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서울시 아동·청소년 문화활동 활성화 지원 조례 제정을 위한 연구

서울특별시의회사무처 입법담당관

상세정보
자료유형학술용역보고서
단체저자명서울특별시의회.사무처.입법담당관;
서명/저자사항서울시 아동·청소년 문화활동 활성화 지원 조례 제정을 위한 연구 /서울특별시의회사무처 입법담당관.
발행사항서울:서울특별시의회사무처 입법담당관,2013
형태사항280p. :삽화,표;30cm
일반주기 2013 서울특별시의회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요약참고문헌 : p.233~235
비통제주제어서울시,아동,청소년,문화활동,활성화,지원,조례 제정,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076172 S 334.3 2014-2 c2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076171 S 334.3 2014-2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076172
청구기호
S 334.3 2014-2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076171
청구기호
S 334.3 2014-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아동·청소년 문화활동 활성화 지원 조례 제정을 위한 연구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표지
제출문
요약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개요 21
2. 연구의 목적 25
II. 아동·청소년문화 및 여가의 제도적 특성고찰
1. 문화의 개념과 아동·청소년의 문화 27
2. 아동·청소년 문화활동의 개념 정의 32
 가. 개념 정의의 고려 요소 32
 나. 개념 정의를 위한 접근 방법 34
 다. 개념 정의의 전략적 방향 35
3. 아동·청소년의 발달특성에 따른 여가실태와 체험활동 50
 가. 서울시 아동·청소년의 여가체험활동 실태 50
 나. 아동·청소년의 발달특성과 문화와 여가체험의 중요성 55
4. 아동·청소년문화활동 외국 사례 : 핀란드의 청소년문화활동 59
 가. 문화예술과 관련된 외국의 법적 개념 정의 사례 59
 나. 핀란드의 청소년문화활동 지원정책 60
 다. 핀란드 청소년문화 정책 75
 라. 시사점 80
5. 아동·청소년문화활동 관련법과 제도적 지원 82
 가. 아동·청소년문화관련 법과 조례지원현황 82
 나. 문화관련 서울시 조례 85
 다. 아동·청소년문화관련 주요 정책 86
 라. 아동·청소년을 위한 공공영역에서의 문화지원시설의 현황과 운영실태 98
 마. 소결 112
III. 아동·청소년문화활동의 실태와 현황
1. 아동·청소년문화활동실태에 대한 패널자료 분석 114
 가. 아동·청소년 문화활동의 패널자료항목 114
 나. 2010, 2011, 2012년 중학생의 문화활동패널자료분석결과 117
2. 아동·청소년의 문화활동실태 조사현황 126
 가. 조사대상의 수행을 위한 연구방법 126
 나. 조사방법과 설문의 구성 126
3. 아동·청소년의 문화활동 참여실태와 발전방향조사결과분석 127
 가. 아동·청소년의 문화활동 실태 127
 나. 전문가의 아동·청소년문화 지원실태 165
4. 아동·청소년의 문화활동실태조사 소결 218
 가. 아동·청소년의 문화활동활성화요구 218
 나. 교사의 문화활동활성화요구 219
5. 아동·청소년의 문화활동 활성화 저해요인 종합 220
 가. 아동·청소년의 문화활동에 대한 인식부재 220
 나. 입시위주 교육의 한계로 인한 시간부족 221
 다. 학교간 문화시설 격차상존 222
 라. 문화활동 향유장소의 절대적 부족 222
 마. 문화활동에 대한 정보입수 제약성 222
 바. 장기적, 지속성 활동이 아닌 단기성 활동과 안전성 부재 223
 사. 문화활동 거점정보제공센터의 부재 223
 아. 아동?청소년의 문화활동지원을 위한 지도자의 부족 224
 자. 권역별 공간선택의 다양화 요구 224
 차. 한 구에 청소년들을 위한 놀이터의 부재 224
 카. 지역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의 부재 225
 파. 아동·청소년의 문화체험활동의 안전성 확보부재 225
IV. 문화활동 활성화를 위한 방안
1. 아동·청소년의 문화활동을 위한 개념적 합의 필요 226
 가. 아동·청소년문화활동의 개념합의를 위한 구성요소 226
 나. 아동·청소년문화활동 개념합의도출을 위한 틀 종합 237
2. 아동·청소년의 문화활동 지원을 위한 방안종합 238
 가. 서울시의 아동·청소년문화활동지원을 위한 대책 238
 나. 서울시교육청 및 학교의 아동·청소년문화활동지원을 위한 대책 243
 다. 아동·청소년문화활동지원을 위한 협력방안 245
3. 아동·청소년문화활동지원을 위한 조례구성(안) 246
참고문헌
부록 1 : 상위법과 서울시조례에서의 문화예술진흥관련 사항비교
부록 2 : 문화예술 및 청소년지원관련 조례(구 조례)
부록 3 : 설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