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서울의 景과 曲

최기수 [저]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개인저자최기수 
서명/저자사항서울의 景과 曲 /최기수 [저]
발행사항서울:서울시립대학교출판부,1994
형태사항207 p.:삽도,26 cm
총서사항서울학교양총서;3
대등표제서울의 경과 곡
ISBN8985831054
비통제주제어서울문화환경,,,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017326 S 981.16 1994-1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017327 S 981.16 1994-1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017326
청구기호
S 981.16 1994-1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017327
청구기호
S 981.16 1994-1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의 景과 曲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서울의 景과 曲
차례 12
발간사 6
책머리에 8
1. 시작하면서 14
2. 서울의 景과 曲의 조성 배경 20
 2-1. 서울의 문화환경 20
  2-1-1. 서울의 자연 20
  2-1-2. 서울의 사회?문화 27
 2-2. 입지경영의 뿌리사상 30
  2-2-1. 고대인의 관념적 우주관 31
  2-2-2. 산수(山水)의 토착적 신앙 34
 2-3. 선인(先人)들의 인생관과 자연관 41
  2-3-1. 도교(道敎)의 인간과 자연 43
  2-3-2. 유교의 인생관과 자연관 46
  2-3-3. 불교의 연기론(緣起論)과 우주관 49
 2-4. 조선사회의 기층구조 51
  2-4-1. 조선시대의 정치?경제와 사회 52
  2-4-2. 조선시대의 문화와 예술 56
 2-5. 景과 曲 발생의 표상구조(表象構造) 60
3. 서울의 景 66
 3-1. 景의 설정 66
  3-1-1. 景의 발생과 유래 66
  3-1-2. 소상팔경(瀟湘八景)과 그 특징 68
  3-1-3. 景의 변천 71
 3-2. 景으로 살펴본 서울 경관 76
 3-3. 景의 구조 112
  3-3-1. 상징기호(象徵記號)로서의 景 112
  3-3-2. 景에 나타난 시 공간(時 空間) 115
  3-3-3. 경에 나타난 자연관(自然觀) 116
 3-4. 景으로 본 서울의 경관 의미 116
4. 서울의 曲 118
 4-1. 曲의 설정 118
  4-1-1. 曲의 연원 118
  4-1-2. 주자의 정사경영(精舍經營) 119
  4-1-3. 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의 구곡도(九曲圖) 123
 4-2. 曲의 전래 129
  4-2-1. 曲의 유래 129
  4-2-2. 퇴계(退溪)의 정사경영 134
  4-2-3. 율곡(栗谷)의 석담정사(石潭精舍)와 고산구곡(高山九曲) 140
  4-2-4. 한강(寒岡)의 무흘구곡(武屹九曲) 151
 4-3. 曲의 인문체계 166
  4-3-1. 曲의 위치 166
  4-3-2. 曲의 심리학의 맥(脈) 170
 4-4. 우이동 구곡(牛耳洞 九曲) 174
 4-5. 曲으로 본 서울의 경관 의미 179
5. 마치면서 184
 5-1. 승경(勝景)의 구성요소 185
 5-2. 승경(勝景)의 구조 186
 승경(勝景)의 유형체계 189
참고문헌 192
부록1. 景 200
부록2. 曲 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