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망원5교외 1개소 정밀점검 용역 :보고서 .[1-2] ,잠두봉지하차도

서울특별시 시설관리공단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기술용역보고서
단체저자명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서명/저자사항망원5교외 1개소 정밀점검 용역:보고서.서울특별시 시설관리공단 [편].
발행사항서울:서울특별시 시설관리공단,2015
형태사항1책 (일부접지):삽화,표;30 cm
비통제주제어잠두봉지하차도,정밀점검,보고서,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087753 S 536.8 2016-4 v1-2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2 SG0000087752 S 536.8 2016-4 v1-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087753
청구기호
S 536.8 2016-4 v1-2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087752
청구기호
S 536.8 2016-4 v1-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망원5교외 1개소 정밀점검 용역 :보고서 .[1-2] ,잠두봉지하차도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망원5교외 1개소 정밀점검용역 보고서[잠두봉지하차도]

목차

제 1 장 개요
1.1 과업의 목적 61
1.2 시설물의 개요 61
1.3 과업의 범위 65
1.4 과업의 내용 65
1.5 사용장비 및 시험기기 현황 67
1.6 과업 수행일정 68

제 2 장 자료수집 및 분석
2.1 자료수집 73
2.2 자료분석 74
2.3 보수 · 보강 이력 81
2.4 내진성능평가 81
2.5 상부 현황 조사 83
2.6 분석결과에 따른 중점점검 사항 84

제 3 장 현장조사 및 시험
3.1 개요 87
3.2 외관조사 결과 90
3.3 재료시험 117

제 4 장 상태평가
4.1 개요 139
4.2 상태평가 항목 및 기준 139
4.3 상태평가 절차 141
4.4 상태평가 결과 146

제 5 장 종합평가 및 안전등급
5.1 개요 157
5.2 안전등급 지정 159

제 6 장 보수·보강 및 유지관리방안
6.1 개요 163
6.2 보수 · 보강 방안 164
6.3 보수 · 보강 공법 170
6.4 보수 · 보강 개략공사비 181
6.5 유지관리방안 183
6.6 반복적인 손상에 대한 대책(연구과제) 191

제 7 장 종합결론
7.1 종합결론 199

부록
I. 과업내용서 205
II. 외관조사망도 223
III. 측정, 시험성과표 329
IV. 상태평가 결과자료 349
V. 시설물관리대장 사본 357
VI. 현장조사 및 외관조사 사진첩 383
VII. 사용장비 및 기기의 사진 425
VIII. 사전조사 자료 일체 429
IX. 자문위원 조치결과 463

표목차

<표 1.2.1> 잠두봉지하차도 시설물 개요

<표 2.1.1> 자료수집 현황

<표 2.4.1> 내진성능평가 결과

<표 2.4.1> 내진성능평가 결과(계속)

<표 3.1.1> BOX 구간 주요 조사 항목

<표 3.1.2> U-TYPE 옹벽 구간 주요 조사 항목

<표 3.2.1> BOX 슬래브 손상 집계 현황

<표 3.2.2> BOX 벽체 손상 집계 현황

<표 3.2.3> BOX 기둥부 손상 집계 현황

<표 3.2.4> 옹벽 구간 손상 집계 현황

<표 3.2.5> 포장부 손상 집계 현황

<표 3.2.6> BOX 구간 외관조사 결과

<표 3.2.7> U-TYPE 옹벽 구간 외관조사 결과

<표 3.2.8> 포장부 외관조사 결과

<표 3.3.1> 재료시험 내용

<표 3.3.2> 재료시험 기준 및 실시수량

<표 3.3.3> 반발경도 시험 결과

<표 3.3.4> 탄산화 시험 결과

<표 3.3.5> 기 점검 결과와 비교 · 분석

<표 4.2.1> 상태평가 주요 평가 항목

<표 4.2.2> 터널의 기본시설물과 부대시설물의 종류

<표 4.3.1> 지하차도(철근콘크리트 구조물) 결함점수 및 결함지수 산정기준

<표 4.3.2> 부대시설의 가중치

<표 4.3.3> 부대시설(콘크리트 옹벽) 결함점수 및 결함지수 산정기준

<표 4.3.4> 터널 상태평가 항목별 세부기준

<표 4.4.1> BOX 구간 상태평가 결함지수 산정 결과표

<표 4.4.2> 본선 BOX 상태평가 결함등급 산정 결과표

<표 4.4.3> BOX 구간 주변상태 결함점수 산정 결과표

<표 4.4.4> 기존 정밀점검과의 상태평가 결과 비교

<표 6.1.1> 시설물의 보수 · 보강방안 수립에 따른 검토사항

<표 6.2.1> 보수 · 보강 우선순위

<표 6.2.2> 부재별 보수 · 보강 우선순위

<표 6.2.3> 보수 · 보강 일람표

<표 6.2.3> 보수 · 보강 일람표(계속)

<표 6.3.1> 수지주입공법의 종류

<표 6.3.2> 균열폭에 알맞은 수지의 점도

<표 6.3.3> 균열폭에 따른 주입파이프/패커의 간격

<표 6.3.4> 에폭시계 수지의 규격

<표 6.3.5> 주입공법 공법비교안

<표 6.3.6> 일반적인 단면 보수재의 분류

<표 6.3.7> 일반적인 단면 보수공법의 분류

<표 6.4.1> 보수 · 보강 개략공사비

<표 6.4.1> 보수 · 보강 개략공사비 (계속)

<표 6.5.1> 중점점검항목

<표 6.5.2> 중점 유지관리 방안

<표 6.5.2> 중점 유지관리 방안(계속)

그림목차

<그림 1.2.1> BOX 구간(평면도)

<그림 1.2.2> BOX 구간 (종단면도)

<그림 1.2.3> U-TYPE 옹벽 구간(평면도 및 종단면도)

<그림 1.6.1> 과업수행 흐름도

<그림 3.2.1> BOX 슬래브 손상집계 현황

<그림 3.2.2> 신축이음부 주변 파손 원인분석도

<그림 3.2.3> 신축이음부 누수 원인분석도

<그림 3.2.4> BOX 벽체 손상집계 현황

<그림 3.2.5> BOX 기둥부 손상집계 현황

<그림 3.2.6> 옹벽구간 손상집계 현황

<그림 3.2.7> 포장부 손상집계 현황

<그림 3.2.8> 기점검 결과와 비교 그래프(BOX 구간)

<그림 3.2.9> 기점검 결과와 비교 그래프(옹벽 구간)

<그림 3.2.10> 기점검 결과와 비교 그래프 (포장부)

<그림 3.3.1> 재료시험 위치도

<그림 3.3.2> BOX 구간 반발경도 시험 결과

<그림 3.3.3> U-TYPE 옹벽 구간 반발경도 시험 결과

<그림 3.3.4> BOX 구간 탄산화 시험 결과

<그림 3.3.5> U-TYPE 옹벽 구간 탄산화 시험 결과

<그림 3.3.6> 재료시험 기 점검 결과 비교 · 분석

<그림 4.3.1> 지하차도 상태평가 등급 산정과정

<그림 5.3.1 > 종합평가 결과의 산정 흐름도(지하차도)

<그림 5.3.2 > 종합평가 결과의 산정 흐름도(옹벽)

<그림 6.1.1> 공법선정시 고려사항

<그림 6.2.1> 보수 · 보강 범위의 결정

<그림 6.2.2> 보수재료 선정 흐름도

<그림 6.3.1> 콘크리트 표면처리 시공순서도

<그림 6.3.2> 균열 보수공법 개요도

<그림 6.3.3> 단면보수 상세도

<그림 6.3.4> 슬래브 신축이음부 손상원인 분석

<그림 6.3.5> 드레인바 단면

<그림 6.5.1> 유지관리 점검 동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