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우리 마을 돌아보기 :마을공동체 심층 사례집 .2012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마을지원실 기획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단체저자명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마을지원실;
서명/저자사항우리 마을 돌아보기:마을공동체 심층 사례집.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마을지원실 기획.
발행사항서울: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2013
형태사항539 p. :삽화;26 cm
총서사항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제2013-01-009호
비통제주제어마을,마을공동체,사례집,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085547 S 331.4 2015-6 v2012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085548 S 331.4 2015-6 v2012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085547
청구기호
S 331.4 2015-6 v201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085548
청구기호
S 331.4 2015-6 v2012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우리 마을 돌아보기 :마을공동체 심층 사례집 .2012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우리 마을 돌아보기 마을공동체 심층 사례집 .2012

목차

'마을씨'들이 하나둘 움트고 싹을 낼 것입니다

i. 이웃과 만나는 곳, 우리동네 나무그늘:서울 마포구 <우리동네 나무그늘>
1. 새로운 지역공동체를 꿈꾸다. 생각하다 14
 진보정당의 오랜 고민-생활정치 활성화 14
 <성미산마을>을 배우다 15
 <마포 민중의 집>을 배우다 17
 새로운 주민공간의 방향을 정하다 19
 주민공간을 함께 만들기 위한 연대와 준비위원회 구성 21
2. 꿈을 공간에 담다_공간을 오픈하기 전까지 23
 공간을 구하다 23
 공간 구성 워크숍 25
 주민에게 묻다1-우리 뭘 할까요? 29
 뚝딱똑딱 우리 손으로 공사를 하다 30
 커피머신을 써? 말아? 32
 주머니 텃밭 분양 33
 주민에게 묻다2-이름을 지어주세요 34
 나무그늘 시사회-힘을 내요 우리 모두 37
 사업자등록, 그리고 운영위원회 38
3. "꿈은 이루어졌다." 그리고 시작된 현실 40
 드디어 개소식. 7월 2일 "영업개시일" 40
 꿈만 먹고 살기에 현실은 혹독 41
 지역주민이 나무그늘 활동가로 43
 '세움콘서트' 나무그늘을 세우다 44
 나무그늘 사용 설명서(공간구성별) 46
 가까운 곳에서 도움 주는 나무그늘의 프로그램 49
 나무그늘의 혹한기 52
 운영위원들의 역할에 대한 고민 53
 나무그늘에서 만난 사람들은 햇살 54
4. 새로운 돌파구, 마을 만들기 56
 출자자의 제안으로 시작한 주말농장 56
 지역 생협과 함께 한 마포 여행(여성행복)포럼 57
 "알아야 참여하지”-소통의 노력은 홍보로 보여줘야 58
 카페나 할까? 낭만적으로 접근하면 큰 코 다친다 59
 나무그늘 워크숍-1년 활동 돌아보기 60
 생활문화공동체 사업:취약계층 공동체 사업과 지역사업 시작 61
 마을미디어 사업에 신청하다-청소년 미디어교실 66
5. 함께 그리는 마을-소금꽃 마을축제를 열다 68
 먼저 손을 내밀면 반갑게 잡아주는 지역 공동체 68
 마을주민들이 직접 만드는 소금꽃 축제. 이름 공모 70
 나무그늘에서 친해진 엄마와 아이들 축제의 주인공이 되다 70
 지역공동체 만들기. 지자체와 공무원들의 협조가 아쉽다 71
 쏟아지는 비 속에도 공연장을 가득채운 주민들과 함께! 73
6. 나무그늘에 누워, 나무그늘을 돌아보다 75
 이웃을 만나는곳, 나무그늘 75
 주민에게 물으며 길을 찾다 75
 사람을 향한 공간 76
 약자의 힘이 되어야 하는데 76
 나무그늘은 가난하다 77
 마을만들기 우수 사례로 주목받다 78
 하지만 과제가 훨씬 더 많다 79
7. 더 큰 꿈을 꾸다 79
 지속기능한 대안공동체 79
 공공성, 사회성의 가치를 담은 생활정치공동체 81
8. 주민에게 묻다 4_나무그늘, 어떻게 생각하세요? 82
<별첨.1 초기 제안서 사례 두가지> 87
<별첨.2 나무그늘 1년 돌아보기 워크숍 상세내용> 90

ii. 유쾌한 십대가 유쾌한 마을을 만든다:서울시 강북구 <청소년문화공동체 품>
'십대와 마을' 이야기를 열며 97
1. 왜 십대와 마을인가 99
 1. 품이 이야기하는 십대와 마을 99
 2. 마을 속 십대 바라보기 102
 3. 십대의 눈으로 마을 바라보기 105
 4. 십대와 마을이 만나야 하는 이유 108
2. 십대와 마을 만들기 110
 1. 십대와 마을 만들기의 여정 110
  1) 그림으로 보는 십대와 마을 만들기 여정 110
 2. 성장과정으로 풀어보는 십대와 마을 만들기 112
 3. 십대와 마을 만들기의 주요 활동과 의미 130
  1) 스스로의 삶과 동네 문화를 만들어가는 십대기획자 키우기 십대문화기획아카데미 131
  2) 십대와 마을을 연결하는 공간 만들기 '청소년문화, 공간' 138
  3) 세대를 뛰어 넘는 신나는 문화경작 '동네문화프로젝트' 144
  4) 가르치고 배우며 서로 성장한다. '동반성장 프로젝트' 153
  5) 마을 소통과 교류의 장, '마을장터와 축제' 166
3. 십대와 마을 만들기의 성과와 과제 190
 1. 우리는 어떤 마을을 만들었을까? 190
 2. 무엇이 십대와 마을을 성장케 하는가? 196
 3. 우리가 꿈꾸는 마을은? 199
'십대와 마을' 이야기를 맺으며 204

iii. 그녀들의 풀뿌리 Herstory:풀뿌리여성센터 바람
여는 글 209
1. 그녀들의 이야기 210
 (1) 박신연숙, Her story-좋은세상을 만드는 사람들 210
 (2) 장이정수, Her story-초록상상 218
 (3) 동북여성민우회 생협, Her story-방학동에서 만난 그녀들 231
2. 그녀들의 마을살이 방법 240
 (1) 조급해 하지 않기 240
 (2) 프로젝트를 위한 프로젝트사업 하지 않기 241
 (3) 숫자와 결과로 평가하지 않기 243
 (4) 수다 떨기 243
 (5) 수평적인 관계형성 하기 244
 (6) 지역 내 관계망 만들기 245
3. 마을활동과 여성주의 247
 (1) 여성들의 삶을 이해한다는 것 247
 (2) 풀뿌리 여성들의 변화:삶의 중심에 서다 249
 (3) 마을과 여성주의, 아직 한참 목마르다 251
4. 마을활동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252
 (1) 신나게 즐길 것! 그 힘은 '믿음' 252
 (2) 욕구를 찾아, 시작은 미약하게~ 253
 (3) 끊임없이 도모하고, 변화를 갈망하며, 지역사회로 향하라! 253
마을조사자료-인터뷰 녹취록(정리본) 모음 254
 (1) 좋은세상을만드는사람들 박신연숙씨 인터뷰 녹취록 254
 (2) 초록상상 장이정수씨 인터뷰 녹취록 264
 (3) 동북여성민우회 생협 인터뷰 288

iv. 사람이 마을을 만들고 마을이 사람을 만든다:서울시 마포구 <마포희망나눔>
사람은 마을을 만들고, 마을은 사람을 키운다 348
1. 마을을 누비다 350
 (1) 마을의 빅뱅기 350
 (2) 지역조사사업을 하다 353
 (3) 마을에서 만난 소외된 이웃 355
2. 나눔 체계를 만들다 357
 (1) 건강지원 체계를 만들다 357
 (2) 지역복지 네트워크 마포희망나눔지원단 발족!! 360
 (3) 마포희망나눔 활동의 꽃! 동 결연모임이 자리 잡다 362
 (4) 단체의 해산과 슬럼프 364
 (5) 네트워크의 발전적 해체 366
3. 다시 마을에서 길을 찾다 367
 (1) 비전위원회 구성 367
 (2) 비전을 세우다:나눔과 복지권 두 개의 수레바퀴 370
 (3) 마포희망나눔의 사령탑 운영위원회 구성 371
 (4) 활동가의 재기 373
4. 나눔 문화를 온 마을로 374
 (1) 나눔 문화 확산을 위한 연구와 교육 374
 (2) 일상 속 나눔의 방법들 379
 (3) 희망의 나눔 멘토링 386
5. '복지권' 되찾기 393
 (1)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상담 393
 (2) 마포구 예산  분석 395
 (3) 방과 후 돌봄 문제 해결에 나서다 397
 (4) 지역이동센터 지원 조례 만들다 399
 (5) 거버넌스 조직 참여와 방과후돌봄 설문조사 400
 (6) 보편적 방과후 돌봄 체계 구축에 나서다 403
 (7) 구의원 한명이 만든 변화 406
6. 지역과 함께한 일들:네트워크 구축 사례 407
 (1) 부모교육 네트워크 408
 (2) 마포복지네트워크 앗싸(ASSA) 지역청소년들과 함께 꿈을 꾸다 410
 (3) 마포구 어린이, 청소년 돌봄기관 협의체를 구축하다 415
7. 마포희망나눔이 만든 나눔의 마을 418
 (1) 마을, 사람을 살리다 418
 (2) 나눔활동의 모범사례가 되다 420
8. 남아있는 과제 421
 (1) 주민주체성을 지키는 첫걸음인 재정독립 421
 (2) 재정마련을 위해 해본 것들 422
 (3) 주민참여를 이끌어내고 지속시키는 것의 어려움 429
별첨 432
 별첨문서와 자료/설문조사 설문지/마포희망나눔이 걸어온길. 연혁 432

v. 행복한 일상, 마을에서 꿈꾸다:서울시 강북구 <삼각산 재미난 마을>
프롤로그-마을답다 481
1. 왜 마을인가? 485
 (1) 마을의 힘 485
2. 일상 속 마을 스며들기 489
 (1) 마을과 일상 489
 (2) 일상적 관계맺음의 공간-마을문화사랑방 재미난카페 490
 (3) 마을공동작업장을 꿈꾸는 마을목수공작단 494
 (4) 배움터로 시작된 마을의 일상 499
3. 마을 '주인'들의 이야기 513
 (1) 함께 살아야 마을이다.-즐거움과 고단함 513
 (2) 나는 재미난 마을 사람이다 518
 (3) 일로 시작하는 마을살이 521
 (4) 마을에서 꿈꾸다 525
 (5) 마을, 그 진동:마을 활동을 지켜보며 528
 (6) 고니의 마을살이 531
 (7) 나를 위한 힐링타임-유산소(유쾌한산행소모임) 534
 (8) 소박한 이웃이 있어 좋다 536
에필로그-마을에 사니 참 좋다 5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