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한티마을) 대치동 :서울반세기종합전 =Daechi-dong

서울역사박물관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단체저자명서울역사박물관;
서울셀렉션;
서명/저자사항(한티마을) 대치동 =Daechi-dong:서울반세기종합전 /서울역사박물관 [편] ;서울셀렉션 외국어번역.
발행사항서울:서울역사박물관,2022
형태사항399 p. :천연색삽화, 도표;19 cm
ISBN9791190480741
전시주기전시: "한티마을 대치동", 서울역사박물관, 2022.11.30. ~ 2023.3.26.
비통제주제어입시전문,대입컨설팅,
언어주기본문에는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20586 S 911.62 2023-1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120587 S 911.62 2023-1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20586
청구기호
S 911.62 2023-1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120587
청구기호
S 911.62 2023-1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한티마을) 대치동 :서울반세기종합전 =Daechi-dong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대치동

일러두기

전시를 열며

목차

1.역사 속의 대치동
행정구역의 변천 40
역사 지리적 특성 50
대치동 구마을 한티마을 62
 은행나무 제례 94
 한티마을의 변모 100

2. 아파트 숲 대치동
대치동 개발 128
 탄천 ? 양재천 제방 건설 132
 최후의 강남 개발 지역 140
대치동의 대표적 경관,아파트 154
 대치동 1 세대 아파트 단지의 형성 162
 은마아파트 이야기 182
대치동 아파트 주민의 생활공간,아파트 상가 208
 대치동의 전통시장 은마종합상가 214

3. 8학군과 대치동
포화 상태의 강북과 강남 개발 228
강북 학교들의강남 이전 244
 휘문고등학교 252
강남8학군의 형성 268
 맹모강남지교 272

4. 교육타운 대치동
대치동 학원가의 형성과 변화 280
 학원과 입시 제도의 변화 285
 초기 대치동 학원가 288
 대치동 학원 체계의 변화 312
 대치동 학원가의 공간적 특징 322
대치동 교육 지원 시설 338 340
대치동 학원가 사람들 344
 학원강사와 상담실장 346
 대치동가족캠퍼스-학부모 350
 대치동가족캠퍼스-학생 362

5.논고_대치동의 기록: 사교육과 한국 중산층의 주거지/심한별(서울대학교 아시아도시사회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