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서울 21세기 市民生活部門 政策構想 硏究 .[1] ,중간보고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21세기연구센타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단체저자명서울시정개발연구원.서울21세기연구센타;
서명/저자사항서울 21세기 市民生活部門 政策構想 硏究.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21세기연구센타 [편].
발행사항서울: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21세기연구센터,1994
형태사항97 p.:삽도;29 cm
대등표제서울 21세기 시민생활부문 정책구상 연구
일반주기 권차번호는 임의로 부여함
비통제주제어서울21세기,시민생활부문,정책구상연구,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021966 S 359.08 1994-15 v1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021966
청구기호
S 359.08 1994-15 v1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 21세기 市民生活部門 政策構想 硏究 .[1] ,중간보고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표지

제출문

목차

I. 시민생활의 현황과 문제점
1. 시민생활의 질 9
 1.1. 시민생활 돌아보기 9
 1.2. 유보된 생활영역의 욕구 분출 9
 1.3. 서울문화 10
 1.4. 21세기를 준비하며 시민생활 돌아보기 12
2. 주거생활 13
 2.1. 주택을 위한 생활인가, 생활을 위한 주택인가 13
 2.2. 주택소비수준은 향상하지만 주택소비의 불평등은 심화 14
 2.3. 주택제도 때문에 주택문제는 오히려 심화 16
 2.4. 정붙이고 살만한 동네의 부재? 17
3. 직장생활 18
 3.1. 기술혁신과 노동과정의 변화 18
 3.2. 비정규 고용의 증가 19
 3.3. 중장년 직장인들의 실직사태 20
 3.4. 여성취업과 고용상태 20
 3.5. 노인 실업자의 증가 22
 3.6. 여전한 장시간 노동 23
 3.7. 작업장 안전성 실태 23
4. 소비생활 24
 4.1. 소비의 대중화와 계층적 분화 24
 4.2. 소비활동 공간의 변모 25
5. 여가생활 26
 5.1. 도시인 여가생활의 현주소 26
 5.2. 청소년 여가생활 26
 5.3. 직장인 여가생활 27
 5.4. 주부 여가생활 28
 5.5. 여가문화의 문제점 28
 5.6. 도시 공공여가공간의 문제점 29
6. 학습생활 30
 6.1. 평생교육의 의의와 사회교육체계의 문제 30
 6.2. 학교교육의 황폐화와 과외학습의 번성 31
 6.3. 유아교육의 난맥상 32
 6.4. 실업문제와 직업교육 33
 6.5. 노인학습 필요성 증대 34
 6.6. 시민의식의 개혁 35
 6.7. 교육을 통한 사회적 갈등과 분리 35
7. 교통생활 37
 7.1 고통스러운 출퇴근길 37
 7.2. 소외받는 교통약자 38
 7.3. 세계적인 교통사고율 38
 7.4. 공해속의 교통생활 39
 7.5. 후진국 수준의 교통문화 40
8. 정보통신 41
 8.1. 정보 홍수속에 정보생활은 빈곤 41
 8.2. 개인정보시대의 수혜자와 소외자 42
 8.3. 정보통신 발달에 밀려나는 사람들 42
 8.4. 정보시대의 세계시민 43
9. 환경 44
 9.1. 마시는 물, 불안한 물 44
 9.2. 서울의 치부, 탁한 공기 45
 9.3. 폐기물 46
 9.4. 공원 녹지 48
10. 의료생활 49
 10.1. 병원진료 49
 10.2. 잘못된 의학상식들 50
 10.3. 건강과 질병상태 52
 10.4. 의료체계 53
11. 가족생활 54
 11.1. 그래도 가족 54
 11.2. 가족구성의 변화 54
 11.3. 집에서 하는 일 55
 11.4. 안락하고 마음 편히 쉴 수 있는 곳이 가정? 56
12. 공동체생활 59
 12.1. 전통적 공동체 해체와 사회문제 59
 12.2. 공동체 생활의 현황 59

II. 21세기 시민생활의 여건변화와 전망
1. 21세기 시민생활 62
 1.1. 시민생활의 미래 62
 1.2. 시민생활에 대한 문화적 개입 62
 1.3. 21세기 시민생활에 영향을 미칠 국내외 여건변화 63
2. 주거생활 63
 2.1. 주택수요의 증가와 다양화 63
 2.2. 주거생활의 변화 64
 2.3. 주거지역의 변화 65
3. 직장생활 66
 3.1. 노동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66
 3.2. 노동인구의 고령화 및 여성화 66
 3.3. 기술혁신과 노동시장의 변화 67
 3.4. 기업조직과 고용관행의 변화 68
4. 소비생활 68
 4.1. 소비주체와 소비양식의 다양화 68
 4.2. 소비문화와 소비자의식의 변화 69
 4.3. 유통정보화와 소비과정의 변화 70
5. 여가생활 71
 5.1. 여가가치의 적극적 추구 71
 5.2. 여가활동 집단의 다양화 71
 5.3. 여가문화의 변화 72
 5.4. 레저행태의 변화 72
6. 학습생활 73
 6.1. 사회교육의 영역확대와 발전 73
 6.2. 평생교육의 사회적 수요변화 73
 6.3. 교육매체의 발달과 학습방법의 변화 74
 6.4. 개별화된 학습과 공동체의 위기 74
7. 교통생활 75
 7.1. 교통수요의 특성변화 75
 7.2. 교통서비스 공급부문의 여건변화 76
 7.3. 서울시 교통여건의 변화전망 77
8. 정보통신 77
 8.1. 정보통신 발달과 미래의 시민생활 77
 8.2. 뉴미디어의 등장과 생활세계의 변화 78
9. 환경 79
 9.1. 시민의 환경의식과 실천의 발전 79
 9.2. 서울의 환경오염 전망 81
 9.3. 지방화와 환경오염 82
10. 의료생활 83
 10.1.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83
 10.2. 질병구조 변화와 의료체계의 대응 84
 10.3. 노인 의료서비스 수요 증대 85
11. 가족생활 85
 11.1. 가족생활과 가족구성의 변화 85
 11.2. 가족생활과 사회 86
 11.3. 새로운 가족상의 등장 87
12. 공동체생활 88
 12.1. 도시생활에서 공동체의 필요성 88
 12.2. 새로운 공동체의 모색 88
 12.3. 지역공동체적 시민생활 89

III. 21세기 시민수요부문의 과제와 정책방향
1. 시민생활속에서 서울성 만들기 91
 1.1. 시민생활속에서 만들어지는 서울성 91
 1.2. 시민들이 생산하는 서울경관 91
 1.3. 서울의 정체성 91
2. 주거생활 91
 2.1. 주택정책의 방향 전환 91
 2.2. 다양화되는 수요에 대응하는 주택정책 91
 2.3. 공동체적 주거환경 조성 91
3. 직장생활 92
 3.1. 고용안전성의 향상 92
 3.2. 직업교육체제의 혁신 92
 3.3. 고령자 재취업 여건개선 92
 3.4. 직장내 성차별과 모성보호 대책 92
 3.5. 작업장 안전과 쾌적성 확보 92
4. 소비생활 92
 4.1. 소비생활의 계층간 격차완화 92
 4.2. 건강한 소비문화의 형성 92
 4.3. 합리적 소비공간의 조성 92
5. 여가생활 93
 5.1. 건전한 청소년 여가문화의 형성 93
 5.2. 직장인 여가여건의 개선 93
 5.3. 도시 여가시설의 이용여건 개선 93
6. 학습생활 93
 6.1. 열린 교육체계의 형성 93
 6.2. 직업교육의 내용과 질적 혁신 93
 6.3. 노인재사회화 촉진 93
 6.4. 자율적 시민운동의 활성화 93
 6.5. 학습공간의 확보와 배치 93
7. 교통생활 94
 7.1. 인간중심의 교통환경 조성 94
 7.2. 대중교통중심의 교통체계 재정립 94
 7.3. 교통문화의 선진화를 위한 시민의식 제고 94
8. 정보통신 94
 8.1. 정보통신발달과 사회적 재적응사업 94
 8.2. 정보통신발달의 불균형 해소 94
 8.3. 뉴미디어의 제도 정비 -1
9. 환경 95
 9.1. 부문별 환경오염 대책 95
 9.2. 생태적 도시 건설 95
 9.3. 자율적인 지역과 환경보전의 조화 95
10. 보건의료 95
 10.1. 공공 의료부문의 역할 95
 10.2. 의료체계의 정비 95
 10.3. 노인을 위한 정책 95
11. 가족생활 96
 11.1. 가족정책의 목표 정립 96
 11.2. 새로운 가족형성을 위한 사회교육 96
12. 공동체생활 96
 12.1. 서울과 공동체성 회복 96
 12.2. 공동체 회복을 위한 공적 대응 부분들 96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