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축제BI

서울지식이음의 휘장(심볼마크) - ㅈㅅㅇㅇ 서울지식이음의 휘장2(심볼마크) - ㅈㅅㅇㅇ

서울지식이음의 휘장(심볼마크)은

서울지식이음축제·포럼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디자인 요소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며 통합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지식이음’은 시민 모두가 ‘책’과 ‘도서관’을 넘어 ‘지식을 경험하고 공유한다는 의미입니다.
한글초성은 사람, 상승, 공존, 균형을 의미하며, 하나로 연결된 형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사람’과 ‘지식’, ‘사람’과 ‘문화’를 잇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형태는 지식이 공존하는 ‘미래의 도서관’과 ‘서울’을 나타내고 있으며,
‘연결’과 ‘확산’을 의미하는 형태와 함께 표현된 다양한 색상은 모두가 즐기는 <서울지식이음축제>의 다채로운 행사 프로그램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추진근거

  • 「지식문화도시, 서울」을 위한 도서관종합발전계획(시장방침 제109호)

추진배경

  • 서울시민 도서관 이용실태조사와 서울시 도서관 정책토론회 결과, 자치구·도서관·주민간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공론장 및 공론활동이 부족했다는 의견
  • 「지식문화도시, 서울」을 위한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수립에 따라 정책 지향 변화
  • 시민요구와 정책방향에 부응하는 행사 추진 필요

축제개요

  • 행사명 : 2022 서울지식이음축제·포럼
  • 일시 : 2022. 10. 22.(토) ~ 29.(토)
  • 내용 :
    • 기존 '독서', '출판' 중심의 축제에서 벗어난, 시민의 자발적인 지식문화 공유와 확산을 위한 도서관 축제
    • 포럼을 통해 변화하고 있는 서울시 도서관 정책 사업의 방향 및 현황, 성과 등에 대한 생각을 나누고,
    •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축제 프로그램을 통해 지식문화를 함께 만들고 공유하는 서울시 도서관의 미래 역할을 모색함
  • 축제 홈페이지 : http://www.seoul-ieum.kr 축제 인스타그램 축제 페이스북 서울도서관 TV

주요 변화

  • 2008년 ~ 2011년

    문화예술과(문화본부 내) 주관
    북 페어
    마켓형
    독서문화진흥
    출판 중점
    도서판매 중심

  • 2012년 ~ 2018년

    서울도서관 주관
    문화교류형
    도서관 및 독서생태계 공동체 중점
    시민참여시작(축제추진협의체, 자원활동가)
    축제 공간 변화(몽골 부스 비사용)
    축제 주제 채택(공룡, 로봇, 집, 말과 글)
    대표 프로그램 개발 시행(축제도서관, 독서동아리의 방, 달빛독서)
  • 2019년(축제 리브랜딩)

    도서관 전면 활용 첫 시도
    리브랜딩과 함께 이전 축제 포맷에서 변화

    [아이디어톤]
    사전선발, OT, 오프라인 문제해결 및 발표형
    [포럼]
    도서관기획, 강의형(도서관정책주제)
    [도돌이]
    이벤트 프로그램
  • 2020년(온라인 축제 30일)

    온라인, 지식이음으로 전환되며 성인이용자로 전환
    DSI 도입해 아이디어톤형식 차년도 응용

    [아이디어톤]
    DSIJAM 대체
    [포럼]
    기획, 강의형(도서관, 인문학주제)
    [도돌이]
    프로그램 기획서
  • 2021년(온라인 축제 10일)

    전면시민참여형, 사전활동형으로 고관여자 109명으로 확대

    [아이디어톤]
    시민참여, 과정중심, 사서연계활동
    [포럼]
    시민참여, 토크형(다양한세대별주제)
    [도돌이]
    프로그램직접기획, 실행
  • 자료관리

    도서관정책과 김지혜

    2133-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