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안산자락, 고갯마을 북아현 .2 ,도시생활의 변화상과 구술생애사

서울역사박물관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단체저자명서울역사박물관;
서명/저자사항안산자락, 고갯마을 북아현.서울역사박물관 편.
발행사항서울:서울역사박물관,2009
형태사항357 p.:삽도;30 cm
총서사항서울생활문화자료조사.
비통제주제어안산자락,고갯마을,북아현,서울생활문화자료조사,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017821 S 911.66 2009-3 v2 c2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017820 S 911.66 2009-3 v2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3 SG0000059048 S 911.66 2009-3 v2 c3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017821
청구기호
S 911.66 2009-3 v2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017820
청구기호
S 911.66 2009-3 v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3
등록번호
SG0000059048
청구기호
S 911.66 2009-3 v2 c3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안산자락, 고갯마을 북아현 .2 ,도시생활의 변화상과 구술생애사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안산자락, 고갯마을 北阿峴 2
발간사 5
목차 6
1장 개관 시간과 공간의 변화에 따른 북아현 사람들의 생활문화 변화상 9
2장 서울의 성장과 북아현의 생업 13
 1) 북아현 생업의 연대기적 변화 16
  1. 해방과 한국전쟁 이후(40~50년대): 야시와 노점, 물물교환의 성행 18
  2. 60년대의 생업: 날품팔이, 소규모의 요식업 20
  3. 70~80년대의 생업: 학생 수요를 대상으로 하는 생업의 번성 23
  4. 90년대 이후의 생업: 요식업의 증가(갈비집 거리), 상권의 쇠퇴 27
 2) 북아현 중심 생업권의 성쇠 30
  1. 북아현동 가구시장의 변화 31
  2. 북아현동 웨딩타운의 변화 44
  3. 재래시장의 역사적 변화 55
  4. 북아현 봉제공장의 형성과 특징 66
3장 도시민의 연결망, 사회관계와 조직 77
 1) 북아현동의 공식?비공식 모임 80
  1. 공식적인 차원의 모임과 조직 81
  2. 비공식의 자율적인 모임과 조직 88
 2) 북아현 생업권의 사회조직 95
 3) 북아현동의 도시공동체 운동 101
4장 도시생활과 민속의 지속과 변화 Ⅰ: 세시풍속과 일생의례 107
 1) 이주와 사회변화에 따른 세시풍속 109
 2) 북아현 사람들의 삶을 통해 본 일생의례 양상 133
  1. 북아현동 사람들의 출산의례 134
  2. 북아현동 사람들의 혼인과 혼인식 142
  3. 북아현동 사람들의 상례 152
  4. 북아현동 사람들의 제례 156
  5. 북아현동 사람들의 수연례 162
5장 도시생활과 민속의 지속과 변화 Ⅱ: 도시민의 민속신앙과 의례 164
 1) 북아현 지역 사람들의 신앙생활 개관 167
 2) 믿음의 방식에 따른 민속신앙 172
  1. 가정신앙 172
  2. 무속신앙 179
6장 살아온 세기, 살아온 이야기 189
 1917년생, 박정남 191
 1922년생, 송병훈 203
 1923년생, 이경우 219
 1926년생, 이숙재 233
 1929년생, 조환동 251
 1933년생, 소희천 273
 1934년생, 이일순 293
 1939년생, 김완철 311
 1942년생, 이진각 323
 1942년생, 성금자 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