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시장경제와 외국인투자 유치 =Promoting foreign investment for a market economy

모종린 편저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모종린 
서명/저자사항시장경제와 외국인투자 유치=Promoting foreign investment for a market economy /모종린 편저
발행사항파주:나남,2010
형태사항276 p.:도표,22 cm
총서사항나남신서;1495
대등표제Promoting foreign investment for a market economy
ISBN9788930084956
서지주기색인수록
비통제주제어외국인투자,투자유치정책,투자,기업,금융,시장,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EM0000007417 327.98 2010-1 보존서고1 신청가능
신청하기   ▶

보존서고1 신청가능

No.
1
등록번호
EM0000007417
청구기호
327.98 2010-1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목차 전체

제1장 시장경제 친화적 외국인 투자 유치_김지은ㆍ모종린 1. 시장개방과 외국인 투자 유치 2. 역차별 실태와 논쟁 3. 역차별의 비용 4. 역차별 최소화를 위한 외국인 투자 유치 방안 5. 책의 구조 제2장 외국 금융자본 유치와 금융선진화의 성공조건_김치욱 1. 서론 2. 외국 금융자본의 진출 현황 3. 외국 금융자본과 한국의 금융선진화 4. 금융선진화의 성공조건 5. 결론 제3장 한국의 외국인직접투자 유치정책: 역사적 개관과 발상의 전환_류상영 1. 한국경제의 성장과 외국인 직접투자: 정책의 역사적 개관 2. 세계화와 외국인 직접투자: 1997년에서 2008년까지 3. 한국 내 외국인직접투자의 변화 추이와 성격 4. 유치 전략을 넘어서: aggressiveness vs. attractiveness 제4장 해외 고급인력 유치전략의 방향: 두뇌순환의 관점에서_이인재 1. 문제제기 2. 고급인력의 국제이동 패턴 3. 고급인력 국제이동의 이론적 검토 4. 고급인력 유치정책의 국제비교 5. 고급인력 유치전략의 방향 제5장 외국교육기관과 외국인학교의 유치와 발전_김의성ㆍ모종린 1. 서론 2. 외국교육기관 유치와 국내 외국인학교 정책 현황 3. 외국인 교육기관 공급 과잉 논쟁의 대두와 쟁점 4. 정부 유치와 규제 정책의 문제점 5. 외국인 교육기관과 외국어매체 교육기관 6. 결론 제6장 해외대학 유치의 이상과 현실: 독립 분교 유치에서 조인트대학 캠퍼스 지원으로_김보훈ㆍ모종린 1. 서론 2. 한국의 고등교육시장 개방 정택과 현황 3. 싱가포르ㆍ두바이ㆍ카타르ㆍ일본 등 주요국 사례 4. 해외대학 유치의 올바른 방향ㆍ독립분교 유치에서 조인트캠퍼스 지원으로 제7장 마케팅 중심의 외국인 투자 유치 전략_김지은 1. 서론 2. 마케팅의 기본 개념 3. 마케팅 이론의 응용현황: 투자유치기관의 마케팅 글로벌 스탠더드 4. 마케팅 관점에서 본 한국의 외국인투자 유치능력 평가 5.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마케팅능력 강화를 위한 정책 제언 6.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