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문화·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의 필요성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도서관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고,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합니다.
지식정보취약계층이란?
‘신체적, 문화적, 경제적, 사회적 여건으로 인하여 도서관 접근에 제약이 있는 계층 또는 지식정보에 접근·수용·활용할 수 있는 기회와 능력에서 차이를 보이는 계층’을 말합니다. 이 사업에서 제시하는 취약계층 범주는 아래와 같습니다. (관련 분야의 법령과 논문 등을 참고하여 설정되었습니다.)
지식정보취약계층 범주- 신체적 취약계층, 문화적 취약계층, 경제적 취약계층, 사회적 취약계층
신체적 취약계층
장애, 노령화 등 신체 약화로 인해 발생하는 정보접근 취약계층
문화적 취약계층
외국인, 다문화가정 등 언어・문화 다양성으로 발생하는 정보접근 취약계층
경제적 취약계층
소득 격차 및 실업・실직 등으로 발생하는 정보접근 취약계층
사회적 취약계층
한부모 가족, 학교밖청소년 등 사회적 편견과 경제적 취약성이 결합되어 발생하는 정보접근 취약계층
사업 내용
자치구의 대표도서관에 ‘지식정보취약계층 지원센터’의 역할을 부여하여 사업을 총괄하도록 합니다.
자치구의 지역 실태를 조사하고, 취약계층의 요구를 파악하는 연구조사를 실시하여 지역밀착형 서비스를 계획합니다.
자치구 안의 여러 도서관과,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지역 기관(예: 복지관, 다문화가정지원센터 등)들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운영합니다.
연구조사의 결과와 지역 기관과의 협력을 기반으로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프로그램 운영: 취약계층의 특성과 요구를 고려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자료 구입: 큰글자책, 점자책, 오디오북 등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구입합니다.
정보서비스 제공: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도서관 이용법이나, 관내 복지기관 정보 등 취약계층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자료(인쇄물, 영상 등)를 만들어 배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