 ‘안정적인 마을활동 가능’의 연결성 184
표 4-10. 각 사업요소와 사업경험 ‘담당자 교체 등 여건 변화에 따른 어려움’의 연결성 188
표 4-11. 각 사업요소와 사업경험 ‘다소 만족스럽지 못한 일부 간접지원’의 연결성 192
표 4-12. 참여유형별 경험의 차이 196
표 4-13. 일반참여자의 사회적특성별 참여프로그램 200
표 4-14. 일반참여자의 사회적특성별 프로그램 참여계기 202
표 4-15. 사업 경험 후 선택비율 50% 이상인 경험 및 추측 215
표 4-16. 로컬랩 동네발전소 사업의 영향?변화에 대한 참여자의 인식(응답선택비율) 216
표 4-17. 사업요소와 사업경험의 주요 연결관계 221

그림목차
그림 2-1. 주요 정책방향으로 ‘마을 내 의제의 발굴 및 해결’을 선택한 경우 비교 66
그림 2-2. 주요 정책방향으로 ‘마을주체의 성장지원 및 공공적 역할 촉진’을 선택한 경우 비교 69
그림 2-3. 주요 정책방향으로 ‘좀 더 높은 단계의 지원사업 개발 및 확산’을 선택한 경우 비교 72
그림 2-4. 주요 정책방향으로 ‘마을공동체 활동에 대한 참여자확대 및 다양화’를 선택한 경우 비교 76
그림 2-5. 주요 정책방향으로 ‘장기적?지속적 마을공동체 지원’을 선택한 경우 비교 79
그림 2-6. 주요 정책방향으로 ‘이상적인 중간지원의 구현’을 선택한 경우 비교 84
그림 2-7. 주요 정책방향에 대한 인식 변화(센터 담당자) 86
그림 2-8. 주요 정책방향에 대한 인식 변화(주축조직 활동가) 87
그림 3-1. 주요 사업요소로 ‘마을공동체에 기반을 둔 주축조직’을 선택한 경우 비교 93
그림 3-2. 각 정책의도 선택 응답자의 ‘마을공동체에 기반을 둔 주축조직’ 선택 비율 비교 94
그림 3-3. 주요 사업요소로 ‘사업에 집중할 수 있는 활동가’를 선택한 경우 비교 96
그림 3-4. 각 정책의도 선택 응답자의 ‘사업에 집중할 수 있는 활동가’ 선택 비율 비교 97
그림 3-5. 주요 사업요소로 ‘현장의 주체성을 살린 다양한 지원 방안’을 선택한 경우 비교 99
그림 3-6. 각 정책의도 선택 응답자의 ‘현장의 주체성을 살린 다양한 지원 방안’ 선택 비율 비교 101
그림 3-7. 주요 사업요소로 ‘다양한 환경을 고려한 정책 개발’을 선택한 경우 비교 102
그림 3-8. 각 정책의도 선택 응답자의 ‘다양한 환경을 고려한 정책 개발’ 선택 비율 비교 104
그림 3-9. 주요 사업요소로 ‘마을현장별 전담 연구자’를 선택한 경우 비교 106
그림 3-10. 각 정책의도 선택 응답자의 ‘마을현장별 전담 연구자’ 선택 비율 비교 107
그림 3-11. 주요 사업요소로 ‘파트너쉽에 근거한 협업’을 선택한 경우 비교 108
그림 3-12. 각 정책의도 선택 응답자의 ‘파트너쉽에 근거한 협업’ 선택 비율 비교 110
그림 3-13. 주요 사업요소로 ‘더 쉬운 참여 프로그램’을 선택한 경우 비교 111
그림 3-14. 각 정책의도 선택 응답자의 ‘더 쉬운 참여 프로그램’ 선택 비율 비교 113
그림 3-15. 주요 사업요소로 ‘지원사업의 장기적?지속적 운영’을 선택한 경우 비교 114
그림 3-16. 각 정책의도 선택 응답자의 ‘지원사업의 장기적?지속적 운영’ 선택 비율 비교 116
그림 3-17. 주요 사업요소로 ‘다양한 관련 사업의 융합?조정’을 선택한 경우 비교 117
그림 3-18. 각 정책의도 선택 응답자의 ‘다양한 관련 사업의 융합?조정’ 선택 비율 비교 119
그림 3-19. 주요 사업요소로 ‘민관?민민 마을거버넌스체계 형성’을 선택한 경우 비교 121
그림 3-20. 각 정책의도 선택 응답자의 ‘민관?민민 마을거버넌스체계 형성’ 선택 비율 비교 122
그림 3-21. 주요 사업요소로 ‘안정적인 활동공간’을 선택한 경우 비교 123
그림 3-22. 각 정책의도 선택 응답자의 ‘안정적인 활동공간’ 선택 비율 비교 124
그림 3-23. 주요 사업요소로 ‘센터와 주축조직간 정기회의?컨설팅?조율’을 선택한 경우 비교 126
그림 3-24. 각 정책의도 선택 응답자의 ‘센터와 주축조직간 정기회의?컨설팅?조율’ 선택 비율 비교 128
그림 3-25. 주요 사업요소로 ‘사업 기획단계부터 현장활동가 참여’을 선택한 경우 비교 129
그림 3-26. 각 정책의도 선택 응답자의 ‘사업 기획단계부터 현장활동가 참여’ 선택 비율 비교 131
그림 3-27. 주요 사업요소로 ‘의제발굴?솔루션개발을 위한 로컬랩’을 선택한 경우 비교 133
그림 3-28. 각 정책의도 선택 응답자의 ‘의제발굴?솔루션개발을 위한 로컬랩’ 선택 비율 비교 135
그림 3-29. 주요 사업요소로 ‘교육?워크숍’을 선택한 경우 비교 136
그림 3-30. 각 정책의도 선택 응답자의 ‘교육?워크숍’ 선택 비율 비교 138
그림 3-31. 주요 사업요소에 대한 인식 변화(센터 담당자) 141
그림 3-32. 주요 사업요소에 대한 인식 변화(주축조직 활동가) 141
그림 4-1. 주요 사업경험으로 ‘지역내 의사결정 참여기회 확대’를 선택한 경우 비교 150
그림 4-2. 각 사업요소 선택 응답자의 ‘지역내 의사결정 참여기회 확대’ 선택 비율 비교 151
그림 4-3. 주요 사업경험으로 ‘마을 내 다양한 사업들과의 연결’을 선택한 경우 비교 154
그림 4-4. 각 사업요소 선택 응답자의 ‘마을 내 다양한 사업들과의 연결’ 선택 비율 비교 155
그림 4-5. 주요 사업경험으로 ‘마을의제에 대한 주민의 관심과 참여 증가’를 선택한 경우 비교 158
그림 4-6. 각 사업요소 선택 응답자의 ‘마을의제에 대한 주민의 관심과 참여 증가’ 선택 비율 비교 159
그림 4-7. 주요 사업경험으로 ‘거버넌스를 통한 마을의제 해결의 기대감’을 선택한 경우 비교 162
그림 4-8. 각 사업요소 선택 응답자의 ‘거버넌스를 통한 마을의제 해결의 기대감’ 선택 비율 비교 163
그림 4-9. 주요 사업경험으로 ‘공공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선택한 경우 비교 166
그림 4-10. 각 사업요소 선택 응답자의 ‘공공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부담감’ 선택 비율 비교 167
그림 4-11. 주요 사업경험으로 ‘의견조율과정에서의 감정노동’를 선택한 경우 비교 170
그림 4-12. 각 사업요소 선택 응답자의 ‘의견조율과정에서의 감정노동’ 선택 비율 비교 171
그림 4-13. 주요 사업경험으로 ‘새로운 방법론과 과정의 경험 통한 성장’을 선택한 경우 비교 174
그림 4-14. 각 사업요소 선택 응답자의 ‘새로운 방법론과 과정의 경험 통한 성장’ 선택 비율 비교 175
그림 4-15. 주요 사업경험으로 ‘마을 단위에서의 집중적 활동 가능’을 선택한 경우 비교 178
그림 4-16. 각 사업요소 선택 응답자의 ‘마을 단위에서의 집중적 활동 가능’ 선택 비율 비교 179
그림 4-17. 주요 사업경험으로 ‘안정적인 마을활동 가능’을 선택한 경우 비교 182
그림 4-18. 각 사업요소 선택 응답자의 ‘안정적인 마을활동 가능’ 선택 비율 비교 183
그림 4-19. 주요 사업경험으로 ‘담당자 교체 등 여건 변화에 따른 어려움’을 선택한 경우 비교 186
그림 4-20. 각 사업요소 선택 응답자의 ‘담당자 교체 등 여건 변화에 따른 어려움’ 선택 비율 비교 187
그림 4-21. 주요 사업경험으로 ‘다소 만족스럽지 못한 일부 간접지원’을 선택한 경우 비교 190
그림 4-22. 각 사업요소 선택 응답자의 ‘다소 만족스럽지 못한 일부 간접지원’ 선택 비율 비교 191
그림 4-23. 활동참여자 설문 응답자의 참여유형 193
그림 4-24. 활동참여자의 사업에 대한 경험 194
그림 4-25. 참여유형별 사업에 대한 경험 195
그림 4-26. 일반참여 응답자의 연령 및 성별 197
그림 4-27. 일반참여 응답자의 참여프로그램 198
그림 4-28. 참여프로그램별 상위 10개 사회적특성 집단 199
그림 4-29. 일반참여 응답자의 프로그램 참여 계기 201
그림 4-30. 프로그램 참여계기별 상위 10개 사회적특성 집단 202
그림 4-31. 프로그램 참여계기별 참여프로그램 203
그림 4-32. 일반참여 응답자의 프로그램 참여경험 204
그림 4-33. 일반참여 응답자의 프로그램 참여경험 206
그림 4-34. 일반참여 응답자의 프로그램 참여계기별 경험 208
그림 4-35. 일반참여 응답자의 전반적 만족도 209
그림 4-36. 일반참여 응답자의 참여프로그램별 전반적 만족도 210
그림 4-37. 일반참여 응답자의 참여계기별 전반적 만족도 211
그림 4-38. 사업의 영향?변화에 대한 기대와 추측(센터담당자 및 연구자) 212
그림 4-39. 사업의 영향?변화에 대한 기대와 추측(주축조직 활동가) 215
그림 4-40. 마을의제에 대한 주민의 관심과 참여를 이끈 요인 222
그림 4-41. 마을 내 다양한 사업들과의 연결을 이끈 요인 223
그림 4-42. 주축조직의 지역내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기회의 확대 등 이끈 요인 224
그림 4-43. 거버넌스를 통해 의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기대 향상을 이끈 요인 225
그림 4-44. 주축조직의 활동가가 마을 단위에서 집중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한 요인 226
그림 4-45. 주축조직의 활동가가 마을 단위에서 집중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한 요인 227
그림 5-1. 센터 담당자의 사업에 대한 기대와 경험 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