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서비스 개발

공유하기

서울의 도서관 [이용 후1] 한 눈에 이해하기 -도서관 IN 서울

2021-08-18조회 247

작성자
도서관정책과(02-2133-0210)

[도서관 IN 서울 - 18 : 45 TUESDAY] 

서울의 도서관을 한 눈에 이해하기, 이용 후1입니다.  

도서관을 방문한 원이와 은성이는 도서관의 지식정보공간, 교육문화공간, 커뮤니키공간, 조직을 둘러봤습니다.

우리동네 '딱 중간 도서관'은 일년에 298일, 일주일에 68시간, 하루평균 11.3시간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원이!!

그런데 왜 카페만큼 도서관을 자주 가지 않는 걸까요?

도서관을 이용할수록 도서관 친근감 향상, 이용빈도 증가, 지식과 경험 획득으로 자신감도 향상된다고 하지만, 원이는 아직 회원가입을 하지 않았습니다.


도서관 이용후 시민들의 인식을 인포그래픽으로 함께 살펴보면서 원이를 이해해 볼까요?

이미지 내용 게시글 하단에 포함이미지 내용 게시글 하단에 포함


<도서관 IN 서울>, 인포그래픽에 담긴 데이터가 궁금하시다면 열린 도서관정책 보고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 이용 후1] 통계 데이터 출처 :

열린 도서관정책, 1: 서울시 공공도서관 서비스 환경조사 https://lib.seoul.go.kr/bbs/content/17_51387

서울시 공공도서관 시민서비스 성과조사 용역 결과보고서  https://lib.seoul.go.kr/bbs/content/17_50490?pn=3&


<이미지 내용>
서울시 '딱 중간 도서관'을 이용한 원이는 ...
우리동네 도서관은 일년에 298일, 일주일에 68시간, 일평균 11.3시간 이용할 수 있습니다.(자치구 중위수 기준)
제가 관심있는 전자자료는 8,583권뿐이어서 스마트폰으로 전자책을 주로 이용하는 전 좀 아쉬웠어요.

우리 도서관 회원은 성인 9,393명, 청소년 872명, 어린이 831명
우리 도서관 좌석 수는 일반석 91석, 어린이석 50석, 어르신·장애인석 2석, PC석 7석
일년동안 방문자는 195,729명, 대출자는 7,747명, 회원 한 명이 일년동안 평균 14권을 대출해요.
2019년 국민독서실태조사를 보면 회원들은 우러 2.8회 이용한다고 하네요. 카페는 매일 가는데...

프로그램은 66회(주1.1회), 4,867명이 참여했어요.
도서관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 71.3%, 문화프로그램 14.9%, 독서프로그램 13.8%

도서관 운영위원회는 10.7명의 위원이 일년에 1.97회 정도 회의를 한대요.
50대, 40대, 60대 순으로 많이 참여합니다. 저도 위원외 될 수 있을까요?

서비스데스크에서 회원가입 안내를 받았습니다.
회원확보는 도서관 홍보물 25.8%, 프로그램 참여자 권유 21.2%, 서비스 문의 시 안내 18.6%, 동아리 참여자 권유 18.3%, 주민센터 홍보물 게재 10.0%
서비스는 대출반납 알림서비스 25.3%, 행사 알림서비스 23.7%, 희망도서 알림서비스 22.9%, 커뮤니티 홍보서비스 16.8%, 뉴스레터 발송서비스 5.4%, 공간 대관서비스 4.7%

그런데 아직 회원가입을 안했어요!
왤까요?

도서관 이용 후 시민들은?
도서관을 이용한 시민분들은 도서관 활동에 대해 어떻게 평가했을까요?
도서관의 주요 활동인 <생애주기별 개인역량 강화>, <지역커뮤니티 활동지원>, <지식정보 콘텐츠 확충>, <취약계층을 위한 정보접근성 향상> 사업에 대한 만족도는 사업별로 격차는 있지만, 긍정적으로 평가했어요.
도서관을 이용할수록 도서관 친근감 향상, 도서관 이용빈도, 지식과 경험 획득으로 자신감이 향상된다고 영향을 받았어요.
조사응답자의 83.6%는 도서관이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느꼈대요.

<2020 서울시 공공도서관 서비스 성과 조사(시번조사 결과)>
▶ 영향
도서관 친근감 향상 88.9%
도서관 이용빈도 증가 85.9%
지식·경험 획득으로 자신감 향상 84.5%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한 역할 83.6%
학업 / 취업 / 업무 성과 79.7%
문제해결에 중요한 역할 72.9%
고민·문제해결 도움으로 든든함 72.5%
지역·공동체 소속감 67.4%
자원봉사·재능기부 활동으로 인한 자부심 56.0%

▶ 생애주기별 개인역량강화
다양한 경험 90.9%
새로운 정보기술 제공 85.9%
개인역량 개발 도움 83.9%
정보자료 활용능력 향상 85.5%
문제해결 역량 향상 81.3%

▶ 지역커뮤니티 활동 지원
다양한 지식과 정보 습득 75.9%
지역사회 기여 57.0%
소통역량 향상 68.1%
친구/단체 관계 확대 51.5%

▶ 지식정보 콘텐츠 확충
정보획득 90.4%
온라인 정보자료 이용편의 84.7%
경제적 부담 경감 89.7%
거주지역 관심 73.5%

▶ 취약계층을 위한 정보접근성 향상
다양한 정보자료 이용 93.5%
도서관 이용 기회 확대 77.3%
문제해결 도움 85.0%
도서관만의 서비스 제공 89.2%




공모전, 경품 행사 등 추첨 관련 게시글의 경우 앱 배포처(구글, 애플 등)와는 관계없음을 안내드립니다.

  • 자료관리

    도서관정책과 김지혜

    2133-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