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녹천교 등 12개시설 정밀안전점검용역 :종합보고서 .[8] ,문이교

서울특별시 북부도로사업소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기술용역보고서
단체저자명서울특별시.북부도로사업소;
삼림엔지니어링[점검기관];
시설물안전연구원[점검기관];
서명/저자사항녹천교 등 12개시설 정밀안전점검용역:종합보고서.서울특별시 북부도로사업소 [편].
발행사항서울:서울특별시 북부도로사업소,2020
형태사항85 p. (일부접지):삽화, 설계도, 표;30 cm
일반주기 임의권차부여
단면인쇄임
권말부록: 과업지시서 등
비통제주제어도로안전,교량안전,시설물안전,안전진단,정밀안전진단,안전점검,정밀안전점검,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12213 S 534.8 2021-8 v8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112214 S 534.8 2021-8 v8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12213
청구기호
S 534.8 2021-8 v8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112214
청구기호
S 534.8 2021-8 v8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녹천교 등 12개시설 정밀안전점검용역 :종합보고서 .[8] ,문이교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제 출 문

안전진단전문기관 등록증

정밀안전점검 결과표 및 실시결과 요약표

참여기술자 명단

시설물 위치도 및 전경사진

요 약 문

목      차
제 1 장 정밀안전점검의 개요 30
 1.1 과업의 명칭 31
 1.2 점검의 목적 31
 1.3 시설물의 개요 31
 1.4 점검의 범위 및 내용 31
 1.5 사용장비 및 시험기기 현황 35
 1.6 과업수행일정 36
 1.7 교량기호의 정의 38
제 2 장 자료수집 및 분석 39
 2.1 설계도서 및 시공관련 자료 수집 40
 2.2 기존 정밀안전점검 실시결과 41
 2.3 점검 이력 43
 2.4 보수·보강 이력 43
 2.5 시설물의 내진설계 여부 확인 44
 2.6 자료수집 분석결과 및 점검계획 45
 2.7 관련도면 46
제 3 장 현장조사 및 시험 53
 3.1 개요 54
 3.2 외관조사 결과 59
 3.3 재료시험 및 측정 결과 67
제 4 장 상태평가 및 안전등급 지정 74
 4.1 개요 75
 4.2 상태평가 결과 80
 4.3 안전등급 지정 82
제 5 장 보수·보강 및 유지관리 방안 83
 5.1 보수·보강 개요 84
 5.2 유지관리 방안 104
제 6 장 종합결론 및 건의 109
 6.1 정밀안전점검 실시결과의 종합결론 110
 6.2 정밀안전진단 및 시설물의 사용제한의 필요성 여부 113
 6.3 유지관리시 특별한 관리가 요구되는 사항 113
 6.4 종합결론 및 건의 113

표 목 차
<표 1.6.1> 과업수행일정 37
<표 1.7.1> 교량기호의 정의 38
<표 2.1.1> 자료수집 결과 40
<표 2.2.1> 기 점검 및 진단의 실시결과 41
<표 2.2.2> 현장조사 결과(정밀안전점검) 41
<표 2.2.3> 재료시험 결과(정밀안전점검) 41
<표 2.2.4> 상태평가 결과(정밀안전점검) 42
<표 2.3.1> 주요 점검 및 진단 이력 43
<표 2.4.1> 보수 · 보강 이력 43
<표 3.2.1> 교면포장 손상물량 59
<표 3.2.2> 난간 및 연석, 보도부 손상물량 60
<표 3.2.3> 바닥판 하면 손상물량 62
<표 3.2.4> 교대 손상물량 63
<표 3.2.16> 점검항목 및 유지관리 방안 64
<표 3.2.17> 방호울타리 손상현황 64
<표 3.2.5> 기 점검결과와의 비교.검토 66
<표 3.2.6> 기 점검결과와의 비교·검토 결과 66
<표 3.3.1> 정밀안전점검의 기본과업 재료시험 기준수량 67
<표 3.3.2> 정밀안전점검의 기본과업 재료시험 기준수량 68
<표 3.3.3> 부재별 콘크리트 재료시험 총괄표 68
<표 3.3.4> 반발경도 시험에 의한 콘크리트 압축강도(단위: MPa) 70
<표 3.3.5> 반발경도시험 결과비교(단위: MPa) 70
<표 3.3.6> 탄산화 깊이의 측정결과 73
<표 3.3.7> 탄산화 깊이 측정결과 비교 73
표 4.1.1> 부재별 상태평가 적용 범위 75
<표 4.1.2> 콘크리트 바닥판 상태평가 기준 76
<표 4.1.3> 교대 상태평가 기준 76
<표 4.1.4> 기초 상태평가 기준 77
<표 4.1.5> 교면포장 상태평가 기준 77
<표 4.1.6> 난간 및 연석 상태평가 기준 77
<표 4.1.7> 탄산화 상태평가 기준 78
<표 4.1.8> 구조형식에 따른 일반교량의 부재별 가중치 78
<표 4.1.9> 결함도 점수 범위에 따른 기준 79
<표 4.1.10> 안전등급 기준 80
<표 4.2.1> 부재별 상태평가 결과 80
<표 4.2.2> 결함도 점수 범위에 따른 기준 81
<표 4.2.3> 본교 전체의 상태평가 결과 81
<표 4.2.4> 전체 교량의 대표 상태평가 결과 81
<표 4.2.5> 기 점검결과ㅏ 비교분석 81
<표 4.3.1> 안전등급 기준 82
<표 5.1.1> 보수·보강 우선순위 선정기준 86
<표 5.1.2> 콘크리트 균열의 보수공법 적정성 비교 87
<표 5.1.3> 수지주입 공법의 종류 88
<표 5.1.4> 저압·저속식 주입방법 89
<표 5.1.5> 균열폭에 알맞은 수지의 점성도 89
<표 5.1.6> 균열폭에 따른 주입파이프의 간격 89
<표 5.1.7> 수지계 주입재의 특징 90
<표 5.1.8> 단면복구(보수) 공법비교안 95
<표 5.1.9> 도장재 비교표 100
<표 5.1.10> 손상내용별 보수방안 및 우선순위 산정 103
<표 5.1.11> 총괄개략공사비 103
<표 5.2.1> 유지관리 사항 108
<표 5.2.2> 중점 유지관리 사항 108

그림 목 차
<그림 1.6.1> 정밀안전점검 과업수행 흐름도 36
<그림 2.5.1> 교량터널통합관리시스템 내진성능 확보 여부 45
<그림 2.5.2> 내진성능 평가 결과(도로시설물 내진성능 평가용역 종합보고서, 2010.05) 45
<그림 2.7.1> 일반도 46
<그림 2.7.2> 슬래브 일반도 47
<그림 2.7.3> 슬래브 배근도 48
<그림 2.7.4> 벽제 배근도 및 주철근 조립도 49
<그림 2.7.5> 날개벽 배근도 50
<그림 2.7.6> 접속 슬래브 배근도 51
<그림 2.7.7> 교명주 및 난간 상세도 52
<그림 3.2.1> 횡단면도 59
<그림 3.2.2> 난간 및 연석, 보도부 상세도 60
<그림 3.2.3> 슬래브 일반도 61
<그림 3.2.4> 교대 일반도 63
<그림 3.2.9> 도로부속시설물 및 교통안전시설 현황 64
<그림 3.3.1> 콘크리트 재료시험 위치도 68
<그림 3.3.2> 반발경도 측정결과 70
<그림 3.3.3> 반발경도시험 결과 비교 71
<그림 3.3.4> 탄산화 깊이 측정 그래프 73
<그림 4.1.1> 전체 교량의 상태평가 결과 산정 방법 예 79
<그림 5.1.1> 표면처리 공법 시공 흐름도 87
<그림 5.1.2> 균열부 표면처리 공법 개요도 88
<그림 5.1.3> 주입파이프 설치도 89
<그림 5.1.4> 균열 수지주입 공법 개요도 90
<그림 5.1.5> 철근이 부식하지 않는 경우의 충전공법 및 시공흐름 91
<그림 5.1.6> 철근이 부식된 경우의 충전공법의 흐름도 92
<그림 5.1.7> 철근이 부식된 경우의 충전공법 93
<그림 5.1.8> 단면복구 공법 개요도 94
<그림 5.1.9> 강재의 부식과정 및 원리 98
<그림 5.1.10> 도막두께 부족으로 인한 부식발생 98
<그림 5.1.11> 절삭 후 덧씌우기(아스콘 팻칭) 공법 시공흐름도 101
<그림 5.2.1> 유지관리의 흐름도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