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서울 流通構造의 改善 方向 =Improvement policies for Seoul`s commercial distribution systems

서울시정개발연구원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단체저자명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명/저자사항서울 流通構造의 改善 方向=Improvement policies for Seoul`s commercial distribution systems /서울시정개발연구원 [편].
발행사항서울: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5
형태사항xix,295 p.:삽도;26 cm
총서사항시정연;95-R-37
대등표제Improvement policies for Seoul`s commercial distribution systems
ISBN8980520506
비통제주제어유통구조,유통산업구조,개선방향,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007040 S 326.31 1995-1 c2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007767 S 326.31 1995-1 c3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007040
청구기호
S 326.31 1995-1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007767
청구기호
S 326.31 1995-1 c3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 流通構造의 改善 方向 =Improvement policies for Seoul`s commercial distribution systems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표지

요약

목차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8
2. 연구의 목적 28
3. 연구의 범위 29
4. 연구의 분석틀 29

제2장 서울 유통산업의 구조와 공간체계
1. 유통산업의 구조와 유통 활동 실태 36
 1) 서울 유통산업의 구조적 특징 36
 2) 유통업체의 경영 및 유통 활동 실태 54
 3) 서울 유통산업 구조의 문제점 84
2. 유통 하부구조의 실태 91
 1) 유통 정보화 실태 91
 2) 유통 정보화 지원 현황 94
 3) 물류 시설의 현황 및 관련 법규 95
 4) 서울시 유통하부구조의 문제점 101
3. 유통산업의 공간체계 102
 1) 공간체계로서의 상권 102
 2) 업태별 공간분포의 특성 105
 3) 서울시 유통시설 분포 특성 115
 4) 유통산업 공간체계의 문제점 126

제3장 서울 유통구조 개선의 기본구상
1. 유통산업의 환경 변화 132
 1) 유통시장의 개방 132
 2) 유통산업 구조의 집중화 136
 3) 소비양식의 변화 142
 4) 유통 정보화의 진전 159
2. 서울 유통산업의 근대화 방향 166
 1) 도심 도매시장의 기능 재정비 168
 2) 재래시장 재개발 사업의 활성화 172
 3) 중소 유통업의 경쟁력 강화 176
 4) 신종 유통업태의 정착기반 조성 178
3. 유통 하부구조의 조성 방안 180
 1) 유통 정보화의 촉진 180
 2) 공동 물류시설의 확충 191

제4장 서울 유통시설의 균형입지 구상
1. 유통시설 입지 분석의 틀 198
 1) 인구 변화에 따른 유통산업 공간체계의 변화 198
 2) 유통산업 공간체계의 전망(지하철 노선망을 중심으로) 204
 3) 대형 유통시설의 신설 계획에 따른 유통산업 공간체계 211
2. 유통활동의 공간적 체계화 214
 1) 대형 소매점의 입지 특성과 입지 잠재력 215
 2) 대형 소매점의 수요 예측 모형 정립 217
 3) 대형 소매점의 적정 입지 220

제5장 제도 및 정책 개선방안
1. 유통 관련 제도 및 정책 228
 1) 유통관련 법 체계 228
 2) 외국의 유통 관련 정책 및 법규 234
 3) 서울시의 유통 관련 행정 업무 237
 4) 유통 관련 제도 및 법 체계의 문제점 244
2. 중앙 정부의 제도 및 정책 개선방안 246
 1) 규제의 완화 247
 2) 유통업에 대한 지원 강화 249
 3) 유통사업 경쟁력 강화 250
3. 서울시의 제도 및 정책 개선방안 252
 1) 행정 절차의 간소화와 규제의 완화 253
 2) 재래 시장과 영세 유통업의 지원 253
 3) 유통 시설 적정 입지 유도 254
4. 민간 부문과의 협력 방안: 제3섹터 중심 255
 1) 제3섹터의 정의와 유형 255
 2) 제3섹터의 설립 배경 255
 3) 일본의 제3섹터 활용 사례 256
 4) 제3섹터의 활용시 유의 사항 257
 5) 제3섹터의 도입이 필요한 부문 259

참고문헌

부록 1. 외국의 사례
1. 미국의 유통산업 270
2. 영국의 쇼핑 센터 278
3. 일본의 유통산업 282

부록 2. 설문조사표
1. 도매시장 설문조사 306
2. 전문상가 설문조사 313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