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서울시 주거취약계층 및 외국인 실태조사 :서울시 주거취약계층 .2017-[1]

서울특별시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학술용역보고서
단체저자명서울특별시;
서명/저자사항서울시 주거취약계층 및 외국인 실태조사 :서울시 주거취약계층.서울특별시 [편].
발행사항서울:서울특별시 ,2017
형태사항209 p. :표;30 cm
ISBN9791161610269
9791161610252 (세트)
일반주기 임의권차부여
권말부록수록
서지주기참고문헌수록
비통제주제어서울시,주거취약계층,외국인,실태조사,주택,주거,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097137 S 335.8 2017-3 v2017-1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097138 S 335.8 2017-3 v2017-1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097137
청구기호
S 335.8 2017-3 v2017-1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097138
청구기호
S 335.8 2017-3 v2017-1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주거취약계층 및 외국인 실태조사 :서울시 주거취약계층 .2017-[1]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2017]서울시 주거취약계층 및 외국인 실태조사(서울시 주거취약계층)
요약문 6
차 례 23
 제1장 서론 32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3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5
 제2장 국내 연구 및 사례 37
  2.1. 국내 연구 38
   2.1.1. 김혜승ㆍ김태환(2008) 38
   2.1.2. 남철관 (2009) 41
   2.1.3. 변용찬 외 (2010) 44
   2.1.4. 서종균 (2010) 46
   2.1.5. 이헌석ㆍ이경수(2011) 46
   2.1.6. 서종균 (2011) 48
   2.1.7. 남원석 (2013) 52
   2.1.8. 김희걸ㆍ남혜경 (2015) 55
   2.1.9. 박정민 외 (2015) 55
  2.2. 국토교통부 정책 57
   2.2.1. 주거취약계층 주거지원 57
   2.2.2. 주거급여 66
   2.2.3. 매입임대주택 68
   2.2.4. 영구임대주택 69
   2.2.5.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70
  2.3.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71
  2.4. 서울시의 사례 72
   2.4.1. 서울형 주택바우처 72
   2.4.2. 리모델링형 사회주택 74
   2.4.3. 사회주택 공급 사업 76
   2.4.4. 노숙인 자활 및 복지 사업 76
   2.4.5. 보호필요여성 주거지원 사업 77
   2.4.6. 각종 취약계층 주거지원 사업 77
   2.4.7. 기타 취약계층 지원 사업 78
   2.4.8. 종합 79
  2.5. 소결 79
 제3장 국외 연구 및 사례 83
  3.1. 국외 연구 84
  3.2. 국외 사례 87
   3.2.1. 미국 연방정부의 Worst Case Housing Needs 87
   3.2.2. 미국 주요 도시의 주거취약계층 유형 및 정책 89
   3.2.3. 영국 (런던) 95
   3.2.4. 호주 100
   3.2.5. 캐나다 105
  3.3. 소결 107
 제4장 이차자료의 분석 및 결과 110
  4.1. 주거실태조사 일반조사 111
   4.1.1. 주거비 과부담 가구의 특성 112
   4.1.2.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 특성 114
   4.1.3. 소결 116
  4.2. 주거실태조사 특수조사 117
   4.2.1. 기본 방향 117
   4.2.2. 주요 결과 118
   4.2.3. 소결 123
  4.3. 가계금융복지조사 123
   4.3.1. 기본 방향 123
   4.3.2. 주거비부담 횡단면 비교 분석 (2012년, 2015년) 124
   4.3.3. 주거비부담 패널 분석 (2012년~2015년) 128
  4.4. 서울형 주택바우처 수급자 전수조사 130
  4.5. 소결 132
 제5장 서울 주거취약계층 실태조사 및 결과 134
  5.1. 조사설계 135
  5.2. 기초통계 136
  5.3. 주거취약성 분석 146
   5.3.1. 물리적 기준 146
   5.3.2. 주거비부담 기준 153
   5.3.3. 주관적 주거취약성 기준 157
   5.3.4. 특수 집단의 주거취약성 분석 162
   5.3.5. 주요 주거문제 집단의 주거취약성 분석 164
  5.4. 소결 166
 제6장 서울 주거취약계층을 위한 정책설계 169
  6.1. 서울형 주거취약계층의 정의 및 유형화 170
   6.1.1. 현재 주거상태가 취약한 가구 170
   6.1.2. 향후 주거상태가 취약해질 가능성이 높은 가구 172
  6.2. 서울형 주거취약계층 정책의 주요 내용 177
   6.2.1. 서울형 주거취약계층의 차별적 접근 177
   6.2.2. 서울형 최저주거기준의 개발 177
   6.2.3. 서울형 주거비부담 지표의 개발 177
   6.2.4. 서울 주거취약계층의 파악 및 모니터링 178
   6.2.5. 주거취약계층 내 지원의 우선순위 고려 180
   6.2.6. 주거취약계층 유형을 고려한 정책체계 구축 180
   6.2.7. 정책 효과의 모니터링 및 성과지표 개발 181
   6.2.8. 주거취약계층을 위한 계층혼합형 용도지역제(Inclusionary Zoning) 시행 181
   6.2.9. 지원주택의 공급 확대 182
   6.2.10. 기존 주택재고의 재활용 182
   6.2.11. 주거취약계층 대상의 임대료 보조 183
   6.2.12. 위기가구를 대상으로 한 주거지원 강화 183
   6.2.13. 주거취약계층 명부의 작성 및 관리 183
 제7장 요약 및 결론 185
 참고문헌 189
 부록 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