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서울문화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창작공간의 전략

서울문화재단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단체저자명서울문화재단;
서명/저자사항서울문화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창작공간의 전략 /서울문화재단 [편].
발행사항서울:서울문화재단,2014
형태사항157 p. :삽화,표;26 cm
총서사항서울문화재단 연구;2013-03
입수처주기서울문화재단기증
비통제주제어서울문화생태계,활성화,창작공간,전략,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084719 S 600.1505 2015-1 v2013-3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084720 S 600.1505 2015-1 v2013-3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084719
청구기호
S 600.1505 2015-1 v2013-3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084720
청구기호
S 600.1505 2015-1 v2013-3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문화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창작공간의 전략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서울문화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창작공간의 전략

목차

표차례

그림 차례

I. 연구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0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1
3. 연구진 및 추진 일정 13

II. 한국에서의 창작공간 정책 도입 및 전개
1. 창작공간 지원 정책의 흐름과 쟁점 16
 1) 초창기 지원 정책의 성과와 한계 16
 2) 2000년대 이후 창작공간 지원 정책의 특성 18
2. 창작공간 지원 정책의 성과와 한계 23
 1) 창작활동 지원에 대한 인식 전환 및 확산 23
 2) 유휴공간 활용에 따른 도심 속 입지 24
 3) 정책 목표의 혼재와 현장의 요구 간 괴리 25
 4) 창작공간 용어 사용과 정의의 문제 26
3. 창작공간 지원 정책 이념의 변화와 쟁점 29
 1) 작업실 지원에 따른 창작 진흥의 다각화 29
 2) 창작공간 간 네트워킹 및 국제교류 29
 3) 지역사회와의 관계 형성 30
 4) 도시 재생 및 문화 브랜드 형성 30
 5) 거버넌스의 쟁점 31

III. 서울시 창작공간 정책의 성과 분석 및 쟁점
1. 서울시창작공간 정책 현황 및 여건 분석 36
 1) 정책 목표 36
 2) 운영 주체의 변화 37
 3) 단위 시설 현황 39
2. 정책목표 별 성과 분석 및 쟁점 41
 1) 창작진흥 42
 2) 지역사회의 참여 43
 3) 도시 재생 효과 44
3. 운영성과 분석 및 쟁점 45
 1) 조직운영 45
 2) 재정현황 51
 3) 참여작가 만족도 및 요구의견 FGI(초점그룹인터뷰) 54
 4) 기타 의견 및 쟁점정리 59
4. 성과 분석에 따른 한계와 문제점 62
 1) 정책 목표달성의 과부하 62
 2) 창작진흥의 단기적 성과 63
 3) 지역 사회와의 연계 및 한계 79
 4) 도시재생의 효과 측정 미흡 80
 5) 재단 고유사업으로서의 위상 및 정체성 미정립 81
 6) 시설관리운영의 어려움 82

IV. 창작공간의 새로운 비전과 전략
1. 해외 유사공간과의 비교 연구를 통한 쟁점 86
 1) 해외 사례 선정의 기준 및 비교방법론 86
 2) 민간주도 창작공간의 성격 및 운영 사례 86
 3) 공공기관 운영 창작공간의 성격 및 운영 사례 92
 4) 시사점 96
2. 서울시창작공간의 새로운 비전과 전략 96
 1) 기존 미션과 비전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해석 96
 2) 서울시창작공간의 기회요인과 위기요인 분석 99
 3) 비전 설정의 지향점 100
 4) 추진목표 및 실행전략 103

V. 문화예술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서울시창작공간의 실천 전략
1. 창작공간의 개념 및 역할 재정의 108
 1) 창작공간의 정의 108
 2) 재단 고유사업으로서의 성격 및 목표 111
2. 창작공간별 특성화 방안 120
 1) 창작공간별 특성화 구도 120
 2) 창작공간별 포지셔닝 및 성격 부여 121
 3) 창작공간별 특성화 대표프로그램(프로젝트) 방향 123
 4) 창작공간별 시설 최적화 방향 126
3. 조직 및 창작공간 통합관리 방안 127
 1) 기존 통합관리업무의 개선방향 127
 2) 서울시창작공간플랫폼 운영 방향 128
4. 창작 진흥의 다양한 접근 129
 1) 단기 작업실 지원 방식의 조정 129
 2) 인큐베이팅 사업 및 프로젝트 베이스 사업의 지원 130
 3) 국내외 교류 및 네트워킹 135
 4) 워크숍 및 교육 프로그램 지원 136
5. 지역사회 및 도시재생 효과 방안 137
 1) 서울시창작공간을 통한 지역 활성화의 원칙 137
 2) 지역주민 참여의 자율성 부과 140
 3) 예술의 사회적 영향 측정 모델 개발 142
6. 거버넌스를 통한 운영 모델 개발 143
 1) 자율 운영의 구도 143
7. 재정 효율화 방안 145
 1) 서울시창작공간 재원조성활동 경과(2009년 ~ 2013년) 145
 2) 재원조성 방향 146
 3) 재정운용 방안 147

VI. 결론 및 제언
1. 결론 150
2. 제언 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