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서울특별시 물 재이용 관리계획 :보고서 .2023(제2차)

서울특별시 물순환안전국 수변감성도시과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기술용역보고서
단체저자명서울특별시.물순환안전국.수변감성도시과;
서울기술연구원연구기관;
한국종합기술연구기관;
서명/저자사항서울특별시 물 재이용 관리계획:보고서.서울특별시 물순환안전국 수변감성도시과 [편].
발행사항서울:서울특별시 물순환안전국 수변감성도시과,2023
형태사항486 p.,(일부접지) :삽화;30 cm
ISBN9791165999346
비통제주제어서울,,재이용,관리,계획,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21804 S 539.1 2013-10 v2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121805 S 539.1 2013-10 v2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21804
청구기호
S 539.1 2013-10 v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121805
청구기호
S 539.1 2013-10 v2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특별시 물 재이용 관리계획 :보고서 .2023(제2차)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제2차 서울특별시 물 재이용 관리계획 보고서

제2차 서울특별시 물 재이용 관리계획(총론)

목차

1장 총설
1.1 계획 배경 58
1.2 계획 목적 58
1.3 계획 범위 및 내용 59
 1. 공간 및 시간적 범위 59
 2. 내용적 범위 59

2장 물관리 현황 및 물사용량 전망
2.1 물관리 자연현황 68
 1. 지역개황 68
 2. 하천 및 수계 83
 3. 기상 89
 4. 기상 변화 96
 5. 갈수 및 침수피해 99
2.2 물관리 사회현황 103
 1. 인구현황 103
 2. 하천이용현황 104
 3. 하수처리 현황 106
 4. 토지이용현황 107
 5. 물 재이용 산업현황 108
2.3 물부족관련 계획 및 물관리 정책 112
 1. 물부족 예측관련계획 112
 2. 물 재이용 정책 125
2.4 물수급 현황 및 계획 130
 1. 총 물수급 현황 130
 2. 수원별 물수급 현황 131
 3. 물 수급 전망 145

3장 물 재이용시설 운영실태
3.1 빗물이용시설 운영 현황조사 150
 1. 조사대상 선정 150
 2. 대상시설 현황 151
3.2 중수도시설 168
 1. 조사대상 선정 168
 2. 대상시설 현황 169
3.3 하수처리수 재이용 운영 현황조사 188
 1. 시설 현황 188
 2. 중랑천 수계 유지용수 공급(중랑 물재생센터) 188
 3. 마곡지구 하수 재처리수 공급(서남물재생센터) 189
3.4 현황조사 결과 191
 1. 빗물이용시설 현황조사 결과 191
 2. 중수도시설 현황조사 결과 192
 3. 하수처리수 재이용 현황조사 결과 193

4장 물 재이용 관리계획 성과 평가
4.1 평가체계 제시 196
 1. 물 재이용 사업별 평가 주체 196
 2. 물 재이용사업 성과평가 기본방향 197
4.2 물 재이용 관련 성과평가 및 조치 201
 1. 물 재이용 관련 성과평가 201
 2. 종합평가 및 효과 204

5장 물 재이용 현황 및 목표량 설정
5.1 서울특별시 물 재이용 관리 기본방향 210
 1. 정책 목표 210
 2. 정책방향 211
 3. 유역단위 관리계획 검토 211
5.2 물 재이용 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의견수렴 213
 1. 물 재이용에 대한 시민 기본인식 조사 213
 2. 물 재이용에 대한 전문가 인식 조사 214
 3. 건물주 / 운영관리자 인식 조사 216
 4. 시민, 전문가 및 운영관리자의 인식조사 변화 218
5.3 물 재이용 목표량 산정 219
 1. 물 재이용시설 설치가능 대상건축물 검토 219
 2. 개발사업 추이 분석 및 사업계획 추정 237
 3. 빗물이용 사업목표량 산정 방법 239
 4. 중수도 시설 사업목표량 산정방법 241
5.4 빗물이용 관리계획 242
 1. 빗물이용시설 설치 현황 242
 2. 잠재적 빗물이용 가능량 산정 269
 3. 빗물이용시설 설치 계획 274
 4. 목표연도별 빗물이용시설 관리계획 목표량 284
5.5 중수도 관리계획 286
 1. 중수도 법적 설치 대상 구분 286
 2. 중수도시설 설치 가능규모 검토 299
 3. 중수도시설 관리계획 목표량 308
5.6 하수처리수 재이용 관리계획 315
 1. 하수처리수 재이용 방향 315
 2. 하수처리수 재이용 수요계획 317
 3. 하수처리수 재이용 관리계획 목표량 349
5.7 물 재이용 관리계획 목표량 351
 1. 서울특별시 물 재이용 가능 잠재량 351
 2. 서울특별시 2021년~2030년 물 재이용 관리계획 목표량 352
5.8 자치구 물 재이용 관리계획 수립 354
 1. 자치구 물 재이용 관리계획 수립 354

6장 물 재이용시설 수요자측면 확대보급 방안
6.1 수요자 측면의 경제성 확보 방안 366
 1. 경제성 분석 방법 366
6.2 물 재이용 시설 경제성 분석 370
 1. 빗물이용 시설 370
 2. 중수도 시설 371
 3. 서울특별시 처리수 재이용 시설 현황 377

7장 물 재이용에 따른 물순환 변화
7.1 서울특별시 물 재이용 변화의 영향 분석을 위한 하천 물수지 모형 구축 394
 1. 서울특별시 수자원 공급체계(댐, 하천, 지하수 등) 현황 정리 394
 2. 팔당댐 하류 서울특별시 내 물 재이용 관리구역의 분포형 물수지 모형 구축 397
 3. 서울특별시 유역 및 모형 상세 설명 403
 4. 모형 설명 413
 5. 모형 구축 및 매개변수 교정 414
 6. 미계측 유역 매개변수 설정 417
 7. 모형 보정 결과 420
 8. 팔당댐 상류 유역 분포형 물수지 모형 구축 426
7.2 기후변화에 따른 서울특별시 물 재이용 사업 영향 검토 449
 1.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기후변수(강수, 기온 등) 변화 예측 449
 2.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일수 변화가 조경용수, 청소용수 등 물재이용 대상 용수사용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검토 452
 3. 기후변화에 따른 댐, 하천, 지하수 등 서울특별시 용수 공급 기반에 미치는 영향 검토 453
 4. 서울특별시 기후변화대응계획 검토 456
7.3 서울특별시 하천유지용수 부족량 검토 463
 1. 물수지 분석모형을 이용한 서울특별시 하천 유황분석 463
 2. 서울특별시 심미적, 생태적, 친수적 등 다양한 측면의 22개 하천의 유지유량 부족 현황 분석 468
 3. 물 재이용수 하천유지용수 공급방안에 따른 하천 유량 변화 검토 476
 4. 물 재이용수의 하천 유지유량 공급방법에 따른 경제적 영향 검토 477
 5. 기후변화를 고려한 최적 하천 유지유량 공급방법 검토 479
7.4 서울특별시 물수지 지도 작성 483
 1. 기후변화에 따른 과거, 현재 및 미래 서울특별시의 하천 물수지 변화 분석 483
 2. 서울특별시 물 재이용 방안에 따른 과거, 현재 및 미래 서울 특별시의 하천 물수지 변화 분석 485
 3. 서울특별시 과거, 현재, 미래와 물 재이용 방안별 물수지 지도 작성 489

8장 물 재이용 사업계획 수립
8.1 정책 목표 및 주요지표 504
 1. 정책 목표 및 방향 504
 2. 주요 지표 505
8.2 국외 물 재이용 정책 및 사례 506
 1. 국외 수질오염총량관리 제도 506
 2. 국외 물 재이용 성공사례 508
8.3 물 재이용 사업계획 수립 510
 1. 빗물이용시설 설치사업 추진계획 511
 2. 중수도 설치사업 추진계획 513
 3. 하수처리수 재이용사업 추진계획 515

9장 물 재이용 사업시행 및재정계획
9.1 소요사업비 520
 1. 빗물이용시설 사업비 검토 520
 2. 중수도시설 사업비 검토 521
 3. 하수처리수 재이용 사업비 검토 523
 4. 교육 및 홍보 재정계획 528
 5. 목표연도별 재정계획 수립 529

10장 물 재이용 교육 및 홍보
10.1 서울시 관련 제도, 교육 및 홍보 사업 533
 1. 서울시 빗물저금통 설치비 지원 533
 2. 에코마일리지 534
 3. 워터 서울(2021,2022) 537
 4. 서울 물순환 시민문화제 538
10.2 국외 교육 및 홍보 사례 540
 1. 호주의 물 재생물 재이용 540
 2. 미국의 물 재생물 재이용 541

부록
1. 환경부 승인 검토 의견사항 조치결과 544
 - 1차 조치결과 (2 2.10) 546
 - 2차 조치결과 (2 3.01) 554
 - 3차 조치결과 (2 3.03) 560
2. 서울특별시 자문위원회 조치결과 564
 - 서울특별시 자문위원회 (2 2.08) 566
3. 서울특별시 지속가능성 검토의견 조치결과 568
 - 서울특별시 지속가능성 검토 (2 3.03) 572
4. 물 재이용시설 설치 대상(2030년 기준) 574
5. 물 재이용시설 현황조사 야장 5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