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地方自治制 實施에 따른 서울市의 役割과 行政變化에 關한 硏究

서울특별시의회 사무국

상세정보
자료유형학술용역보고서
단체저자명서울특별시의회.사무국;
서울대학교.사회과학대학;
서명/저자사항地方自治制 實施에 따른 서울市의 役割과 行政變化에 關한 硏究 /서울특별시의회 사무국;서울大學校 社會科學大學 [편].
발행사항서울:서울특별시의회 사무국,1991
형태사항335 p.:삽도,26 cm
대등표제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른 서울시의 역할과 행정변화에 관한 연구
일반주기 연구기관 : 서울大學校社會科學大學韓國政治硏究所
비통제주제어용역보고서,지방자치제,지방자치에,따른,행정방안,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010408 S 359.005 1991-1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2 SG0000010407 S 359.005 1991-1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010408
청구기호
S 359.005 1991-1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010407
청구기호
S 359.005 1991-1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地方自治制 實施에 따른 서울市의 役割과 行政變化에 關한 硏究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개요 16
 1. 연구의 목적 16
 2. 연구의 내용 20
 3. 연구의 의의 21
제2절 연구방법 및 조사절차 23
 1. 연구방법 23
 2. 조사절차 23
제3절 표본추출 27
 1. 조사지역의 선정 27
 2. 조사대상자의 선정 39
제4절 연구기간 47

제2장 지방자치시대에 있어서 시민의 행정수요와 자치의식:면접조사 결과 분석
제1절 서울시 자치행정의 과제 48
 1. 서울시에서의 삶의 만족도 48
 2. 서울 시정 수행의 우선순위 68
제2절 자치구의 행정수요와 과제 94
 1. 자치구에서의 삶의 만족도 94
 2. 자치구의 문제점 113
제3절 서울시민의 자치의식과 참여 138
 1. 시정인지도 및 인지방법 138
 2. 청원경험 및 시·도정에 대한 참여의식 153
 3. 지방자치에 대한 기대 및 우려 195
 4. 서울시 공무원에 대한 인상 211

제3장 지방자치시대의 서울시의 위상과 역할
제1절 서울특별시의회의 역사적 고찰:제 1·2 공화국 서울특별시의회를 중심으로 226
 1. 제1·2공화국 서울시의회의 성립배경 227
 2. 제1·2공화국 서울특별시의회의 운영실태 228
 3. 제1·2공화국 서울시의회와 시장과의 관계 234
 4. 중앙정부와 서울특별시간의 관계 238
 5. 제6공화국 자치법과 비교 245
 6. 앞으로 서울시의회의 운영에 있어서 개선방안 253
제2절 서울시와 자치구와의 관계 255
 1.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간의 역학관계이론 257
 2. 서울특별시와 자치구간의 역할 분담 263
 3. 서울특별시와 자치구 상호간의 관계현황과 문제점:재원배분을 중심으로 273
 4. 서울특별시와 자치구 상호간의 발전적 개선시안 279
제3절 일본의 동경도·특별구 관계와 특별구 상호간의 관계 287
 1. 동경도의 『특별도』 제도 287
 2. 동경도의 『1975년 개혁』 292
 3. 동경도의 최근의 자치권확충운동 295
 4. 특별구 상호관계 299

제4장 결론
제1절 연구결과 요약 304
제2절 정책제언 314

부록
설문서 323
조사지침 334
동별 조사대상자 수 341
신도시건설재원표 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