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북부간선고가교 정밀안전진단용역보고서 .[1]

북부도로사업소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기술용역보고서
단체저자명북부도로사업소;
서명/저자사항북부간선고가교 정밀안전진단용역보고서.북부도로사업소 [편].
발행사항서울:서울특별시 북부도로사업소,2014
형태사항656 p.:사진, 설계도;30 cm
일반주기 권차기호 임의부여
비통제주제어북부간선고가교,정밀,안전,진단,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079411 S 534.1 2014-20 v1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079412 S 534.1 2014-20 v1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079411
청구기호
S 534.1 2014-20 v1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079412
청구기호
S 534.1 2014-20 v1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북부간선고가교 정밀안전진단용역보고서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표지


제출문

정밀안전진단 요약문 및 결과표

목차

제1장 정밀안전진단의 개요

1.1 과업의 목적
 84
1.2 과업기간
 84
1.3 과업의 범위 및 내용
 84
1.4 대상 시설물 개요
 88
1.5 과업수행 일정
 89
1.6 진단장비
 91
1.7 교량기호 정의
 92

제2장 자료수집 및 분석

2.1 자료수집
 100
2.2 자료의 분석
 108
2.3 관련
도면  118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3.1 대상 교량의 개요
 200
3.2 외관조사 결과
 203
3.3 재료시험결과
 388

제4장 시설물의 상태평가

4.1 개요
 432
4.2 상태평가 결과
 435

제5장 시설물의 안전성평가

5.1 개요
 464
5.2 상부구조 안전성평가
 474
5.3 하부구조 안전성평가
 534
5.4 재하시험
 547
5.5 내하력 평가
 569
5.6 내진성능평가
 573
5.7 종합결과
 622

제6장 종합평가 및 안전등급 지정

6.1 개요
 628
6.2 종합평가 결과
 629
6.3 안전등급 지정
 629

제7장 보수·보강 방법
7.1 개요
 634
7.2 보수·보강 개략 공사비
 636
7.3 주요 보수·보강 방법
 668
7.4 유지관리방안
 682

제8장 종합결론 및 건의사항

8.1 개요
 700
8.2 항목별 결과
 702
8.3 종합결론 및 건의사항
 725
8.4 유지관리시 특별한 관리가 요구되는 사항
 726
8.5 기타 필요사항
 736

표목차


1 84
 <표 1.3.1> 정밀안전진단의 범위 84
 <표 1.4.1> 교량현황표
 88
 <표 1.6.1> 진단장비목록
 91
표 2  100
 <표 2.1.1> 자료수집 목록 100
 <표 2.1.2> CD 수록 내용 101
 <표 2.1.3> 교량현황표 102
 <표 2.1.4> STBR구간 103
 <표 2.1.5> 본선구간 103
 <표 2.1.6> 램프구간 104
 <표 2.1.7> 도시개발공사구간 105
 <표 2.1.8> 안전점검 이력 105
 <표 2.1.9> 보수·보강 이력 106
 <표 2.1.10> 일상유지보수 이력 107
 <표 2.2.1> 교량연장 비교표 - STBR구간 108
 <표 2.2.2> 교량연장 비교표 - 본선구간 108
 <표 2.2.3> 교량연장 비교표 - 램프구간 109
 <표 2.2.4> 교량연장 비교표 - 도시개발공사구간 109
 <표 2.2.5> 2002년도 초기점검 결과 요약 110
 <표 2.2.6> 2008년도 정밀점검 결과 요약 111
 <표 2.2.7> 2010년도 정밀점검 결과 요약 112
 <표 2.2.8> 2011년도 정밀점검 결과 요약 113
 <표 2.2.9> 2012년도 정밀점검 결과 요약 114
 <표 2.2.10> 2012년도 자동차 전용도로 시설물 포장개량 기본조사 및 실시설계 보고서 115
 <표 2.2.11> 점검년도 별 주요 손상 비교표 116

3 201
 <표 3.1.1> 북부간선고가교 개요 201
 <표 3.2.1> STBR9 교면포장 손상물량 210
 <표 3.2.2> STBR10 교면포장 손상물량 210
 <표 3.2.3> STBR11 교면포장 손상물량 210
 <표 3.2.4> STBR9 배수시설 손상물량 212
 <표 3.2.5> STBR10 배수시설 손상물량 212
 <표 3.2.6> STBR11 배수시설 손상물량 212
 <표 3.2.7> STBR9 방호울타리 및 방음벽 손상물량 215
 <표 3.2.8> STBR10 방호울타리 및 방음벽 손상물량 215
 <표 3.2.9> STBR11 방호울타리 및 방음벽 손상물량 216
 <표 3.2.10> 신축이음장치 이동량 검토 결과 - 하절기 측정(26.4℃) 218
 <표 3.2.11> 신축이음장치 이동량 검토 결과 ? 동절기 측정(-0.8℃) 219
 <표 3.2.12> 신축이음장치의 실제 이동량과 이론 이동량 비교 219
 <표 3.2.13> STBR9 신축이음장치 손상물량 221
 <표 3.2.14> STBR10 신축이음장치 손상물량 221
 <표 3.2.15> STBR11 신축이음장치 손상물량 221
 <표 3.2.16> STBR구간 용접손상 물량 비교 224
 <표 3.2.17> STBR9 거더 내부 손상물량 225
 <표 3.2.18> STBR10 거더 내부 손상물량 226
 <표 3.2.19> STBR11 거더 내부 손상물량 226
 <표 3.2.20> STBR9 거더 외부 손상물량 229
 <표 3.2.21> STBR10 거더 외부 손상물량 229
 <표 3.2.22> STBR11 거더 외부 손상물량 230
 <표 3.2.23> STBR9 바닥판 하면 손상물량 231
 <표 3.2.24> STBR10 바닥판 하면 손상물량 232
 <표 3.2.25> STBR11 바닥판 하면 손상물량 232
 <표 3.2.26> 교량받침 이동량 검토 결과 ? 하절기 측정(27.1 ∼ 29.0℃) 234
 <표 3.2.27> 교량받침 이동량 검토 결과 ? 동절기 측정(-0.8℃) 235
 <표 3.2.28> 교량받침 이동량 실제 이동량과 이론 이동량 비교 236
 <표 3.2.29> STBR9 교량받침 손상물량 237
 <표 3.2.30> STBR10 교량받침 손상물량 237
 <표 3.2.31> STBR11 교량받침 손상물량 237
 <표 3.2.32> 연단거리 측정 결과 239
 <표 3.2.33> 콘크리트 파괴 검토 조건 240
 <표 3.2.34> 콘크리트강도에 따른 허용전단응력 240
 <표 3.2.35> 콘크리트 저항면적 범례 240
 <표 3.2.36> STBR9 하부구조 손상물량 241
 <표 3.2.37> STBR10 하부구조 손상물량 242
 <표 3.2.38> STBR11 하부구조 손상물량 242
 <표 3.2.39> 포장등급 및 우선보수 필요구간 245
 <표 3.2.40> 본선 교면포장 손상물량 248
 <표 3.2.41> 본선 배수시설 손상물량 251
 <표 3.2.42> 본선 방호울타리 손상물량 255
 <표 3.2.43> 신축이음장치 하부 톱니 파단 현황 257
 <표 3.2.44> 신축이음장치 이동량 검토 결과 ? 하절기 측정(26.4∼27.7℃) 260
 <표 3.2.45> 신축이음장치 이동량 검토 결과 ? 동절기 측정(-0.8 ∼ -1.3℃) 260
 <표 3.2.46> 신축이음장치의 실제 이동량과 이론 이동량 비교 260
 <표 3.2.47> 본선 신축이음장치 손상물량 263
 <표 3.2.48> 본선 거더내부 손상물량 272
 <표 3.2.49> 본선 거더내부 손상물량 278
 <표 3.2.50> 본선 바닥판 손상물량 284
 <표 3.2.51> 교량받침 이동량 검토 결과 ? 하절기 측정(23.6 ∼ 28.7℃) 295
 <표 3.2.52> 교량받침 이동량 검토 결과 ? 동절기 측정(-0.8 ∼ -1.3℃) 296
 <표 3.2.53> 교량받침 실제 이동량과 이론 이동량 비교 297
 <표 3.2.54> 본선 교량받침 손상물량 298
 <표 3.2.55> 주요 균열측정 결과 요약 303
 <표 3.2.56> 연단거리 측정 결과 305
 <표 3.2.57> 본선 하부구조 손상물량 306
 <표 3.2.58> 도시개발공사 교면포장 손상물량 312
 <표 3.2.59> 도시개발공사 배수시설 손상물량 314
 <표 3.2.60> 도시개발공사 방호울타리 손상물량 317
 <표 3.2.61> 신축이음장치 이동량 검토 결과 ? 하절기 측정(26.4∼27.7℃) 319
 <표 3.2.62> 신축이음장치 이동량 검토 결과 ? 동절기 측정(-1.3℃) 320
 <표 3.2.63> 신축이음장치의 실제 신축량과 이론 신축량 비교 320
 <표 3.2.64> 도시개발공사 신축이음장치 손상물량 321
 <표 3.2.65> 도시개발공사 강 박스 거더 내부 손상물량 329
 <표 3.2.66> 도시개발공사 강 박스 거더 외부 손상물량 333
 <표 3.2.67> 도시개발공사 바닥판 손상물량 336
 <표 3.2.68> 교량받침 이동량 검토 결과 ? 하절기 측정(23.6 ∼ 28.7℃) 339
 <표 3.2.69> 교량받침 이동량 검토 결과 ? 동절기 측정(-1.3℃) 339
 <표 3.2.70> 교량받침 실제 이동량과 이론 이동량 비교 339
 <표 3.2.71> 도시개발공사 교량받침 손상물량 340
 <표 3.2.72> 연단거리 측정 결과 342
 <표 3.2.73> 도시개발공사 하부구조 손상물량 343
 <표 3.2.74> 도시개발공사 옹벽 손상물량 343
 <표 3.2.75> 램프A 교면포장 손상물량 347
 <표 3.2.76> 램프B 교면포장 손상물량 347
 <표 3.2.77> 램프A 배수시설 손상물량 348
 <표 3.2.78> 램프B 배수시설 손상물량 348
 <표 3.2.79> 램프A 방호울타리 손상물량 349
 <표 3.2.80> 램프B 방호울타리 손상물량 350
 <표 3.2.81> 신축이음장치 신축 여유량 검토 ? 하절기 측정(27.7℃) 351
 <표 3.2.82> 신축이음장치 신축 여유량 검토? 동절기 측정(-1.3℃) 352
 <표 3.2.83> 신축이음장치의 실제 신축량과 이론 신축량 비교 352
 <표 3.2.84> 바닥판 및 거더 유간 측정 결과 352
 <표 3.2.85> 램프A 신축이음장치 손상물량 353
 <표 3.2.86> 램프B 신축이음장치 손상물량 353
 <표 3.2.87> 램프A 거더 내부 손상물량 355
 <표 3.2.88> 램프B 거더 내부 손상물량 355
 <표 3.2.89> 램프A 거더외부 손상물량 356
 <표 3.2.90> 램프B 거더외부 손상물량 356
 <표 3.2.91> 램프A 바닥판하면 손상물량 358
 <표 3.2.92> 램프B 바닥판하면 손상물량 358
 <표 3.2.93> 온도에 따른 변위량 검토 결과 361
 <표 3.2.94> 교량받침 이동량 검토 결과 ? 하절기 측정(23.6 ∼ 28.7℃) 362
 <표 3.2.95> 교량받침 이동량 검토 결과 ? 동절기 측정(-1.3℃) 363
 <표 3.2.96> 교량받침 실제 이동량과 이론 이동량 비교 363
 <표 3.2.97> 램프A 교량받침 손상물량 363
 <표 3.2.98> 램프B 교량받침 손상물량 363
 <표 3.2.99> 연단거리 측정 결과 365
 <표 3.2.100> 램프A 하부구조 손상물량 366
 <표 3.2.101> 램프B 하부구조 손상물량 366
 <표 3.2.102> 램프A 옹벽구간 손상물량 367
 <표 3.2.103> 램프C 교면포장 손상물량 369
 <표 3.2.104> 램프D 교면포장 손상물량 369
 <표 3.2.105> 램프C 배수시설 손상물량 370
 <표 3.2.106> 램프D 배수시설 손상물량 370
 <표 3.2.107> 램프C 방호울타리 손상물량 372
 <표 3.2.108> 램프D 방호울타리 손상물량 372
 <표 3.2.109> 신축이음장치 이동량 검토 결과 ? 하절기 측정(26.4℃) 374
 <표 3.2.110> 신축이음장치 이동량 검토 결과 ? 동절기 측정(-0.8℃) 374
 <표 3.2.111> 신축이음장치의 실제 신축량과 이론 신축량 비교 374
 <표 3.2.112> 바닥판 및 거더 유간 측정 결과 375
 <표 3.2.113> 램프C 신축이음부 손상물량 375
 <표 3.2.114> 램프D 신축이음부 손상물량 375
 <표 3.2.115> 램프C 거더 내부 손상물량 378
 <표 3.2.116> 램프D 거더 내부 손상물량 378
 <표 3.2.117> 램프C 거더 외부 손상물량 380
 <표 3.2.118> 램프D 거더 외부 손상물량 380
 <표 3.2.119> 램프C 바닥판하면 손상물량 381
 <표 3.2.120> 램프D 바닥판하면 손상물량 381
 <표 3.2.121> 교량받침 이동량 검토 결과 ? 하절기 측정(24.5 ∼ 27.0℃) 383
 <표 3.2.122> 교량받침 이동량 검토 결과 ? 동절기 측정(-0.8℃) 383
 <표 3.2.123> 교량받침 이동량 실제 이동량과 이론 이동량 비교 383
 <표 3.2.124> 램프C 교량받침 손상물량 384
 <표 3.2.125> 램프D 교면포장 손상물량 384
 <표 3.2.126> 연단거리 측정 결 385
 <표 3.2.127> 램프C 하부구조 손상물량 386
 <표 3.2.128> 램프D 하부구조 손상물량 386
 <표 3.2.129> 램프C 옹벽구간 손상물량 387
 <표 3.2.130> 램프D 옹벽구간 손상물량 387
 <표 3.3.1> 북부간선고가교 재료시험 실시 수량 388
 <표 3.3.2> 코어 시험 결과 389
 <표 3.3.3> 본선구간 코어 보정계수 산정 390
 <표 3.3.4> 도시개발공사구간 코어 보정계수 산정 390
 <표 3.3.5> 코어보정계수를 적용한 비파괴압축강도 결과 391
 <표 3.3.6> 코어채취 시험보고서 391
 <표 3.3.7> 반발경도법에 의한 콘크리트 강도결과 392
 <표 3.3.8> 반발경도 시험보고서 394
 <표 3.3.9> 초음파법에 의한 콘크리트 강도결과 395
 <표 3.3.10> 코어 탄성파속도에 의한 강도결과 396
 <표 3.3.11> 초음파속도 시험보고서 397
 <표 3.3.12> 철근탐사 시험보고서 412
 <표 3.3.13> 탄산화깊이 측정결과 및 평가 413
 <표 3.3.14>  탄산화 시험보고서
 415
 <표 3.3.15> 염화물 함유량 시험결과 417
 <표 3.3.16> 염화물 상태평가 기준 418
 <표 3.3.17> 염화물 함유량 시험보고서 418
 <표 3.3.18> 균열깊이 측정결과 419
 <표 3.3.19> 균열깊이 시험보고서 420
 <표 3.3.20> 결함의 등급분류 421
 <표 3.3.21> 초음파탐상시험 결과 421
 <표 3.3.22> 도막두께 측정결과 423
 <표 3.3.23> STBR구간 재료시험 결과 요약 424
 <표 3.3.24> 본선구간 재료시험 결과 요약 425
 <표 3.3.25> 도시개발공사구간 재료시험 결과 요약 426
 <표 3.3.26> 램프구간 재료시험 결과 요약 427
 <표 3.3.27> STBR구간 비교 결과 427
 <표 3.3.28> 본선구간 비교 결과 428
 <표 3.3.29> 도시개발공사구간 비교 결과 428
 <표 3.3.30> 램프구간 비교 결과 428
표 4 432
 <표 4.1.1> 결함도 점수 범위에 따른 기준 433
 <표 4.1.2> 구조형식에 따른 부재별 가중치 433
 <표 4.2.1> 북부간선고가교 상태평가 결과 435
 <표 4.2.2> STBR-9 상태평가 결과표  436
 <표 4.2.3> STBR-10 상태평가 결과표 436
 <표 4.2.4> STBR-11 정릉방향 상태평가 결과표 436
 <표 4.2.5> STBR-11 구리방향 상태평가 결과표 437
 <표 4.2.6> 본선 정릉방향 상태평가 결과표 437
 <표 4.2.7> 본선 구리방향 상태평가 결과표 437
 <표 4.2.8> 도시개발공사 정릉방향 상태평가 결과표 438
 <표 4.2.9 > 도시개발공사 구리방향 상태평가 결과표 438
 <표 4.2.10> 램프-A 상태평가 결과표 439
 <표 4.2.11> 램프-B STB 구간 상태평가 결과표 439
 <표 4.2.12> 램프-B 슬래브 구간 상태평가 결과표 439
 <표 4.2.13> 램프-C 상태평가 결과표 439
 <표 4.2.14> 램프-D 상태평가 결과표 439
 <표 4.2.15> 상태평가결과 비교표 453
 <표 4.2.16> STBR-9 상태평가 결과표 453
 <표 4.2.17> STBR-10 상태평가 결과표 454
 <표 4.2.18> STBR-11 상태평가 결과표 455
 <표 4.2.19> 본선 상태평가 결과표 455
 <표 4.2.20> 도시개발공사 상태평가 결과표 457
 <표 4.2.21> 바닥판 손상 평가 비교표 458
 <표 4.2.22> 램프-A 상태평가 결과표 458
 <표 4.2.23> 램프-B STB 구간 상태평가 결과표 459
 <표 4.2.24> 램프-B 슬래브 구간 상태평가 결과표 459
 <표 4.2.25> 램프-C 상태평가 결과표 460
 <표 4.2.26> 램프-D 상태평가 결과표 461

5 466
 <표 5.1.1> 안전성평가 등급기준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2010.12)] 466
 <표 5.1.2> 설계 시와 현재의 안전성검토 제기준 비교 466
 <표 5.1.3> 구조해석 검토 구간 구분 466
 <표 5.1.4> 구조 해석조건 비교 및 적용사항 467
 <표 5.1.5> 콘크리트의 재료특성 468
 <표 5.1.6> 합성거더에서의 콘크리트 허용압축응력 468
 <표 5.1.7> 합성거더에서의 콘크리트 허용인장응력 468
 <표 5.1.8> 강재의 재료특성 468
 <표 5.1.9> 거더 강재(SM490)의 허용응력 469
 <표 5.1.10> 합성거더 강재의 허용응력 증가율 469
 <표 5.1.11> 철근의 재료특성 (단위 : MPa) 469
 <표 5.1.12> 적용하중의 강도 및 산정근거 469
 <표 5.1.13> 사용하중 조합경우 470
 <표 5.1.14> 계수하중 조합 경우 470
 <표 5.2.1> 고정하중 산정 결과 (단위폭 당) 474
 <표 5.2.2> 고정하중 산정 결과 (단위폭 당) 475
 <표 5.2.3> 바닥판 하중 산정 결과 (단위 : kN·m/m) 477
 <표 5.2.4> 하중조합 결과 477
 <표 5.2.5> 바닥판 안전성검토 결과 480
 <표 5.2.6> 단면제원 481
 <표 5.2.7> 강재플랜지 및 콘크리트바닥판 유효폭 산정 결과 (단위 : m) 485
 <표 5.2.8> 합성 전 단면특성 산정 결과 485
 <표 5.2.9> 합성 후 단면특성 산정 결과 485
 <표 5.2.10> 바닥판 자중의 거더별 횡분배 결과 487
 <표 5.2.11> 합성후 고정하중의 거더별 횡분배 결과 488
 <표 5.2.12> 이동하중 해석 시 기본 설정내용 488
 <표 5.2.13> 발생 휨모멘트 집계 (단위 : kN·m) 491
 <표 5.2.14> 발생 전단력 집계 (단위 : kN) 491
 <표 5.2.15> 발생 비틀림모멘트 집계 (단위 : kN·m) 492
 <표 5.2.16> 받침반력 집계 (단위 : kN) 493
 <표 5.2.17> 최대 정모멘트부의 검토단면 497
 <표 5.2.18> 응력 산정 시 입력자료 497
 <표 5.2.19> 적용 하중조합 498
 <표 5.2.20> 사용재료의 허용응력 498
 <표 5.2.21> 정모멘트부(제6지간 중앙부) 응력 검토 결과 498
 <표 5.2.22> 최대 부모멘트부의 검토단면 499
 <표 5.2.23> 응력 산정 시 입력자료 499
 <표 5.2.24> 사용재료의 허용응력 500
 <표 5.2.25> 부모멘트부(제5내부 지점부) 응력 검토 결과 500
 <표 5.2.26> 제5내부(MP35) 지점부 합성응력검토 결과 500
 <표 5.2.27> 도로종류에 따른 응력 반복횟수 501
 <표 5.2.28> 허용피로응력범위 501
 <표 5.2.29> 단면2의 피로조사 502
 <표 5.2.30> 단면11의 피로조사 502
 <표 5.2.31> 휨모멘트에 대한 피로검토 503
 <표 5.2.32> 고정하중 산정 결과 (단위폭 당) 504
 <표 5.2.33> 고정하중 산정 결과 (단위폭 당) 505
 <표 5.2.34> 바닥판 하중 산정 결과 (단위 : kN·m/m) 506
 <표 5.2.35> 하중조합 결과 506
 <표 5.2.36> 바닥판 안전성검토 결과 508
 <표 5.2.37> 단면제원 509
 <표 5.2.38> 강재플랜지 및 콘크리트바닥판 유효폭 산정 결과 (단위 : m) 512
 <표 5.2.39> 합성 전 단면특성 산정 결과 512
 <표 5.2.40> 합성 후 단면특성 산정 결과 513
 <표 5.2.41> 바닥판 자중의 거더별 횡분배 결과 514
 <표 5.2.42> 합성후 고정하중의 거더별 횡분배 결과 515
 <표 5.2.43> 이동하중 해석 시 기본 설정내용 515
 <표 5.2.44> 발생 휨모멘트 집계 (단위 : kN·m) 518
 <표 5.2.45> 발생 전단력 집계 (단위 : kN) 519
 <표 5.2.46> 발생 비틀림모멘트 집계 (단위 : kN·m) 520
 <표 5.2.47> 받침반력 집계 (단위 : kN) 521
 <표 5.2.48> 최대 정모멘트부의 검토단면 525
 <표 5.2.49> 응력 산정 시 입력자료 525
 <표 5.2.50> 적용 하중조합 526
 <표 5.2.51> 사용재료의 허용응 526
 <표 5.2.52> 정모멘트부(제10지간 중앙부) 응력 검토 결과 526
 <표 5.2.53> 최대 부모멘트부의 검토단면 527
 <표 5.2.54> 응력 산정 시 입력자료 527
 <표 5.2.55> 사용재료의 허용응력 528
 <표 5.2.56> 부모멘트부(제9내부 지점부) 응력 검토 결과 ? 국부좌굴 상세해석 전 528
 <표 5.2.57> 부모멘트부 안전율 요약 - 국부좌굴 상세해석 전 528
 <표 5.2.58> 제9내부(P9) 지점부 합성응력검토 결과 529
 <표 5.2.59> 도로종류에 따른 응력 반복횟수 529
 <표 5.2.60> 허용피로응력범위 530
 <표 5.2.61> 단면1의 피로조사 530
 <표 5.2.62> 단면11의 피로조사 531
 <표 5.2.63> 휨모멘트에 대한 피로검토 531
 <표 5.2.64> 전회차 비교 532
 <표 5.2.65> 국부좌굴 해석 요약 532
 <표 5.2.66> 좌굴모드 및 임계하중 계수 533
 <표 5.2.67> 부모멘트부(제9내부 지점부) 응력 재검토 결과 ? 국부좌굴 상세해석 후 533
 <표 5.2.68> 부모멘트부 안전율 요약 - 국부좌굴 상세해석 후 533
 <표 5.3.1> 극한강도 검토시 하중조합 535
 <표 5.3.2> 부재력 요약 536
 <표 5.3.3> 임계하중 산정 결과 536
 <표 5.3.4> 세장비 검토 결과 537
 <표 5.3.5> 확대모멘트계수 산정 결과 537
 <표 5.3.6> 확대모멘트 산정 결과 538
 <표 5.3.7> 단면력 산출결과 요약 538
 <표 5.3.8> P-M 상관도에 의한 기둥 안전성 평가 결과 요약  539
 <표 5.3.9> 극한강도 검토시 하중조합 542
 <표 5.3.10> 부재력 요약
 543
 <표 5.3.11> 임계하중 산정 결과 543
 <표 5.3.12> 세장비 검토 결과 544
 <표 5.3.13> 확대모멘트 산정 결과 544
 <표 5.3.14> 단면력 산출결과 요약 544
 <표 5.3.15> P-M 상관도에 의한 기둥 안전성 평가 결과 요약 545
 <표 5.4.1> 측정 당시 제반사항 549
 <표 5.4.2> 센서의 종류
 550
 <표 5.4.3> 재하시험 차량 550
 <표 5.4.4> 처짐 측정결과 (단위 : mm) 554
 <표 5.4.5> 변형률 측정결과 (단위 : με) 554
 <표 5.4.6> 처짐 해석결과 (단위 : mm) 555
 <표 5.4.7> 변형률 해석결과 (단위 : με) 555
 <표 5.4.8> 거더의 중립축위치 산정 결과 (단위 : m) 556
 <표 5.4.9> 이론충격계수 557
 <표 5.4.10> 처짐(㎜)의 측정결과 및 충격계수(i) 557
 <표 5.4.11> 변형률(με)의 측정결과 및 충격계수(i) 558
 <표 5.4.12> 실측치와 해석치의 고유진동수 비교 559
 <표 5.4.13> 재하시험 측정기기 560
 <표 5.4.14> 센서의 종류 560
 <표 5.4.15> 재하시험 차량 560
 <표 5.4.16> 처짐 측정결과 (단위 : mm) 564
 <표 5.4.17> 변형률 측정결과 (단위 : με) 564
 <표 5.4.18> 처짐 해석결과 (단위 : mm) 565
 <표 5.4.19> 변형률 해석결과 (단위 : με) 565
 <표 5.4.20> 거더의 중립축위치 산정 결과 (단위 : m) 566
 <표 5.4.21> 이론충격계수 566
 <표 5.4.22> 처짐(㎜)의 측정결과 및 충격계수(i) 566
 <표 5.4.23> 변형률(με)의 측정결과 및 충격계수(i) 567
 <표 5.4.24> 실측치와 해석치의 고유진동수 비교 568
 <표 5.5.1> 기본내하력 산정위치에서의 휨응력 (단위 : MPa) 569
 <표 5.5.2> 거더의 기본내하력 평가 결과 569
 <표 5.5.3> 기본내하력 산정위치에서의 설계강도 및 단면력 (단위 : kN?m) 569
 <표 5.5.4> 바닥판의 기본내하력 평가 결과 569
 <표 5.5.5> 응답비 산정 결과 570
 <표 5.5.6> 공용내하력 평가 결과 570
 <표 5.5.7> 기본내하력 산정위치에서의 휨응력 (단위 : MPa) 571
 <표 5.5.8> 거더의 기본내하력 평가 결과 571
 <표 5.5.9> 기본내하력 산정위치에서의 설계강도 및 단면력 (단위 : kN?m) 571
 <표 5.5.10> 바닥판의 기본내하력 평가 결과 571
 <표 5.5.11> 응답비 산정 결과 572
 <표 5.5.12> 공용내하력 평가 결과 572
 <표 5.6.1> 평가설계수명의 기준 573
 <표 5.6.2> 평가설계수명에 대한 비 574
 <표 5.6.3> 내진성능 평가기준지진의 평균재현주기 574
 <표 5.6.4> 내진성능 평가기준지진의 평균재현주기 575
 <표 5.6.5> 지반의 종류 575
 <표 5.6.6> 지반계수(Si) 576
 <표 5.6.7> 감쇠계수(B) 576
 <표 5.6.8> 기초-구조물 상호거동 모사 방법 비교 584
 <표 5.6.9> Mander 등의 제안식 585
 <표 5.6.10> Park 등(1971)의 제안식 586
 <표 5.6.11> 겹침이음 비율에 따른 극한변형률 587
 <표 5.6.12> 하중-변위 산정 방법에 따른 해석 결과 비교 590
 <표 5.6.13> 등가소한지길이 추정식 590
 <표 5.6.14> 등가소성한지길이 추정식에 따른 하중-처짐 거동 예측 결과 비교 591
 <표 5.6.15> 지진응답 해석방법 596
 <표 5.6.16> 지진응답해석방법  597
 <표 5.6.17> 설계응답스펙트림의 동제주기 Ts 599
 <표 5.6.18> 내진성능 평가표  599
 <표 5.6.19> 말뚝기초에 대한 내진성능 평가항목 및 간략방법 603
 <표 5.7.1 > 본선 BR-7구간의 상부구조 안전성평가 등급산정 결과 622
 <표 5.7.2> 도시개발공사구간의 상부구조 안전성평가 등급산정 결과 622
 <표 5.7.3> 본선 BR-7구간의 하부구조 안전성평가 등급산정 결과 622
 <표 5.7.4> 도시개발공사구간의 하부구조 안전성평가 등급산정 결과 622
 <표 5.7.5> 본선 BR-7구간의 공용내하력 평가 결과 622
 <표 5.7.6> 도시개발공사구간의 공용내하력 평가 결과 623
 <표 5.7.7> STBR-10구간 내진성능 평가결과 623
 <표 5.7.8> 본선 BR-7구간 내진성능평가결과
 623
 <표 5.7.9> 도시개발공사구간 내진성능평가 결과 624
 <표 5.7.10> 안전성평가 등급산정 결과 625
 <표 5.7.11> 안전성평가 등급산정 결과
 625
표 6 629
 <표 6.2.1> 종합평가 결과표 629
 <표 6.3.1> 안전등급 지정
 629
표 7 636
 <표 7.2.1> 주요 보수공법 적용 종합표 636
 <표 7.2.2> 연차별 교면포장 보수 계획표 636
 <표 7.2.3> 북부간선고가교 순위별 개략공사비
 636
 <표 7.2.4> STBR, 본선, 도시개발공사 보수방안별 개략공사비 637
 <표 7.2.5> 램프 보수방안별 개략공사비 638
 <표 7.2.6> 청소 및 재설치 개략공사비 638
 <표 7.2.7> STBR-9 부재별 개략공사비 639
 <표 7.2.8> STBR-10 부재별 개략공사비
 641
 <표 7.2.9> STBR-11 부재별 개략공사비 642
 <표 7.2.10> 본선 부재별 개략공사비
 643
 <표 7.2.11> 도시개발공사 부재별 개략공사비 647
 <표 7.2.12> 램프-A 부재별 개략공사비
 649
 <표 7.2.13> 램프-B 부재별 개략공사비
 650
 <표 7.2.14> 램프-C 부재별 개략공사비 652
 <표 7.5.15> 램프-D 부재별 개략공사비  652
 <표 7.2.16> STBR-9 보수방안별 개략공사비 653
 <표 7.2.17> STBR-10 보수방안별 개략공사비 654
 <표 7.2.18> SRBR-11 보수방안별 개략공사비
 656
 <표 7.2.19> 본선 보수방안별 개략공사비
 657
 <표 7.2.20> 도시개발공사 보수방안별 개략공사비
 661
 <표 7.2.21> 램프-A 보수방안별 개략공사비
 663
 <표 7.2.22> 램프-B 보수방안별 개략공사비
 664
 <표 7.2.23> 램프-C 보수방안별 개략공사비
 666
 <표 7.2.24> 램프-D 보수방안별 개략공사비
 667
 <표 7.3.1> 균열보수공법
 668
 <표 7.3.2> 표면보수공법
 670
 <표 7.3.3> 단면보수공법
 672
 <표 7.3.4> 교면방수 보수
 674
 <표 7.3.5> 도장보수공법 비교표
 676
 <표 7.3.6> 도시개발공사 보강안(P2~P9지점부
) 678
 <표 7.3.7> 교량받침 교체
 680
 <표 7.4.1> 시설물 별 주요부위 증대결함
 684
 <표 7.4.2> 구간별 증점유지관리 사항
 685
표 8 715
 <표 8.2.1> STBR구간 재료시험 결과 요약
 715
 <표 8.2.2> 본선구간 재료시험 결과요약
 716
 <표 8.2.3> 도시개발공사구간 재료시험 결과 요약
 717
 <표 8.2.4> 램프구간 재료시험 결과 요약
 718
 <표 8.2.5> 북부간선고가교 상태평가 결과
 718
 <표 8.2.6> 안전성평가 결과
 719
 <표 8.2.7> 내하력평가 결과
 719
 <표 8.2.8> STBR-10구간 내진성능평가 결과
 720
 <표 8.2.9> 본선 BR-7구간 내진 성능 평가 결과
 720
 <표 8.2.10> 도시개발공사구간 내진성능평가 결과
 721
 <표 8.2.11> 종합평가 결과
 722
 <표 8.2.12> 북부간선고가교 구간별 개략공사비
 722
 <표 8.2.13> STBR, 본선, 도시개발공사 보수방안별 개략공사비
 723
 <표 8.2.14> 램프 보수방안별 개략공사비
 723
 <표 8.2.15> 청소 및 재설치 개략공사비
 724
 <표 8.4.1> 구간별 중점유지관리 사항
 726

그림목차

그림 1 87
 <그림 1.3.1> 정밀안전진단 흐름도
 87
 <그림 1.5.1> 북부간선고가교 과업수행 일정 - 당초
 89
 <그림 1.5.2> 북부간선고가교 과업수행 일정
 90
 <그림 1.7.1> 기존 구조물 관리표지판 현황 및 개선내용
 92
 <그림 1.7.2> STBR구간 교량기호 정의
 93
 <그림 1.7.3> 본선구간 교량기호 정의
 94
 <그림 1.7.4> 도시개발공사구간 교량기호 정의
 95
 <그림 1.7.5> 램프구간 교량기호 정의
 96
그림 2 118
 <그림 2.2.1>STBR-9 종·평면도   118
 <그림 2.2.2> STBR-10 종·평면도
 120
 <그림 2.2.3> STBR-11 종·평면도  122
 <그림 2.2.4> 본선 종·평면도(1)  124
 <그림 2.2.5> 본선 종·평면도(2)-1  126
 <그림 2.2.6> 본선 종·평면도(2)-2  128
 <그림 2.2.7> 본선 종·평면도(2)-3  130
 <그림 2.2.8> 본선 종·평면도(2)-4  132
 <그림 2.2.9> 본선 종·평면도(3)-1  134
 <그림 2.2.10> 본선 종·평면도(3)-2
  136
 <그림 2.2.11> 본선 종·평면도(3)-3  138
 <그림 2.2.12> 본선 종·평면도(3)-4
  140
 <그림 2.2.13> 본선 종·평면도(4)-1
  142
 <그림 2.2.14> 본선 종·평면도(4)-2  144
 <그림 2.2.15> 본선 종·평면도(4)-3  146
 <그림 2.2.16> 본선 종·평면도(4)-4  148
 <그림 2.2.17> 본선 종·평면도(4)-5
  150
 <그림 2.2.18> 본선 종·평면도(5)  152
 <그림 2.2.19> 본선 종·평면도(6)  154
 <그림 2.2.20> 본선 종·평면도(7)-1  156
 <그림 2.2.21> 본선 종·평면도(7)-2  158
 <그림 2.2.22> 본선 종·평면도(7)-3  160
 <그림 2.2.23> 본선 종·평면도(8)-1  162
 <그림 2.2.24> 본선 종·평면도(8)-2  164
 <그림 2.2.25> 본선 종·평면도(9)  166
 <그림 2.2.26> 본선 종·평면도(10)  168
 <그림 2.2.27> 본선 종·평면도(11)-1  170
 <그림 2.2.28> 본선 종·평면도(11)-2  172
 <그림 2.2.29> 도시개발공사 종·평면도 174
 <그림 2.2.30> 도시개발공사 교각일반도 176
 <그림 2.2.31> 도시개발공사 교각상세도(1) 178
 <그림 2.2.32> 도시개발공사 교각상세도(2) 180
 <그림 2.2.33> 도시개발공사 교각상세도(3) 182
 <그림 2.2.34> 램프-A 평면도 184
 <그림 2.2.35> 램프-A 종단면도 186
 <그림 2.2.36> 램프-B 평면도 188
 <그림 2.2.37> 램프-B 종단면도 190
 <그림 2.2.38> 램프-C, D 평면도 192
 <그림 2.2.39> 램프-C 종단면도 194
 <그림 2.2.40> 램프-D 종단면도 196
그림 3 204
 <그림 3.2.1> 주요 외관조사 결과 204
 <그림 3.2.2> STBR구간 현황 207
 <그림 3.2.3> 북부간선고가교 STBR구간 GTBR구간 GPR조사 결과 요약 207
 <그림 3.2.4> STBR구간 선형특성 및 종단구배 208
 <그림 3.2.5> 교면포장의 열화, 손상 단계 209
 <그림 3.2.6> 교면포장의 전회차 비교
 210
 <그림 3.2.7> STBR9 방호울타리 및 방음벽손상물량
 215
 <그림 3.2.8> STBR10 방호울타리 및 방음벽 손상물량 215
 <그림 3.2.9> STBR11 방호울타리 및 방음벽 손상물량
 216
 <그림 3.2.10> 물받이 고무재 손상에 따른 가용성 물받이 설치공법
 217
 <그림 3.2.11> 신축이음장치 이동량 컴토 범례
 218
 <그림 3.2.12> 신축이음장치의 실제 이동량과 이른 이동량 비교
 219
 <그림 3.2.13> 거더내부의 전회차 비교 225
 <그림 3.2.14> 거더외부의 전회차 비교
 229
 <그림 3.2.15> 바닥판 하면의 전회차 비교
 231
 <그림 3.2.16> STBR구간 교량 받침 배치도 233
 <그림 3.2.17> 교량받침 우수차단 방안 233
 <그림 3.2.18> 교량받침 전회차 비교 236
 <그림 3.2.19> 하부구조의 전회차 비교 241
 <그림 3.2.20> 북부간선고가교 GPR조사 결과 요약
 244
 <그림 3.2.21> 교면포장의 전회차 비교
 248
 <그림 3.2.22> 배수시설의 전회차 비교
 250
 <그림 3.2.23> 방호울타리 및 방음벽 현황
 251
 <그림 3.2.24> 방음벽 앵커볼트 설치 현황 및 개선 방안
 252
 <그림 3.2.25> 팽창줄눈 및 방호울타리 경계면 누수처리 공법 254
 <그림 3.2.26> 방호울타리 상태 전회차 비교 255
 <그림 3.2.27> 본선 신축이음장치 개요 256
 <그림 3.2.28> 물받이 고무재 손상에 따른 가요성 물받이 설치공법
 258
 <그림 3.2.29> 신축이음장치 이동량 검토 범례 259
 <그림 3.2.30> 신축이음장치 전회차 비교
 263
 <그림 3.2.31>강 박스 내부 유입수 차단 대책
 266
 <그림 3.2.32> 용접기술자 소견 및 조치 내용
 270
 <그림 3.2.33> 강 박스 내부 산태 전회차 비교
 271
 <그림 3.2.34> 거더 단부 절취 방안
 275
 <그림 3.2.35> 강 박스 외부 상태 전회차 비교
 278
 <그림 3.2.36> 바닥판 하면 상태 전회차 비교
 284
 <그림 3.2.37> 교량받침 배치 285
 <그림 3.2.38> 교량받침 용량
 285
 <그림 3.2.29> 신축이음장치 이동량 검토 범례
 259
 <그림 3.2.30> 신축이음장치 상태 전회차 비교 263
 <그림 3.2.31> 강 박스 내부 유입수 차단 대책
 266
 <그림 3.2.32> 용접기술자 소견 및 조치내용
 270
 <그림 3.2.33> 강 박스 내부 상태 전회차 비교 271
 <그림 3.2.34> 거더 단부 절취 방안
 275
 <그림 3.2.35> 강 박스 외부 상태 전회차 비교
 278
 <그림 3.2.36> 바닥판 하면 상태 전회차 비교
 284
 <그림 3.2.37> 교량받침 배치 285
 <그림 3.2.38> 교량받침 용량
 285
 <그림 3.2.39> 받침모르타르의 전회차 비교
 298
 <그림 3.2.40> MP39 배근도 300
 <그림 3.2.41> MP57 배근도(정릉측면) 302
 <그림 3.2.42> MP39
균열 검토 결과  304
 <그림 3.2.43> MP57 균열 검토 결과
 304
 <그림 3.2.44> 교각 고핑부의 전회차 비교
 306
 <그림 3.2.45> 도시개발공사 구간 아스콘 포장 현황
 309
 <그림 3.2.46> 균열에 따른 교면포장의 열화, 손상 단계
 311
 <그림 3.2.47> 교면포장 상태 전회차 비교
 311
 <그림 3.2.48> 배수구 현황 및 곡선부 편경사
 313
 <그림 3.2.49> 배수시설 상태 전회차 비교
 314
 <그림 3.2.50> 방호울타리 및 방음벽 현황
 315
 <그림 3.2.51> 방음벽 앵커볼트 설치 및 개선 방안
 315
 <그림 3.2.52> 방호울타리 상태 전회차 비교
 316
 <그림 3.2.53> 신축이음장치 이동량 검토 범례
 319
 <그림 3.2.54> 신축이음장치 상태 전회차 비교
 321
 <그림 3.2.55> 누수 및 유제 유입경간 현황
 323
 <그림 3.2.56 > 바닥판→강 박스 내부로 유입되는 누수, 유제 흐름도
 324
 <그림 3.2.57> 강 박스 내부 상태 전회차 비교
 329
 <그림 3.2.58> 강 박스 외부 상태 전회차 비교
 333
 <그림 3.2.59> 바닥판(캔틸레버) 하면 열화손상 현황
 334
 <그림 3.2.60> 바닥판 하면 상태 전회차 비교
 336
 <그림 3.2.61> 교량받침 배치 및 용량
 337
 <그림 3.2.62> 신축이은장치 이동량 검토 범례
 338
 <그림 3.2.63> 교량받침 상태 전회차 비교
 340
 <그림 3.2.64> 하부구조 상태 전회차 비교
 342
 <그림 3.2.65> 램프A, B 현황
 345
 <그림 3.2.66> 교면포장의 전회차 비교
 347
 <그림 3.2.67> 거더내부 전회차 비교
 355
 <그림 3.2.68> 거더외부 전회차 비교
 356
 <그림 3.2.69> 바닥판하면 전회차 비교
 358
 <그림 3.2.70> 램프A,B 교량 받침 배치도
 359
 <그림 3.2.71> 적용온도 +30℃ 변위 형상
 360
 <그림 3.2.72> 적용온도 -20℃  변위 형상
 361
 <그림 3.2.73> Sh13,14 상부플레이트 � 측정결과
 362
 <그림 3.2.74> 램프A AP1 보강이력 및 현황
 365
 <그림 3.2.75> 하부구조 전회차 비교
 366
 <그림 3.2.76> 교면포장 전회차 비교
 369
 <그림 3.2.77> 방호울타리 전회차 비교
 372
 <그림 3.2.78> 방호울타리 전회차 비교
 378
 <그림 3.2.79> 거더 외부 전회차 비교
 380
 <그림 3.2.80> 램프C,D 교량 받침 배치도
 382
 <그림 3.2.81> 교량받침의 전회차 비교
 384
 <그림 3.2.82> 하부구조의 전회차 비교
 386
 <그림 3.3.1> 비파괴 강도식 선정 흐름도
 389
 <그림 3.3.2> 코어 보정계수 산정
 390
 <그림 3.3.3> 코어보정강도 그래프
 391
 <그림 3.3.4> 반발경도 시험 개요
 392
 <그림 3.3.5> 반발경도법에 의한 비파괴강도와 설계기준압축강도의 비교
 393
 <그림 3.3.6> 초음파법 시험 개요
 395
 <그림 3.3.7> 코어 탄성파속도에 의한 비파괴강도와 설계기준압축강도의 비교
 397
 <그림 3.3.8> 북부간선고가교 철근탐사
 398
 <그림 3.3.9> 상부구조 철근탐사 결과
 398
 <그림 3.3.10> 하부구조 철근탐사 결과
 399
 <그림 3.3.11> 상부구조 철근탐사 결과
 399
 <그림 3.3.12> 하부구조 철근탐사 결과
 400
 <그림 3.3.13> 상부구조 철근탐사 결과
 400
 <그림 3.3.14> 하부구조 철근탐사 결과
 401
 <그림 3.3.15> 상부구조 철근탐사
 401
 <그림 3.3.16> 하부구조 철근탐사 결과
 402
 <그림 3.3.17> 하부구조 철근탐사 결과
 402
 <그림 3.3.18> 하부구조 철근탐사 결과
 403
 <그림 3.3.19> 하부구조 철근탐사 결과
 403
 <그림 3.3.20> 상부구조 철근탐사 결과
 404
 <그림 3.3.21> 하부구조 철근탐사 결과
 404
 <그림 3.3.22> 하부구조 철근탐사 결과
 405
 <그림 3.3.23> 상부구조 철근탐사 결과
 405
 <그림 3.3.24> 하구구조 철근탐사 결과
 406
 <그림 3.3.25> 하부구조 철근탐사 결과
 406
 <그림 3.3.26> 상부구조 철근탐사 결과
 407
 <그림 3.3.27> 하부구조 철근탐사 결과
 407
 <그림 3.3.28> 상부구조 철근탐사 결과
 408
 <그림 3.3.29> 하부구조 철근탐사 결과
 408
 <그림 3.3.30> 하부구조 철근탐사 결과
 409
 <그림 3.3.31> 상부구조 철근탐사 결과
 409
 <그림 3.3.32> 하부구조 철근탐사 결과
 410
 <그림 3.3.33> 하부구조(교대)철근탐사 결과
 410
 <그림 3.3.34> 상부구조 철근탐사 결과
 411
 <그림 3.3.35> 하부구조 철근탐사 결과
 411
 <그림 3.3.36> 하부구조(교대) 철근탐사 결과
 412
 <그림 3.3.37> 탄산화 깊이 측정 단계별 전경
 413
 <그림 3.3.38> 손상부 탄산화 시험 측정 및 결과
 414
 <그림 3.3.39> 탄산화 깊이와 실측 철근피복 비교  415
 <그림 3.3.40> 염화물 함유량 시험
 416
 <그림 3.3.41> Tc-To법에 의한 균열깊이 측정
 419
 <그림 3.3.42> 초음파탐상의 원리
 420
 <그림 3.3.43> 강재 부식부 현황 및 두께 측정
  422
 <그림 3.3.44> S73 ~ S74 G1 강재두께 특정 위치 및 결과
  422
그림 4 432
 <그림 4.1.1>  교량 상태평가 결과 산정 흐름도
 432
 <그림 4.1.2> STBR-11, 본선 방향 구분에 따른 상태평가 산정 방안
  434
 <그림 4.1.3> 도시개발공사 방향 구분에 따른 상태평가 산정 방안
  434
 <그림 4.1.4> STBR-9,10, 램프A~D 상태평가 산정 방안
  434
 <그림 4.2.1>  바닥판 상태평가 결과도
 440
 <그림 4.2.2> 거더 상태평가 결과도
 441
 <그림 4.2.3> 가로보 및 세로보 상태평가 결과도
 442
 <그림 4.2.4> 하부구조 상태평가 결과도
 443
 <그림 4.2.5> 교량받침 상태평가 결과도
 444
 <그림 4.2.6> 신축이음 상태평가 결과도
 446
 <그림 4.2.7> 교면포장 상태평가 결과도
 448
 <그림 4.2.8> 배수시설 상태평가 결과도
 449
 <그림 4.2.9> 방호울타리 상태평가 결과도
 450
 <그림 4.2.10> 탄산화 상태평가 결과도
 451
 <그림 4.2.11> 염화물 상태평가 결과도
 452
그림 5 465
 <그림 5.1.1> 안전성평가 수행흐름도
 465
 <그림 5.1.2> 본선 S30~S35 종단면도
 471
 <그림 5.1.3> 도시개발공사 S9~S10 종단면도
 471
 <그림 5.1.4> 본선S32 횡단면도
 472
 <그림 5.1.5> 도시개발공사 S9 횡단면도
 472
 <그림 5.1.6> 본선 검토위치
 472
 <그림 5.1.7> 도시개발공사 검토위치
 473
 <그림 5.2.1> 횡단면도
 481
 <그림 5.2.2> 연속거더의 등가지간장 및 유효폭 변화
 482
 <그림 5.2.3> 유효폭 계산을 위한λ와 b
 484
 <그림 5.2.4> 구조계 모델링
 486
 <그림 5.2.5> 바닥판 자중의 거더별 황분해
 487
 <그림 5.2.6> 합성후 고정하중의 거더별 횡분해
 488
 <그림 5.2.7> 고정하중 재하도
 489
 <그림 5.2.8> 활하중 재하도
 490
 <그림 5.2.9> 하중조건별 발생 휨모멘트도
 494
 <그림 5.2.10> 하중조건별 발생 
전단력 495
 <그림 5.2.11> 하중조건별 발생 비틀림모멘트
 496
 <그림 5.2.12> 단면2의 피로조사 위치
 502
 <그림 5.2.13> 단면11의 피로조사 위치
 502
 <그림 5.2.14> 횡단면도
 509
 <그림 5.2.15> 연속거더의 등가지간장 및 유효폭 변화
 510
 <그림 5.2.16> 유효폭 계산을 위한 λ와b
 511
 <그림 5.2.17> 구조계 모델링
 513
 <그림 5.2.18> 바닥판 자중의 거더별 횡분해
 514
 <그림 5.2.19> 합성 후 고정하중의 거더별 횡분해
 515
 <그림 5.2.20> 고정하중 재하도
 516
 <그림 5.2.21> 활하중 재하도 517
 <그림 5.2.22> 하중조건별 발생 휨모멘트도
 522
 <그림 5.2.23> 하중조건별 발생 전단력
 523
 <그림 5.2.24> 하중조건별 발생 비틀림모멘트
 524
 <그림 5.2.25> 단면1의 피로조사 위치
 530
 <그림 5.2.26> 단면11의 피로조사 위치
 530
 <그림 5.3.1> 교각 검토단면 제원(MP35
) 534
 <그림 5.3.2> 최대 계수하중 단면력
 540
 <그림 5.3.3> 교각 검토단면 제원(P1
) 541
 <그림 5.3.4> 최대 계수하중 단면력
 546
 <그림 5.4.1> 정·동적재하시험 수행절차
 548
 <그림 5.4.2> 정·동적 데이터 측정 체계 548
 <그림 5.4.3> 시험경간의 센서 부착 위치
 551
 <그림 5.4.4> 하중 재하 경우
 552
 <그림 5.4.5> 횡분배거동 분석 결과
  556
 <그림 5.4.6> 진동모드 형상
 558
 <그림 5.4.7> 시험경간의 센서 부착 위치   561
 <그림 5.4.8> 하중 재하 경우
  562
 <그림 5.4.9> 진동 모드 형상
  567
 <그림 5.6.1> 응답스펙트럼 감소를 위한 감쇠비 산정
  577
 <그림 5.6.2> 지진격리교량의 응답스펙트럼
  577
 <그림 5.6.3> 지진격리교량의 시간이력해서을 위한 인공지진파
  579
 <그림 5.6.4> 기존교량 내진성능 평가 절차
  581
 <그림 5.6.5> 기초-구조물 상호거동 모사기법에 따른 스펙트럼가속도 비교
  583
 <그림 5.6.6> 하부구조해석 모델링[예
]  583
 <그림 5.6.7> 파이버모델을 이용한 단면 비선형 해석방법 개요
  584
 <그림 5.6.8> 유효휨강성(항복강성)  587
 <그림 5.6.9> 곡률적분법에 의한 부재 변위 산정 개요
  588
 <그림 5.6.10> 간이산정법에 의한 단일교각의 변위 산정 개요
  589
 <그림 5.6.11> 상부구조의 관성력 작용 위치(He)의 정의
 592
 <그림 5.6.12> 변위연성도에 따른 콘크리트 전단강도 감소계수
  594
 <그림 5.6.13
> 교각의 단면강도 및 변위연성도 결정   595
 <그림 5.6.14> 교량의 받침지지길이(Nc)  601
 <그림 5.6.15> 정규화된 탄성지진 응답계수
  606
 <그림 5.6.16> 본선 BR-7(MP30~MP36구간) 내진해석 모델링
  607
 <그림 5.6.17> 본선 BR-7(MP30~MP36구간) 교량 교각 축방향 철근 검토(준공도면 참조
)  608
 <그림 5.6.18> 본선 BR-7(MP30~MP36구간) 교량 받침배치도
  608
 <그림 5.6.19> STBR-10(P42~P56-1,P1구간) 내진해석 모델링
  612
 <그림 5.6.20> SRBR-10(P42~P56-1,P1구간) 교량 교각 축방향 철근 검토(준공도면 참조
)  613
 <그림 5.6.21> STBR-10(P42~P56-1,P1구간) 교량 받침배치도
  613
 <그림 5.6.22> 도시개발공사구간(MP86~A1) 내진해석 모델링
  617
 <그림 5.6.23> 도시개발공사구간(MP86~A1) 교량 교각 축방향 철근 검토(준공도면 참조
)  618
 <그림 5.6.24> 도시개발공사구간(MP86~A1) 교량받침배치도
  618
그림 6 628
 <그림 6.1.1> 시설물의 종합평가 결과 산정절차
 628
그림 7 682
 <그림 7.4.1> 유지관리 유형에 따른 시설물의 공용기간
 682
 <그림 7.4.2> 안전관리 업무 흐름도 6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