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청계천 유역 환경치수 도시관리방안 수립 .[1] ,보고서

도시안전실 물재생계획과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단체저자명서울특별시.도시안전실.물재생계획과;
서명/저자사항청계천 유역 환경치수 도시관리방안 수립.도시안전실 물재생계획과.
발행사항서울:도시안전실 물재생계획과,2013
형태사항587p:삽화,지도,표,사진;30cm
일반주기 별첨 : 빗물관리계획 가이드라인 -종로구 청운효자동 일대-
임의권차부여
비통제주제어청계천,환경치수,도시관리,도시관리방안,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076155 S 539.11 2014-6 v1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076156 S 539.11 2014-6 v1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076155
청구기호
S 539.11 2014-6 v1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076156
청구기호
S 539.11 2014-6 v1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원문 비공개 자료입니다.

목차 전체

1
청계천 유역 환경치수 도시관리방안 수립 .[1] ,보고서

제출문

차례

표 차례

그림 차례

제1장 기초자료 조사 및 분석
1.1 일반 현황조사 27
 1.1.1 유역의 개황 27
 1.1.2 인문사회경제 40
 1.1.3 토지이용 및 토양특성 46
1.2 기상 및 수문조사 58
 1.2.1 수문관측소 58
 1.2.2 기상 현황 60
 1.2.3 강우자료 분석 65
 1.2.4 수위관측 자료 76
 1.2.5 수질관측 자료 80
 1.2.6 지하수위 자료 85
1.3 치수현황 조사 93
 1.3.1 배수체계 현황조사 93
 1.3.2 수방시설 현황조사 94
 1.3.3 침수이력조사 및 침수원인 분석 97
 1.3.4 과거 토지 특성 분석 106
1.4 시설물 조사 110
 1.4.1 일반 현황조사 110
 1.4.2 빗물이용시설 및 저류시설 조사 112
1.5 물순환 및 환경 현황조사 114
 1.5.1 서울시 물순환 현황조사 114
 1.5.2 서울시 물환경 현황조사 117
1.6 관련계획 및 법규분석 121
 1.6.1 관련시설의 정의 및 설치기준에 관한 사항 122
 1.6.2 관련시설 설치 및 계획수립의 의무에 관한 사항 123
 1.6.3 재해에 관한 사항 126
 1.6.4 지원에 관한 사항 127

제2장 환경치수 기본방향 및 목표설정
2.1 환경치수의 기본방향 131
 2.1.1 환경치수의 정의 및 목적 131
 2.1.2 환경치수와 도시관리 방안 132
2.2 환경치수 목표설정 134
 2.2.1 환경치수 목표량 134
 2.2.2 환경치수목표량 산정방법 136
 2.2.3 목표강우 설정 139
 2.2.4 침수기준 설정 142
 2.2.5 물순환 시설 계획량 설정 142
2.3 물순환 평가지표 개발 150
 2.3.1 물순환 관리율의 의미 150
 2.3.2 물순환 관리율의 필요성 151
 2.3.3 기존 생태면적률과의 비교 153
 2.3.4 도시관리 계획 단계별 역할 155
 2.3.5 물순환 관리율 설정의 기본 틀 156
 2.3.6 물순환관리율 산정 방안 158
 2.3.7 시설별 빗물관리 가중치 161
 2.3.8 물순환 관리율 산정표 163

제3장 물환경 회복과 물순환 계획
3.1 국내외 사례 조사 169
 3.1.1 국내 물순환 계획과 정책 169
 3.1.2 국외 물순환 계획과 정책 171
 3.1.3 서울의 물관리 정책 178
3.2 물순환을 위한 분산형 빗물관리 시설 182
 3.2.1 빗물침투시설 182
 3.2.2 빗물이용시설 205
 3.2.3 분산형 저류 시설 208
 3.2.4 도시홍수 저감기능 연계 방안 212
3.3 도시홍수 저감형 빗물관리 시설의 물순환 효과 214
 3.3.1 효과 분석용 모델 - 독일 IPS 사의 STORM 모형 214
 3.3.2 입력 데이터 215
 3.3.3 시뮬레이션 조건 217
 3.3.4 시뮬레이션 결과 218

제4장 청계천 유역 물환경 여건 분석
4.1 홍수안전도 평가 233
 4.1.1 도시유출모형의 기본 특성 233
 4.1.2 도시유출모형 구축 236
 4.1.3 도시유출해석 241
 4.1.4 홍수재해위험도분석 250
4.2 물순환 체계 평가 264
 4.2.1 물순환 해석 모형 264
 4.2.2 분산형 빗물관리 효과 분석모델 271
 4.2.3 배수체계 272
 4.2.4 평가지표 적용 272
 4.2.5 청계천 유역 물순환 목표량 평가 274

제5장 홍수저감 환경치수계획
5.1 목표량에 따른 유역 평가 283
 5.1.1 유역내 가능시설 검토 283
 5.1.2 시나리오별 치수 능력 289
 5.1.3 시나리오별 물순환 효과 분석 292
5.2 환경치수 효과 분석 295
 5.2.1 도시미기후 개선 295
 5.2.2 지하수위 회복 300
 5.2.3 수질개선 효과 분석 301
5.3 환경치수 계획 수립 303

제6장 환경치수 도시관리 계획
6.1 기본방향 307
 6.1.1 기본방향 307
 6.1.2 국내 사례 308
 6.1.3 해외 사례 310
6.2 환경치수 도시조성 전략수립 317
 6.2.1 기본전략 317
 6.2.2 전략 1 : 지역단위 빗물관리계획 수립 317
 6.2.3 전략 2 : 필지, 블록, 지구단위 및 사업성격에 띠른 적용방안 수립 318
 6.2.4 전략 3 : 공공·민간부문의 통합적인 빗물관리계획 수립 320
6.3 빗물관리계획 가이드라인(별첨) 322

제7장 효자배수분구 환경치수 시범계획
7.1 효자배수분구 추진절차 및 목표설정 325
 7.1.1 효자배수분구 환경치수 추진절차 325
 7.1.2 효자배수분구 환경치수 목표설정 326
7.2 효자배수분구 물환경 여건분석 333
 7.2.1 홍수위험도 분석 333
 7.2.2 물순환 체계 모델 STORM 구축 338
 7.2.3 물순환 체계 분석 결과 352
7.3 환경치수계획 수립 356
 7.3.1 관거대책 수립 356
 7.3.2 빗물관리 마스터 플랜 수립 386
 7.3.3 효자배수분구 환경치수 관리율 산정 423
 7.3.4 물순환과 치수계획 정량적 검토 425
 7.3.5 현안대책에 대한 평가 430
 7.3.6 환경치수계획 종합관리도 432
7.4 시범사업 및 모니터링 계획 447
 7.4.1 시범설치 현황 447
 7.4.2 2013년 모니터링 설치 450

제8장 추진계획 및 제도적 도입방안
8.1 사업 추진방안 463
 8.1.1 물순환 개략사업비 463
 8.1.2 중장기 관거 대책 개략사업비 466
8.2 제도적 도입방안 467
 8.2.1 환경치수 도시 관리의 제도적 기반 마련 467
 8.2.2 빗물관리계획의 기본체계 474
 8.2.3 빗물관리 지구단위계획(안) 475
8.3 빗물관리계획의 활성화 방안 478
 8.3.1 물순환관리율(가칭)의 도입 478
 8.3.2 지구단위계획 용적률 인센티브 개선 486
 8.3.3 세제감면 인센티브(안) 493
 8.3.4 「서울시 에코마일리지 제도」연계(안) 494
 8.3.5 빗물관리시설 설치 관련제도 연계(안) 495
 8.3.6 요금감면 인센티브 활성화 496
8.4 시민참여 및 홍보방안 497
 8.4.1 기본방향 497
 8.4.2 해외사례 - 호주 멜버른(Australia Melbourne) 497
 8.4.3 시민참여 및 홍보방안 498

참고문헌

착수보고 자문의견(2012.10.04)

<부록1> 국내 물순환 법제 현황

<부록2> 분산형 빗물관리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STORM.WB-Seoul) 프로그램 설명서

별첨. 빗물관리계획 가이드라인 -종로구 청운효자동 일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