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東洋 都市史 속의 서울 :아시아 도시 비교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단체저자명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명/저자사항東洋 都市史 속의 서울:아시아 도시 비교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편].
발행사항서울: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4
형태사항xiv, 533 p.:삽도;23 cm
총서사항시정연;94-R-30
대등표제동양 도시사 속의 서울
일반주기 국제공동연구 : 1아시아도시비교연구
비통제주제어도시사,서울,도시계획,중국,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006685 S 331.47 1994-2 c2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016902 S 331.47 1994-2 c3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3 SG0000006684 S 331.47 1994-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006685
청구기호
S 331.47 1994-2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016902
청구기호
S 331.47 1994-2 c3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3
등록번호
SG0000006684
청구기호
S 331.47 1994-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東洋 都市史 속의 서울 :아시아 도시 비교연구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표지

참고문헌

목차

제1부 동양의 고대 도시
중국의 고대 도성: 고대의 도성계획/허이예쥐 20
 제1편 중국 고대 도성계획 체계의 형성과 그 전통 발전에 관한 몇 가지 문제 20
  1. 중국의 고대 도성계획 체계는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22
 제2 편 노도계획과 영국제도 32
  1. 서론 32
  2. 서주시대 노도계획에 대한 고찰 35
  3. 노도계획을 통한 서주 영국제도의 논증 46
  4. 결론 50
한국의 고대도성/성주역 54
 1. 머리말 54
 2. 고구려 도성 55
 3. 백제도성 63
 4. 신라 도성 71
 5. 가야의 성곽 75
 6. 맺음말 77
일본의 고대 도성/키시 도시오 102
 1. 도성제의 형성 102
 2. 도성의 원류 113
 3. 도성과 율령제 127

제2부 동양에서의 중세와 도시
중국의 중세 도시/야마네 유기오 142
 1. 중국 도시의 연혁 142
 2. 중세전기의 도시 144
 3. 중세후기의 도시 152
 4. 끝으로 164
일본 중·근세 도시의 특질/다마이 데쯔오 166
 1. 머리글: 일본 도시의 역사적 전개 166
 2. 중세전반기의 도시공간: 겸창과 경도, 기타 도시적 집락 170
 3. 근세성하정의 전제가 되는 도시공간 177
 4. 안토·대판·강호: 천하인 성하정의 계보 184
 5. 근세 성하정의 도시공간 194
 6. 맺는 글: 근세 성하정과 현대 일본의 도시사회 197
 참고문헌 198
한국중세의 도시와 사회: 고려시대 개경의 경우/서성호 204
 1. 머리말 204
 2. 개경의 도로와 행정구획 205
 3. 개경의 시전 지역 214
 4. 개경 주민의 신분과 거주 224
 5. 맺음말 228

제3부 동양 근대 도시의 형성과 도시계획
동아시아에서 근대도시계획의 성립과 전개/꼬시자와 아끼라 234
 1. 서론 234
 2. 한반도에 있어서 도시계획, 특히 구획정리의 전개에 대하여 236
 3. 후등신평과 대만, 만주 245
 4. 결론 264
 참고문헌 266
일본에 있어서 근대도시계획의 탄생/와따나베 쥬니찌 278
 1. 머리말 278
 2. 구미근대도시계획의 성립과 일본으로의 전파 279
 3. 구도시계획법성립외 사회적·역사적 배경 283
 4. 용어「도시계획」의 성립 287
 5. 도시계획조사회로의 길 290
 6. 구도시계획법의 성립 296
 7. 맺음말: 한국과의 관계 301
중국 근대 도시계획의 변천/후앙쓰몽 리용짠 306
 1. 머리말 306
 2. 중국 도시의 근대화 307
 3. 대만 도시의 근대화 316
 4. 맺음말 325
 참고문헌 325

제4부 서울의 형성·변화와 도시계획
서울의 도시 형성: 조선시대 서울의 도시입지·도시구조·도시조직의 형성 배경/이상구 330
 1. 머리글 330
 2. 서울의 도시입지와 도시구조 336
 3. 도시구성단위와 도시조직 358
 4. 맺음말 377
조선후기 서울의 상업도시로의 성장/고동환 380
 1. 머리말 380
 2. 17세기 후반 유이민의 서울집주와 인구증가 381
 3. 서울의 공간적 확대와 행정편제의 변동 392
 4. 상업구조의 변동과 상업도시로의 성장 397
 5. 맺음말 406
조선후기 서울 주민의 사회적 성격/조성윤 408
 1. 머리말 408
 2. 서울 주민의 신분 관계 변화 411
 3. 신분 의식의 약화와 근대적 시민의식의 형성 426
 4. 맺음말 437
한국 근대도시계획제도의 발달과 서울/이명규 438
 1. 서론 438
 2. 우리나라의 도시계획제도의 변경 441
 3. 일본에서의 도시개정: 동경시구개정조례 447
 4. 한국에서의 시구개정: 경성시구개정훈령 455
 5. 결론 466

부록
부록 I. 중국도시사관계 문헌목록 470
부록 II. 근대편 한국·일본·중국의 문헌목록 514
부록 III. 한·중·일 근대도시계획사연표 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