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강동의 환경 :환경백서 .2010

서울특별시 강동구 맑은환경과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단체저자명서울특별시.강동구.맑은환경과;
서명/저자사항강동의 환경:환경백서.서울특별시 강동구 맑은환경과 [편].
발행사항서울:강동구,2011
형태사항315 p.:삽도,표,도판;26 cm
간행빈도연간
비통제주제어환경,강동환경백서,환경행정,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024423 S 539.91162 1997-1 v2010 c2 서울자료실(3층)/자치구서가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024422 S 539.91162 1997-1 v2010 서울자료실(3층)/자치구서가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서울자료실(3층)/자치구서가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024423
청구기호
S 539.91162 1997-1 v2010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서울자료실(3층)/자치구서가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024422
청구기호
S 539.91162 1997-1 v2010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강동의 환경 :환경백서 .2010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강동의 환경 :환경백서 .2010

목차

표목차

그림목차

제1부 일반현황
제1장 강동구 환경현황 37
 제1절 자연환경 37
  1. 지역특성 37
  2. 지리적 위치 38
  3. 수리적 위치 38
  4. 면적 39
 제2절 생활환경 40
  1. 인구 40
  2. 주택 40
  3. 산업 42
  4. 교통 44
제2장 환경행정 현황 47
 제1절 환경행정 조직 47
 제2절 환경분야 조례 현황 50
 제3절 환경분야 인원 52
 제4절 환경분야 예산 52
제3장 환경행정 정책방향 53
 제1절 환경행정 정책방향 53
  1. 인간중심의 맑고 깨끗한 환경 가꾸기 53
  2. 자연의 숨결을 느끼는 도시환경 가꾸기 53
  3. 미래를 열어가는 환경복지 자치구 만들기 53

제2부 환경관리 기반
제1장 구민과 함께하는 환경행정 57
 제1절 지방의제21 57
  1. 지방의제21이란 57
  2. 「맑은 내 고장 강동21」추진 58
 제2절 민간환경단체 65
  1. 민간환경단체 현황 65
  2. 민간환경단체 지원현황 65
 제3절 환경홍보 66
  1. 환경의 날 66
  2. 물의 날 67
  3. 환경관련 수상실적 68
 제4절 환경교육 69
  1. 환경교육 69
  2. 민간단체에서 실시하는 환경교육 70
  3. 환경관리인 교육 70
 제5절 환경신문고제도 72
 제6절 친환경상품 구매제도 72
  1. 친환경상품의 정의 72
  2. 친환경상품 구매 촉진에 관한 조례 제정 74
  3. 친환경상품 구매 현황 74
제2장 환경보전비용 확충 75
 제1절 환경개선부담금 제도 75
  1. 제도의 근거 및 내용 75
  2. 부과대상 75
  3. 부담금의 산정 76
  4. 부담금의 사용용도 77
 제2절 배출부과금 77
  1. 배출부과금 산정의 기본사항 78
  2. 배출부과금 부과대상 오염물질 및 적용대상 78
  3. 운영 79
제3장 사전예방적 환경제도 81
 제1절 사전환경성검토 81
  1. 제도의 의의 81
  2. 사전환경성 검토제도의 기능 82
  3. 제도의 주요내용 82
 제2절 환경영향평가제도 85
  1. 제도의 개념 및 도입배경 85
  2. 제도의 주요내용 86
 제3절 배출시설 설치허가 90
  1. 허가 및 신고제도 90
  2. 허가(신고)제도 개선 92
  3. 기타 수질오염원 설치 신고제 92
제4장 환경분쟁조정제도 95
 제1절 환경분쟁조정제도 95
  1. 개요 95
  2. 환경분쟁조정위원회 조직 및 기능 95
  3. 분쟁조정의 종류 96
  4. 조정의 신청 및 처리절차 96
  5. 환경분쟁조정현황 97

제3부 환경보전대책
제1장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 101
 제1절 기후변화 대응 101
  1. 기후변화의 이해 101
  2. 온실가스 배출현황 107
  3. 저탄소 녹색도시 추진 109
  4. 녹색생활 실천운동 추진 111
 제2절 에너지 절약 및 이용 합리화 113
  1. 에너지 절약 113
  2. 공공·민간 등 부문별 에너지 절약 대책 113
  3. 저에너지 친환경 공동주택 단지 조성 116
  4. 건물에너지 이용 합리화사업 추진 117
 제3절 신·재생에너지 개발 보급 118
  1. 신·재생에너지 개념 및 보급 현황 118
  2. 강동의 신·재생에너지 이용 현황 120
제2장 수질 관리 129
 제1절 한강 및 지천 관리 129
  1. 일반현황 129
  2. 한강의 수질관리 129
  3. 강동의 하천 현황 130
  4. 하천의 수질환경기준 131
  5. 수질측정망 운영 133
  6. 한강의 수질변화 추이 135
 제2절 수질보전 대책 136
  1. 수질환경 개선목표 136
  2. 폐수배출업소 관리강화 136
 제3절 맑은 물 공급 139
  1. 상수도 보급 현황 139
  2. 취수·정수 현황 140
  3. 상수원 관리 143
  4. 수돗물 수질검사 147
  5. 저수조 관리 152
  6. 중수도 설치 154
  7. 빗물관리시설 설치비 지원 154
  8. 먹는 물 공동시설 관리 155
 제4절 하수 처리 156
  1. 환경기초시설 확충 156
  2. 하수관거 정비 및 유지관리 158
 제5절 지하수 관리 159
  1. 지하수 개요 159
  2. 지하수 이용 현황 159
  3. 지하수 인·허가 관리 160
  4. 지하수 보전 관리 161
  5. 지하수 오염방지시설 설치 및 폐공관리 162
  6. 민방위 비상급수시설 유지관리 163
 제6절 분뇨 및 정화조 관리 163
  1. 분뇨 및 정화조오니 처리 163
  2. 공중화장실 유지관리 165
제3장 대기질 관리 167
 제1절 대기오염 현황 및 개선목표 167
  1. 대기오염 현황 167
  2. 강동구 대기오염도 현황 168
  3. 대기오염 개선목표 169
 제2절 배출원별 관리 171
  1. 자동차 배출가스 171
  2. 대기오염 배출업소 관리 185
  3. 미세먼지 185
 제3절 대기오염 측정망 운영 190
  1. 대기오염 측정망 종류 190
  2. 대기오염전광판 운영 194
 제4절 대기오염 경보제 194
  1. 오존이란? 194
  2. 오존경보제 196
 제5절 실내공기질 관리 200
  1. 개요 200
  2.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관리 200
  3. 오염물질 다량방출 건축자재 사용제한 205
  4.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관리 205
제4장 폐기물 관리 207
 제1절 발생현황 및 목표 207
  1. 폐기물 관리 현황 및 목표 207
  2. 청소인력 및 장비 현황 208
 제2절 종류별 처리 209
  1. 생활폐기물 209
  2. 대형폐기물 210
  3. 건설폐기물 212
  4. 지정폐기물 213
 제3절 폐기물의 감량화 216
  1. 음식물류폐기물 감량 216
  2. 재활용 활성화 218
  3. 과대포장 및 1회용품 사용억제 225
  4. 쓰레기 종량제 228
 제4절 폐기물 처리시설 231
  1. 음식물재활용센터 231
  2. 자원순환종합센터 231
제5장 공원녹지 관리 233
 제1절 강동구 공원현황 및 관리 233
  1. 일자산 자연공원 233
  2. 근린공원 238
  3. 어린이공원 240
  4. 공원이용 프로그램 안내 243
 제2절 가로수·녹지대 조성 및 관리 247
  1. 가로수 조성 및 관리 247
  2. 녹지대 조성 및 관리 248
  3. 분수시설 조성 251
 제3절 개발제한구역 253
 제4절 자연환경보전 254
  1. 생태경관보전지역 관리 254
  2. 야생 동·식물 보호 259
  3. 성내유수지 생태공원화 261
제6장 생활환경 관리 263
 제1절 소음·진동 방지대책 263
  1. 소음방지 대책 263
  2. 진동저감 대책 270
  3. 환경 민원처리 기동반 운영 272
 제2절 악취방지 대책 275
  1. 악취발생 원인 275
  2. 악취방지 대책 276
 제3절 토양환경 보전대책 277
  1. 토양환경 보전의 필요성 277
  2. 토양오염 물질별 관리수단 277
  3. 토양환경보전법의 개요 279
  4. 토양오염 방지대책 281
 제4절 유해화학물질 관리대책 283
  1. 화학물질의 일반현황 283
  2. 관리실태 및 추진현황 285
 제5절 맑고 깨끗한 강동가꾸기 288
 제6절 친환경 도시농업 289
  1. 도시농업의 배경 289
  2. 강동의 도시농업 289

부록
1. 환경관련 용어 295
2. 환경기념일 310
3. 환경관련 주요 인터넷 주소록 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