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104마을 : 중계본동 산 104번지

서울역사박물관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단체저자명서울역사박물관;
서명/저자사항104마을:중계본동 산 104번지 /서울역사박물관 [편].
발행사항서울:서울역사박물관,2012
형태사항431 p.:삽화,사진;31 cm
총서사항서울생활문화자료조사;2012
ISBN9788991553569
비통제주제어104마을,중계본동,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060064 S 911.6 2013-1 c2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060063 S 911.6 2013-1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060064
청구기호
S 911.6 2013-1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060063
청구기호
S 911.6 2013-1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04마을 : 중계본동 산 104번지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104마을___중계본동_산_104번지

일러두기

노원구 중계본동 산 104번지 일명 '104마을'

발간사 / 강홍빈

목차
01. 조사개요 19
 01. 조사배경 21
 02. 조사과정 및 방향 23
 03. 내용구성 24
02. 서울의 도시성장과 104마을의 공간적 특성 25
 01. 서울 동북부 지역의 공간특성 형성과정 29
  01. 한양으로 들어가는 길, 조선시대 양주군 노해면 일대 29
  02. 철도부설과 교육기관 입지로 도시화의 기틀 마련 44
  03. 서울 동북부지역 주거지 확산 과정 47
 02. 서울의 팽창과 이주정착지 조성사업 53
  01. 1960년대 서울시 인구의 폭발적 증가와 주거지 상황 53
  02. 1960-70년대 서울시 불량주거지 관련 정책과 이주정착지 조성 56
  03. 이주정착지 사업과 달동네 58
 03. 이주정착지, 104마을 62
  01. 중계본동은 왜 이주정착지로 선정되었는가? 62
  02. 정착초기 주민들의 생활 63
  03. 무허가 정착지 생활여건 개선정책들 68
  04. 정착지 철거정비정책 속 104마을 : 양성화와 토지불하 70
  05. 대단위 아파트단지로 인접지역 개발 70
 04. 달동네재개발 과정 속 104마을 72
  01. 서울의 도시성장과 불량주거지 관련 정책의 변화 72
  02. 이주정착지들의 변화과정 75
 05. 104마을 재개발을 둘러싼 갈등과 혼란 77
  01. 개발제한구역의 해제로부터 시작된 주택재개발 방식에 관한 논의 78
  02. 보전적 재개발에 대한 논의 등장 82
 06. 2012년, 서울의 모습과 104마을 87
03. 104마을의 구역화된 생활과 골목문화 91
 01. 서론 95
 02. 지역 공간 구성의 변화 99
  01. 철거민의 천막촌에서 민중 건축에 의한 주거 공간으로 103
  02. 사유지화와 공장 지대의 형성 107
  03. 토지 정책의 변천: 개발 제한 구역 제정에서 구역 해제까지 109
  04. 주택재개발 정비구역지정 이후 늘어난 빈집들 111
 03. 생산의 공간 118
  01. 요꼬 공장과 다양한 공장 지대의 형성 및 쇠퇴 118
  02. 현존하는 소수 공장들 126
 04. 상업 지구 142
  01. 1980년대 가장 번성했던 상가 142
  02. 주택재개발 정비구역 지정 이후 쇠퇴한 상가 147
 05. 구역화된 주민들의 생활 162
  01. 지역 내 생활공간의 구역화: 철거와 이주로 시작된 104마을 162
  02. 골목의 이웃관계들 170
 06. 다양한 주민들 189
  01. 토박이라 불리는 사람들 189
  02. 최근 지역에 온 사람들 204
  03. 혼자 남겨져 있는 여성 노인들 208
 07. 주민들의 경력: 다양한 직업들 211
  아파트 경비원 211
  건설 노동자들 212
  파출부 213
  에어컨 설치기사 214
  기타 다양한 직업들 215
 08. 주민들의 사회적 관계망 219
  01. 와해되고 재편성 되는 사회관계망 219
  02. 친목계, 청록회(애향회), 각종 향우회 221
 09. 지원 기관들 225
  01. 공공기관에 의한 지원 226
  02. 연탄은행 230
  03. 평화의 집 234
  04. 그 외 후원 모임 235
  05. 종교 기관과 후원 236
04. 104마을 사람들 이야기 239
 01. "천막 하나에 네 세대. 8평씩. 8평씩 줬어" / 이매실 ; 강신규 ; 이상호 243
  104마을에 터를 잡다 249
  104마을에서의 생활 253
  어머니로서의 삶 257
 02. "누구네 집 연탄불 뜨시다 하면 그 집에 모여 앉아가지고..." / 박묘분 259
  서울살이의 시작 262
  남편은 '강원도 포수' - 3 262
  104마을에서 낳은 막내딸 263
  시청 앞 식당 - '할머니집' 264
  큰딸은 살림꾼 265
  연탄과 쌀, 밀가루 266
  목욕 가는 날 267
  손주들 이야기 267
  다함께 살아가는 동네 268
  겨울나기 269
  해외 원정 노동 269
  만물박사로 통하는 이웃 270
  친목계 270
  104마을을 떠나간 사람, 남은 사람 271
 03. 홍○○ 273
 04. "거긴 고향이나 마찬가지예요." / 원병권 285
  104마을로 들어오다 288
  가족처럼 지내는 동네 290
  산 넘어 학교 가는 길 291
  온 마을이 놀이터 291
  골목 대장들 294
  연탄과 기억 294
  의류업에 발을 담그다 294
  토지 불하 295
  104마을을 떠나다 295
  104마을과 함께 자라온 이들 295
  타지에서 지켜본 104마을 297
  추억으로의 여정 297
 05."해질무렵 되면은 뻐꾸기도 울고 돌아다녀요." / 문열호 ; 박춘옥 부부 301
  104마을에 둥지를 틀다 304
  산이슬이 내리는 마을 306
  수도 없는 집 306
  연탄이 쌓였던 담벼락 307
  청계천 배관가게로 출퇴근 307
  부부와 이웃들 308
  텃밭을 불하받다 310
  그들이 가꾸는 텃밭 312
  재개발과 마을 313
  떠난 뒤에도 찾는 104마을 314
 06. "할머니할아버지를 초대합니다" / 박완식 315
  서울로 올라오게 되신 계기는 무엇인가요? 316
  복날 행사는 어떻게 시작하게 되셨나요? 318
  3형제가 힘을 합쳐서 행사 진행을 하시던데, 집안의 신조가 있으신가요? 318
  자녀분들도 봉사활동에 함께 하시나요? 318
  그밖에 도와주시는 분들도 있으신가요? 318
  행사 비용은 어떻게 되나요? 318
  마을에 대한 애정이 남 다르신가봐요 318
  가장 보람 있으셨던 때는 언제인가요? 318
05. 104마을 경관기록 및 실측조사 319
 01. 104마을 321
  01.마을 개요 322
  02. 조사범위 324
 02. 시장 길 325
  01. 시장길과 주변 325
  02. 시장의 모습 329
 03. 1통 348
  01. 1통 개요 348
06. 사진으로 보는 104마을 369
 scene. #1. 풍경을 기록하다 371
  마을 전경 372
  골목길 383
  벽화 391
  마을의 밤 401
 scene. #2. 사람을 기억하다 413
 scene. #3 삶을 추억하다 425
판권기 435
[뒷표지] 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