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골목경제 활성화를 위한 로컬브랜드상권의 육성 및 조성방향

홍하연 연구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개인저자홍하연 
서명/저자사항골목경제 활성화를 위한 로컬브랜드상권의 육성 및 조성방향 /홍하연 연구.
발행사항서울:서울신용보증재단,2022
형태사항170 p. :삽화, 도표;26 cm
총서사항기본연구보고서;2022-01
총서부출표목기본연구보고서;2022-01
ISBN9791191096262
일반주기 권말부록 수록
서지주기참고문헌 수록
비통제주제어골목경제,로컬브랜드,상권,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19997 S 325.571 2023-1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119998 S 325.571 2023-1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19997
청구기호
S 325.571 2023-1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119998
청구기호
S 325.571 2023-1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골목경제 활성화를 위한 로컬브랜드상권의 육성 및 조성방향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골목경제  활성화를  위한  로컬브랜드상권의  육성  및  조성방향

연구진

발간사

목차

연구요약

Ⅰ.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26
2.  연구의  목적 30
3.  연구의  범위 32

Ⅱ.  로컬브랜드상권의  기본개념  및  제도
1.  기존  골목상권  활성화  사업의  한계와  로컬브랜드상권의  차별성 38
2.  로컬브랜드상권의  개념 44
3.  공공  및  민간기업의  로컬브랜드상권  관련  제도  및  사업 49
4.  국내외  로컬브랜드상권  활성화  사례  분석 59
5.  시사점 80

Ⅲ.  로컬브랜드상권의  현황과  인식
1.  서울시  골목경제부활  프로젝트  개요 84
2.  데이터로  분석한  서울시  골목상권의  변화 90
3.  로컬브랜드상권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 100
4.  소결 113

Ⅳ.  로컬브랜드상권  기본방향  및  세부전략도출
1.  기본방향  수립의  전제 118
2.  로컬브랜드  활성화  기본방향 118
3.  분야별  활성화  전략 120
4.  상권  유형별  활성화  전략 145

Ⅴ.  지속가능한  운영체계  마련  방안
1.  모니터링  평가  요소  도출 150
2.  상권  거버넌스  구축방안 160
3.  로컬브랜드상권  로드맵 166

Ⅵ.  결론
1.  주요내용  및  시사점 172
2.  연구의  향후과제 175

참고문헌

부록

표  목차
[표  1-1]  서울시  주요  대표  상권의  변화 27
[표  1-2]  연구  내용  및  흐름도 34
[표  2-1]  상권단위  골목상권  활성화사업  지원사업  목록 38
[표  2-2]  골목상권  활성화  사업의  평가기준  종합 40
[표  2-3]  기존  골목상권  활성화  사업과  로컬브랜드상권  지원의  차이점 44
[표  2-4]  로컬브랜드와  유사한  장소성  개념의  정의 45
[표  2-5]  로컬과  관련한  유사개념의  정의 46
[표  2-6]  국정과제  및  실천과제 54
[표  2-7]  도시재생  지역?민간  주도의  특화재생  추진방향 55
[표  2-8]  민간영역의  로컬상권  지원내용 56
[표  2-9]  로컬라이즈  군산의  주요  프로그램 57
[표  2-10]  주체별  역할 58
[표  2-11]  시애틀  시  부서의  역할 72
[표  2-12]  seattle의  10개  BIA  개요 73
[표  2-13]  연도별  소요예산 75
[표  2-14]  Ballard에서  운영되는  분야별  프로그램  계획  내용 76
[표  3-1]  로컬브랜드상권육성  사업방향 85
[표  3-2]  사업주체별  연차별  역할 85
[표  3-3]  분석데이터  정의  및  출처 90
[표  3-4]  임대시세  감소  및  증가  상위  상권(2019~2021) 92
[표  3-5]  매출액  감소  및  증가  상위  상권(2019~2021) 93
[표  3-6]  성장상권  TOP5 95
[표  3-7]  잠재적  성장상권  TOP5 96
[표  3-8]  주요  조사  내용 101
[표  3-9]  응답자  표본  특성 102
[표  3-10]  자치구별  사업추진/지원조직  및  지역상인  표본  분포 103
[표  3-11]  기타의견 113
[표  5-1]  로컬브랜드상권  조성의  주요  키워드 152
[표  5-2]  상권  모니터링  기준에  대한  정의 155
[표  5-3]  S-LOCAL  모델에  따른  사전,  사후  점검  목록  표 156
[표  5-4]  상권관리기구의  운영주체별  특징  및  장,  단점 165

그림 목차
[그림  1-1]  파리의  15분  도시계획과  2040  서울플랜의  보행일상권 26
[그림  1-2]  주거지  근처  골목상권의  성장배경 28
[그림  1-3]  (좌)서울로  사잇길(중구)  (중)열정도(용산구)  (우)성수동  (성동구) 29
[그림  1-4]  문제점을  인식하고  보완하기  위한  연구의  목적  설정 32
[그림  1-5]  서울시  골목상권  1,090개 32
[그림  1-6]  연구의  내용적  범위 33
[그림  2-1]  기존  골목상권활성화  사업의  한계 39
[그림  2-2]  서울시의  특색있는  상권으로  언급되어왔던  상권 41
[그림  2-3]  골목상권  활성화  과정과  그에  따른  한계 43
[그림  2-4]  장소  브랜딩의  과정 46
[그림  2-5]  로컬브랜드  성장과정  기준  분류 47
[그림  2-6]  소프트웨어  중심의  공간구성  변화 48
[그림  2-7]  로컬브랜드  상권의  단계적  방향성 48
[그림  2-8]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로컬브랜드상권  관련  제도  및  사업 49
[그림  2-9]  로컬  크리에이터  유형  분류표 51
[그림  2-10]  (좌)로컬브릿지  화성  (우)부산  로컬크리에이터  육성사업 52
[그림  2-11]  민간/사회적  기업의  관련  제도  및  사업 56
[그림  2-12]  로컬라이즈  군산의  성과 58
[그림  2-13]  당근마켓  사례 60
[그림  2-14]  점포  특화  사례 61
[그림  2-15]  점포  특화  사례  2 62
[그림  2-16]  점포  특화  사례  3 63
[그림  2-17]  점포  특화  사례  4 64
[그림  2-18]  로컬  컨시어지 65
[그림  2-19]  노마도르의  지역기반  로컬콘텐츠 66
[그림  2-20]  도시작가를  통한  공간  큐레이션 66
[그림  2-21]  제주  다자요의  건물개선  사례 67
[그림  2-22]  지역관리회사를  통한  건물주-창업자  상생모델 68
[그림  2-23]  BIA  납세자  위원회  가입을  위한  단계별  조건과  혜택 70
[그림  2-24]  BIA의  선정  절차 70
[그림  2-25]  BIA사이트  내  구득  가능한  정보 72
[그림  2-26]  SEATTLE  BIA 73
[그림  2-27]  시애틀  BIA  현황(좌)  및  예산규모(우) 74
[그림  2-28]  Ballard  BIA영역 75
[그림  2-29]  사업계획시  주체별  의견수렴 75
[그림  2-30]  연도별  소요  예산  비중 76
[그림  2-31]  Ballard  내  시설  및  프로그램 77
[그림  2-32]  아와지섬-일하는  연구섬  프로젝트 78
[그림  2-33]  미국의  로컬소비  촉진  캠페인 79
[그림  2-34]  미국의  로컬소비  촉진  슬로건  적용사례 79
[그림  3-1]  서울시  로컬브랜드  상권  육성사업 84
[그림  3-2]  2022년  로컬브랜드상권  육성사업  대상지  5곳 86
[그림  3-3]  서울시  우리마을가게상권분석서비스 91
[그림  3-4]  서울시  골목상권  1,090개소 91
[그림  3-5]  자치구별  상권  평균  임대시세  증가율  변화(2019~2021) 92
[그림  3-6]  (좌)강동구  고덕,  상일동  일대  (우)금천구  시흥2동  동일여자고등학교  상권  주변 92
[그림  3-7]  자치구별  상권  평균  매출액  증가율  변화(2019~2021) 93
[그림  3-8]  (좌)신우어린이공원  일대,  (우)세화  어린이공원  일대 94
[그림  3-9]  골목상권의  임대시세  대비  매출  증가율(2019~2021) 94
[그림  3-10]  임대료  대비  매출액이  증가한  상권의  대표적  특징 96
[그림  3-11]  군집분석  개념도 97
[그림  3-12]  상권  군집  결과 98
[그림  3-13]  로컬브랜드상권이  가지는  장소  정체성 99
[그림  3-14]  로컬브랜드상권  사업  인지  정도 103
[그림  3-15]  생각하는  로컬브랜드상권 105
[그림  3-16]  로컬브랜드상권  연계  이미지 106
[그림  3-17]  로컬브랜드상권  육성사업  필요성 107
[그림  3-18]  로컬브랜드상권  육성사업  관련  중요  정도 108
[그림  3-19]  공공영역에서  주도적  지원  필요  분야 109
[그림  3-20]  주체별  사업요소의  중요도 109
[그림  3-21]  사업  완료  후  예상  기대효과 111
[그림  3-22]  사업  완료  후  예상  우려사항 112
[그림  4-1]  로컬브랜드상권  조성  기본방향 119
[그림  5-1]  상권  평가요소의  변화 151
[그림  5-2]  키워드  그룹화 153
[그림  5-3]  로컬브랜드상권을  정성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준인  S-LOCAL  모델 154
[그림  5-4]  사전  평가기준  선정을  위한  과정 157
[그림  5-5]  로컬브랜드상권  사전  선정기준 157
[그림  5-6]  사후  평가기준  선정을  위한  과정 158
[그림  5-7]  로컬브랜드상권  사후  모니터링  평가체계 158
[그림  5-8]  로컬브랜드상권의  추진체계 158
[그림  5-9]  소비자  기준에서  상권  브랜딩  평가  사전  /  사후  기준 159
[그림  5-10]  도시청년시골파견제  이인삼각 160
[그림  5-11]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의  로컬크리에이터  육성사업 161
[그림  5-12]  프랑스  앙제시  상권 161
[그림  5-13]  로컬브랜드상권  활성화를  위한  적절  운영조직  형태 163
[그림  5-14]  운영  주체의  중요  역할  분야 164
[그림  6-1]  로컬브랜드상권의  발전방향 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