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서울시의회 의정 발전지원센터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최종보고서

서울특별시의회의장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단체저자명서울특별시의회의장;
서명/저자사항서울시의회 의정 발전지원센터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최종보고서 /서울특별시의회의장.
발행사항서울:서울특별시의회 입법담당관,2012
형태사항159p:표,설계도;30cm
서지주기참고문헌: p. 155 - p. 159
비통제주제어서울시의회,의정,발전지원,연구,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060561 S 350.29 2013-1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060562 S 350.29 2013-1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060561
청구기호
S 350.29 2013-1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060562
청구기호
S 350.29 2013-1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시의회 의정 발전지원센터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최종보고서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서울시의회 의정발전지원센터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목차> 4
제1장 서론 8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9
  1. 연구의 필요성 9
  2. 연구의 목적 12
 제2절 연구 범위와 방법 14
  1. 연구의 범위 14
  2. 연구의 방법 14
 제3절 연구의 구성 16
제2장 이론적 논의 17
 제1절 기관대립형 지방자치에서 지방의회의 위상 18
  1. 지방의회의 의의 18
  2. 지방의회의 지위 20
 제2절 지방의회 의정지원제도 및 한계 28
  1. 사무처 28
  2. 전문위원 32
 제3절 지방의회 발전을 위한 프레임 전환 35
  1. 지방의회 발전을 위한 기존의 프레임 35
  2. 새로운 프레임으로서 지방의회 인프라 강화 39
제3장 현황 및 실태분석 41
 제1절 의정환경으로서 서울시 현황 42
  1. 서울특별시 인구현황 42
  2. 서울시 예산 44
  3. 서울시 조직 현황 46
  4. 서울시 민원 현황 47
 제2절 의정활동현황 49
  1. 관련법제도 49
  2. 서울시의회 운영 현황 52
  3. 의정활동 성과 54
 제3절 의정지원현황 58
  1. 관련법제도 58
  2. 의회사무처 조직 변화 61
 제4절 소결 65
제4장 벤치마킹을 위한 사례분석 67
 제1절 의정지원제도 68
  1. 국내사례 : 대한민국 국회 68
  2. 해외사례 70
 제2절 인턴십 운영에 관한 사례 81
  1. 국내사례 : KOICA의 ODA청년인턴 프로그램 81
  2. 해외사례 : 뉴욕주의회 인턴십 프로그램 86
 제3절 소결 및 시사점 92
제5장 의정발전지원센터 설치 및 운영방안 98
 제1절 프레임 전환과 센터의 필요성 99
  1. 서울시의회의 위상과 현실의 괴리 99
  2. 지방의회의 전문 의회로의 전환과 전문성 제고 프레임의 전환 100
  3. 의정발전지원센터의 설치 ·운영 혹은 사업 추진 102
 제2절 의정발전지원센터 설치방안 검토 103
  1. 센터 설치 혹은 사업 추진과정의 기본적인 고려사항 103
  2. 추진 주체에 따른 비교 104
  3. 추진방식에 따른 비교 107
  4. 센터 설치방안 종합 126
 제3절 의정발전지원센터 운영방안(안) 130
  1. 센터의 내부조직 구성 120
  2. 센터 관련 인력 131
  3. 의정발전지원인력에 대한 지도 및 관리 145
  4. 의정발전지원센터 운영을 위한 예산규모(안) 147
  5. 센터 운영방안 종합 148
 제4절 소결 150
제6장 결론 153
 제1절 연구결과 요약 154
 제2절 지방의회 인프라 강화를 위한 주요 고려사항 157
<표목차 > 6
 <표 3-1> 서울의 분기별 인구추이(2011년) 42
 <표 3-2> 주요 구별 인구 및 세대 수 44
 <표 3-3> 서울특별시 민원서류처리 현황 48
 <표 3-4> 서울시의회 의원 구성 53
 <표 3-5> 역대 서울시의회 의정활동 성과(제6대부터 제8대까지) 54
 <표 3-6> 제 6대 의정활동 성과 55
 <표 3-7> 제 7대 의정활동 성과 56
 <표 3-8> 제 8대 의정활동 성과 57
 <표 3-9> 의회사무기구의 설치기준 58
 <표 3-10> 의회사무기구 공무원 직급기준 59
 <표 3-11> 전문위원의 직급과 정수 60
 <표 3-12> 서울시의회사무처 조직 변화 64
 <표 4-1> 국회의 의정지원제도 69
 <표 5-1> 의정발전지원센터 설치방안 관련 대안별 비교 128
 <표 5-2> 의정발전지원센터 운영 예산 추정안(단위 : 천 원) 148
 <표 5-3> 서울시의회 의정발전지원센터 운영방안 비교 149
 <표 5-4> 개별대안 추진과정상의 문제점 점검 152
<그림목차> 7
 <그림 3-1> 지역별(구단위) 인구 분포도 43
 <그림 3-2> 서울시 예산(2012년) 45
 <그림 3-3> 서울시 예산(2013년) 46
 <그림 3-4> 서울특별시 조직 구성도 47
 <그림 3-5> 서울시 의히구성 52
 <그림 3-6> 서울시 의회사무처 구성 53
 <그림 3-7> 제7대 의회사무처 기구표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