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두모교 정밀점검 용역 :종합보고서 .[2]

서울시설공단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기술용역보고서
단체저자명서울시설공단;
서명/저자사항두모교 정밀점검 용역:종합보고서.서울시설공단 [편].
발행사항서울:서울시설공단 ,2015
형태사항572 p. :삽화,표;30 cm
일반주기 임의권차부여
비통제주제어두모교,정밀점검,종합보고서,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087803 S 536.8 2014-28 v2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2 SG0000087802 S 536.8 2014-28 v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087803
청구기호
S 536.8 2014-28 v2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087802
청구기호
S 536.8 2014-28 v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두모교 정밀점검 용역 :종합보고서 .[2]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두모교 정밀점검 용역 종합보고서

제목목차

제 1 장 과업의 개요
1.1 과업의 목적 81
1.2 과업의 범위 및 내용 81
 1.2.1 과업의 범위 81
 1.2.2 과업의 내용 82
 1.2.3 과업의 기간 82
1.3 과업의 수행일정 83
 1.3.1 과업 수행 절차 83
 1.3.2 공정표 84
1.4 대상시설물의 현황 85
 1.4.1 대상시설물 위치 85
 1.4.2 대상시설물 현황 85
 1.4.3 대상시설물 위치도 및 전경 86
 1.4.4 관련 도면 89
1.5 사용장비 및 기기 현황 101
 1.5.1 장비 및 기기 현황 101
 1.5.2 검교정 현황 102
1.6 교량의 기호 103
 1.6.1 교량기호의 정의 103
 1.6.2 교량 용어의 정의 105

제 2 장 자료의 수집 및 분석, 평가
2.1 개요 109
2.2 자료수집 목록 110
2.3 설계 및 준공도서 검토 111
 2.3.1 설계기준강도 111
 2.3.2 수감사례 (교량상판설계 및 시공관리 부적정) 111
 2.3.3 시공 현황 114
2.4 점검 및 진단 이력 117
 2.4.1 이력 117
 2.4.2 주요 점검 및 진단결과 요약 123
2.5 보수 및 보강 이력 133
 2.5.1 이력 133
 2.5.2 2012년 보수 상태 확인 134
 2.5.3 2013년 보수 상태 확인 134
 2.5.4 2014년 보수 상태 확인 136
2.6 내진설계 및 보강 여부 138
 2.6.1 내진성능평가 및 실시설계(2011) 138
 2.6.2 내진보강 개요(2014) 143
 2.6.3 감리보고서 144
2.7 교량하부 점유상태 154
2.8 계측자료 156
 2.8.1 두모교 원격계측시스템 유지관리(2001) 156
 2.8.2 두모교 1개소 정밀점검 및 계측관리(2005) 159
2.9 자료분석 및 평가 163
 2.9.1 자료분석 결과 163
 2.9.2 자료분석을 통한 중점 점검 사항 164

제 3 장 외관조사
3.1 개요 173
 3.1.1 외관조사 방법 175
 3.1.2 부재별, 손상별 발생원인 및 조사방향 179
 3.1.3 현장조사시 안전관리 189
3.2 본선-RC라멘 191
 3.2.1 교면포장 191
 3.2.2 방호벽, 연석 195
 3.2.3 배수시설 197
 3.2.4 신축이음 198
 3.2.5 슬래브 거더 - 바닥판 203
 3.2.6 받침 211
 3.2.7 교대, 교각 215
3.3 본선-PSC박스(PSM) 221
 3.3.1 교면포장 221
 3.3.2 방호벽, 연석 226
 3.3.3 배수시설 229
 3.2.4 신축이음 232
 3.2.5 거더 외부 248
 3.3.6 거더 내부 253
 3.3.7 받침 265
 3.3.8 교대, 교각 300
3.4 본선-PSC박스(FSM) 308
 3.4.1 교면포장 308
 3.4.2 방호벽, 연석 311
 3.4.3 배수시설 312
 3.2.4 신축이음 313
 3.4.5 거더 외부 320
 3.2.6 거더 내부 324
 3.4.7 받침 330
 3.4.8 교대, 교각 340
3.5 A-램프 344
 3.5.1 교면포장 344
 3.5.2 방호울타리, 연석 345
 3.5.3 배수시설 347
 3.2.4 신축이음 348
 3.5.5 바닥판 352
 3.5.6 거더 354
 3.5.7 받침 358
 3.5.8 교대, 교각 363
3.6 B-램프 365
 3.6.1 교면포장 365
 3.6.2 방호울타리, 연석 366
 3.6.3 배수시설 368
 3.2.4 신축이음 369
 3.6.5 바닥판 372
 3.6.6 거더 375
 3.6.7 받침 380
 3.6.8 교대, 교각 384
3.7 동부간선램프 388
 3.7.1 교면포장 388
 3.7.2 방호벽, 연석 389
 3.7.3 배수시설 390
 3.7.4 신축이음 392
 3.7.5 거더 외부 398
 3.7.6 거더 내부 401
 3.7.7 받침 404
 3.7.8 교대, 교각 412
3.8 부속시설 415
3.9 전차 용역과의 비교 417
 3.9.1 균열 417
 3.9.2 격벽 421
 3.9.3 단면손상 및 철근노출 425
 3.9.4 누수/백태 및 표면열화 427
 3.9.5 도장불량 및 부식 430

제 4 장 내구성조사
4.1 개요 435
 4.1.1 개요 435
 4.1.2 내구성조사 435
4.2 콘크리트 내구성조사 445
 4.2.1 콘크리트 강도시험 445
 4.2.2 철근배근 상태조사 457
 4.2.3 탄산화 시험 459
 4.2.4 염화물 함유량 시험(선택과업) 467
 4.2.5 균열갚이 측정 470
4.3 강재 내구성조사 472
 4.3.1 강재두께 측정 472
 4.3.2 도막두께 측정 473

제 5 장 구조검토
5.1 방호벽 개량에 따른 구조검토 481
 5.1.1 개요 481
 5.1.2 종방향 구조검토(7경간 연속, PSM) 481
 5.1.3 횡방향 구조검토(7경간 연속, PSM) 492
 5.1.4 소결 500
5.2 동부간선램프 받침 검토 501
 5.2.1 개요 501
 5.2.2 받침 교체에 따른 반력 영향 검토 503
 5.2.3 대안 제시 505

제 6 장 상태평가 및 안전등급
6.1 개요 511
 6.1.1 상태평가 결과 산정 방법 511
 6.1.2 경간(지점)별 부재 상태평가 산정 511
 6.1.3 전체 시설물의 상태평가 결과 결정 511
 6.1.4 종합평가 519
 6.1.5 안전등급 521
6.2 상태평가 522
 6.2.1 본선 523
 6.2.2 램프 528
 6.2.3 두모교 전체의 상태평가 529
 6.2.4 전차 용역과의 비교 530
6.3 종합평가 및 안전등급 532
 6.3.1 종합평가 532
 6.3.2 안전등급 532

제 7 장 보수·보강 및 유지관리
7.1 개요 535
 7.1.1 일반사항 535
 7.1.2 보수·보강 필요성 537
 7.1.3 보수·보강 우선순위 결정 549
7.2 보수·보강 일람표 및 개략공사비 551
 7.2.1 구조형식별 개략공사비 551
 7.2.2 우선순위별 개략공사비 559
7.3 주요 보수·보강 방안 560
 7.3.1 강재 도장보수 560
 7.3.2 단면복구(철근노출 및 단면결손부 보수공법) 563
 7.3.3 균열보수 567
 7.3.4 백태보수 - 면보수 576
 7.3.5 신축이음 물받이 보수 및 교체 577
 7.3.6 신축이음 하부 거더 Drain Hole, 스캘럽/슬롯 메공 580
 7.3.7 방호벽 단면 복구 581
 7.3.8 교면 포장보수 584
 7.3.9 탄성받침 고무패드 미끄러짐 보수 587
 7.3.10 램프 A, B의 볼트 재체결 590
 7.3.11 신축이음 단차 및 받침 디스크 침하에 대한 조치방안 592
7.4 유지관리 방안 606
 7.4.1 개요 606
 7.4.2 예방적 유지관리 607
 7.4.3 응급조치 610
 7.4.4 중점 유지관리 사항 613

제8장 종합결론
8.1 외관조사 결과 633
8.2 내구성조사 결과 646
8.3 상태평가 및 안전등급 648
8.4 결언 648

표목차

<표 3.1.1> 외관조사 방향 설정 및 현장조사 현황

<표 3.1.2> 외관조사 기간 및 수행자

<표 3.1.3> 구조형식에 따른 부재별 가중치(세부지침-교랑)

<표 3.2.1> 교면포장 손상내용(RC라멘 구간)

<표 3.2.2> 방호벽 손상내용(RC라멘 구간)

<표 3.2.3> 배수시설 손상내용(RC라멘 구간)

<표 3.2.4> 신축이음 손상내용(RC라멘 구간)

<표 3.2.5> 신축이음 유간 측정결과(RC 라멘구간)

<표 3.2.6> 바닥판 손상내용(RC라멘 구간)

<표 3.2.7> 받침 손상내용(RC라멘 구간)

<표 3.2.8> 교대, 교각 손상내용(RC라멘 구간)

<표 3.3.1> 교면포장 손상내용 - 본선 PSC박스(PSM)

<표 3.3.2> 방호벽 손상내용 - 본선 PSC박스(PSM)

<표 3.3.3> 배수시설 손상내용 - 본선 PSC박스(PSM)

<표 3.3.4> 신축이음 손상내용 - 본선 PSC박스(PSM)

<표 3.3.5> 신축이음 유간 측정결과(상행선, 2015.5.13)

<표 3.3.6> 신축이음 유간 측정결과(상행선, 2015.6.02)

<표 3.3.7> 신축이음 유간 측정결과(상행선, 2015.7.13)

<표 3.3.8> 신축이음 유간 측정결과(상행선, 2015.11.30)

<표 3.3.9> 신축이음 유간 측정결과(하행선, 2015.5.13)

<표 3.3.10> 신축이음 유간 측정결과(하행선, 2015.7.13)

<표 3.3.11> 신축이음 유간 측정결과(하행선, 2015.11.30)

<표 3.3.12> 신축이음 단차 계측 - 본선 PSC박스(PSM)

<표 3.3.13> 박스 외부 손상내용 - 본선 PSC박스(PSM)

<표 3.3.14> 박스 내부 손상내용 - 본선 PSC박스(PSM)

<표 3.3.15> 받침장치 손상내용 - 본선 PSC박스(PSM)

<표 3.3.16> 받침 연단거리 측정결과 - 본선 PSC박스(PSM)

<표 3.3.17> 받침 여유량 검토 - 본선 PSC박스(PSM, 2015.5.14~21)

<표 3.3.18> 받침 여유량 검토 - 본선 PSC박스(PSM, 2015.12.1~3, 12.9)

<표 3.3.19> 받침 디스크 높이 및 침하량 - 본선 PSC박스(PSM, FSM) [단위: mm]

<표 3.3.20> 하부구조 손상내용 - 본선 PSC박스(PSM)

<표 3.4.1> 교면포장 손상내용 - 본선 PSC박스(FSM)

<표 3.4.2> 방호벽 손상내용 - 본선 PSC박스(PSM)

<표 3.4.3> 배수시설 손상내용 - 본선 PSC박스(PSM)

<표 3.4.4> 신축이음 손상내용 - 본선 PSC박스(FSM)

<표 3.4.5> 신축이음 유간 측정결과(상행, 2015.5.13)

<표 3.4.6> 신축이음 유간 측정결과(상행, 2015.6.02)

<표 3.4.7> 신축이음 유간 측정결과(상행, 2015.7.13)

<표 3.4.8> 신축이음 유간 측정결과(상행, 2015.11.30)

<표 3.4.9> 신축이음 유간 측정결과(하행, 2015.5.13)

<표 3.4.10> 신축이음 유간 측정결과(하행, 2015.7.13)

<표 3.4.11> 신축이음 유간 측정결과(하행, 2015.11.30)

<표 3.4.12> 신축이음 단차 계측 - 본선 PSC박스(FSM)

<표 3.4.12> 박스 외부 손상내용 - 본선 PSC박스(FSM)

<표 3.4.13> 박스 내부 손상내용 - 본선 PSC박스(FSM)

<표 3.4.14> 받침장치 손상내용 - 본선 PSC박스(PSM)

<표 3.4.15> 받침연단거리 측정결과 - 본선 PSC박스(FSM)

<표 3.4.16> 받침 여유량 검토 - 본선 PSC박스(FSM, 2015.5)

<표 3.4.17> 받침 여유량 검토 - 본선 PSC박스(FSM, 2015.12)

<표 3.4.18> 하부구조 손상내용 - 본선 PSC박스(FSM)

<표 3.5.1> 교면포장 손상내용 - A램프

<표 3.5.2> 방호울타리 및 연석 손상내용 - A램프

<표 3.5.3> 배수시설 손상내용 - A램프

<표 3.5.4> 신축이음 손상내용 - A램프

<표 3.5.5> 신축이음 유간 측정결과(2015.5.27)

<표 3.5.6> 신축이음 유간 측정결과(2015.11.30)

<표 3.5.7> 바닥판 손상내용- A램프

<표 3.5.8> 박스 내부 손상내용 - A램프

<표 3.5.9> 박스 외부 손상내용 - A램프

<표 3.5.10> 받침장치 손상내용 - A램프

<표 3.5.11> 받침연단거리 측정결과 - A램프

<표 3.5.12> 받침 여유량 검토 - A램프

<표 3.5.13> 하부구조 손상내용 - B램프

<표 3.6.1> 교면포장 손상내용 - B램프

<표 3.6.2> 방호울타리 및 연석 손상내용 - B램프

<표 3.6.3> 배수시설 손상내용 - B램프

<표 3.6.4> 신축이음 손상내용 - B램프

<표 3.6.5> 신축이음 유간 측정결과(2015.5.26)

<표 3.6.6> 신축이음 유간 측정결과(2015.11.30)

<표 3.6.7> 바닥판 손상내용 - B램프

<표 3.6.8> 박스 내부 손상내용 - B램프

<표 3.6.9> 받침장치 손상내용 - B램프

<표 3.6.10> 받침연단거리 측정결과 - B램프

<표 3.6.11> 받침 여유량 검토 - B램프

<표 3.6.12> 하부구조 손상내용 - B램프

<표 3.7.1> 교면포장 손상내용 - 동부간선램프

<표 3.7.2> 방호벽 손상내용 - 동부간선램프

<표 3.7.3> 배수시설 손상내용 - 동부간선램프

<표 3.7.4> 신축이음 손상내용 - 동부간선램프

<표 3.7.5> 신축이음 유간 측정결과(동부간선램프, 2015.6.2)

<표 3.7.6> 신축이음 유간 측정결과(동부간선램프, 2015.11.30)

<표 3.7.7> 박스 외부 손상내용 - 동부간선램프

<표 3.7.8> 박스 내부 손상내용 - 동부간선램프

<표 3. 7.8> 받침장치 손상내용 - 동부간선램프

<표 3.7.9> 받침연단거리 측정결과 - 동부간선램프

<표 3.7.10> 받침 여유량 검토 - 동부간선램프

<표 3.7.11> 하부구조 손상내용 - 동부간선램프

<표 3.9.1> 균열에 대한 물량 비교(상부구조)

<표 3.9.2> 균열에 대한 물량 비교(하부구조)

<표 3.9.3> 단면손상에 대한 물량 비교(상부구조)

<표 3.9.4> 단면손상에 대한 물량 비교(하부구조)

<표 3.9.5> 누수 및 백태에 대한 물량 비교(상부구조)

<표 3.9.6> 도장불량 및 부식에 대한 물량 비교(램프A, B)

<표 4.1.1> 콘크리트 시험 및 측정 조사 내용

<표 4.1.2> 콘크리트 시험 측정 기준 및 실시 수량

<표 4.1.3> 철근콘크리트 재료 시험별 적용 기준 및 근거

<표 4.1.4> 강재 재료시험 및 측정 조사 내용

<표 4.1.5> 강재 재료시험 측정 기준 및 실시 수량

<표 4.1.6> 강재 재료시험별 적용 기준 및 근거

<표 4.2.1> 반발경도 보정치

<표 4.2.2> 재령에 의한 반발경도의 보정계수

<표 4.2.3> 콘크리트 압축강도 제안식

<표 4.2.4> 반발경도법의 평가근거 및 내용

<표 4.2.5> 균질성 평가기준

<표 4.2.6> 본선 상행 라멘구간 상부구조 비파괴강도

<표 4.2.7> 본선 상행 PSC박스구간 상부구조 비파괴강도

<표 4.2.8> 본선 하행 상부구조 비파괴강도

<표 4.2.9> 본선 상행 하부구조 비파괴강도

<표 4.2.10> 본선 하행 하부구조 비파괴강도

<표 4.2.11> 램프A 상부구조 비파괴강도

<표 4.2.12> 램프A 하부구조 비파괴강도

<표 4.2.13> 램프B 상부구조 비파괴강도

<표 4.2.14> 램프B 하부구조 비파괴강도

<표 4.2.15> 동부간선램프 상부구조 비파괴강도

<표 4.2.16> 동부간선램프 하부구조 비파괴강도

<표 4.2.17> 콘크리트 구조설계 기준(2010)의 최소 피복두께 및 허용오차

<표 4.2.18> 페놀프탈레인 분무 시기와 측정 시기

<표 4.2.19> 탄산화 상태평가 기준

<표 4.2.20> 탄산화 시험결과

<표 4.2.21> 염화물 상태평가 기준

<표 4.2.22> 철근부식방지를 위한 최대 수용성 염소이온 비율

<표 4.2.23> 염화물 시험결과

<표 4.2.24> 균열깊이 측정결과

<표 4.3.1> 강판 및 강대의 두께 허용오차 기준(KS D3500)

<표 4.3.2> 강재두께 측정 결과

<표 4.3.3> 도장막의 현상과 원인 손상

<표 4.3.4> 일반환경용 중방식도장 도막두께 기준(도로교표준시방서, p294, 2005)

<표 4.3.5> 도막두께 측정 결과

<표 6.1.1> 결함도 점수에 따른 기준

<표 6.1.2> 시설물의 종합평가등급 기준

<표 6.1.3> 안전등급 기준

<표 6.2.1> 결함도지수 비교

<표 6.2.2> 상태등급 상향 대책

<표 7.1.1> 내구성 허용균열폭

<표 7.1.2> 내하력 보강 여부 판정 기준

<표 7.1.3> 탄산화에 따른 보수여부 기준

<표 7.1.4> 염화물량에 따른 염해 가능성

<표 7.1.5> 사용성(대인 안전성)에 따른 보수 여부 판정 기준

<표 7.2.1> 본선-라멘구간 보수보강 방안

<표 7.2.2> 본선-PSM구간 보수보강 방안

<표 7.2.3> 본선-FSM구간 보수보강 방안

<표 7.2.4> 램프A 보수보강 방안

<표 7.2.5> 램프B 보수보강 방안

<표 7.2.6> 동부간선램프 보수보강 방안

<표 7.2.7> 1순위 개략공사비

<표 7.2.8> 2순위 개략공사비

<표 7.2.9> 3순위 개략공사비

<표 7.2.10> 장기 개략공사비: 교면 재포장, 방호벽 단면복구, 라멘구간 전면 면보수

<표 7.3.1> 강재 부식부의 일반적인 도장보수 방법

<표 7.3.2> 일반 중방식도장(염화고무 마감)의 부분 보수도장

<표 7.3.3> 콘크리트 보수재료의 물리적 성능

<표 7.3.4> 폴리머 모르타르 계열 단면복구 공법의 비교

<표 7.3.5> 콘크리트 균열의 보수공법 적정성 비교

<표 7.3.6> 균열보수재료의 종류와 보수공법

<표 7.3.7> 표면처리 보수재의 비교

<표 7.3.8> 균열폭의 크기에 적합한 수지의 점성

<표 7.3.9> 균열에 따른 주입공법의 분류

<표 7.3.10> 주입재의 종류

그림목차

<그림 1.4.1 종명면도(1)>

<그림 1.4.2 종명면도(2)>

<그림 1.4.3 종명면도(3)>

<그림 1.4.4 종명면도(4)>

<그림 1.6.1 두모교 ID>

<그림 3.1.1> 구간별 현장조사 방법

<그림 3.1.2> 안전관리조직

<그림 3.2.1> 라멘구간

<그림 3.2.2> 포장균열 발생 원인

<그림 3.2.3> 교면포장 포트홀의 원인

<그림 3.2.4> 방호벽 제원

<그림 3.2.5> 방호벽 보수 방안

<그림 3.2.6> 신축이음장치 유간측정 방법

<그림 3.2.7> 받침 배치도(RC라멘구간)

<그림 3.2.8> 탄성받침 고무패드 미끄러짐 원인

<그림 3.2.9> 탄성받침 고무재 미끄러짐 보수방안

<그림 3.2.10> 연단거리 측정

<그림 3.3.1> 본선-PSC박스(PSM) 구간

<그림 3.3.2> 교면 포장보수 현황 - 본선 PSC박스(PSM) 구간

<그림 3.3.3> 교면 손상 상태 - 본선 PSC박스(PSM) 구간

<그림 3.3.4> 방호벽 보수 현황 - 본선 PSC박스(PSM) 구간

<그림 3.3.5> 신축이음 현황 - 본선 PSC박스(PSM) 구간

<그림 3.3.6> 신축이음 누수 현황 및 조치방안 - 본선 PSC박스(PSM) 구간

<그림 3.3.7> 거더 외부 백태 및 표면열화/교면손상 현황 - 본선 PSC박스(PSM)

<그림 3.3.8> 거더 내부 백태 및 표면열화/교면손상 현황 - 본선 PSC박스(PSM)

<그림 3.3.9> 거더 내부 체수 현황 - 본선 PSC박스(PSM)

<그림 3.3.10> PSC 박스구간 Deviation Block 응력방향

<그림 3.3.11> 거더 내부 Deviation Block 균열 발생 구간 - 본선 PSC박스(PSM)

<그림 3.3.12> 내진보강 받침의 현황

<그림 3.3.13> EQS 받침의 개요

<그림 3.3.14> 받침 가동상태 점검 필요 위치 - 본선 PSC박스(PSM)

<그림 3.4.1> 본선-PSC박스(FSM) 구간

<그림 3.4.2> 교면 손상 상태 - 본선 PSC박스(FSM) 구간

<그림 3.4.3> 신축이음 현황 - 본선 PSC박스(FSM) 구간

<그림 3.4.4> 백태/누수흔적 - 본선 PSC박스(FSM) 구간

<그림 3.4.5> 벽체 사균열 - 본선 PSC박스(FSM) 구간

<그림 3.4.6> 받침의 현황

<그림 3.5.1> A-램프 구간

<그림 3.5.2> 신축이음 현황 - A램프

<그림 3.5.3> 받침의 현황

<그림 3.6.1> B-램프 구간

<그림 3.6.2> 신축이음 현황 - B램프

<그림 3.6.3> 받침의 현황

<그림 3.7.1> 동부간선램프

<그림 3.7.2> 신축이음 현황 - 동부간선램프

<그림 3.7.3> 받침의 현황

<그림 4.1.1> 콘크리트 재료시험

<그림 4.1.2> 강재 재료시험

<그림 4.2.1> 반발경도법에 의한 압축강도 추정 흐름도

<그림 4.2.2> 압축응력에 따른 반발경도의 보정곡선

<그림 4.2.3> 본선 상행 상부구조 비파괴강도

<그림 4.2.4> 본선 하행 상부구조 비파괴강도

<그림 4.2.5> 본선 상행 하부구조 비파괴강도

<그림 4.2.6> 본선 하행 하부구조 비파괴강도

<그림 4.2.7> 전자레이더 방식 원리

<그림 4.2.8> 탄산화에 의한 철근부식 메커니즘

<그림 4.2.9> 콘크리트 내부에서의 철근부식의 개념

<그림 4.2.10> 탄산화깊이 측정결과

<그림 4.2.11> 염화물 함유량 시험방법

<그림 4.2.12> Tc-To법

<그림 4.3.1> 강재두께 측정 개요도

<그림 4.3.2> 도막두께 측정방법

<그림 5.1.1> 해석구간 거더 표준 횡단면도

<그림 5.1.2> 모델링

<그림 5.1.3> 강선 배치도(P15~P16)부분

<그림 5.1.4> 횡방향 모델링/Tendon 배치

<그림 6.1.1> 상태평가등급 산정과정의 예

<그림 6.1.2> 교량의 종합평가등급 산정절차

<그림 6.2.1> 결함도 점수 비교

<그림 7.1.1> 보수·보강 업무 흐름도

<그림 7.1.2> 보수시기의 결정

<그림 7.1.3> 휨균열폭과 철근응력과의 관계

<그림 7.1.4> 철근의 부식을 유발시키는 균열폭

<그림 7.1.5> 균열폭과 누수량과의 관계

<그림 7.1.6> 탄산화(중성화)에 의한 부재내력 저하 메커니즘

<그림 7.3.1> 단면복구공법(I) (단면결손부) 시공방법

<그림 7.3.2> 단면복구공법(II) (철근노출부 방청포함) 시공방법

<그림 7.3.3> 표면처리공법

<그림 7.3.4> 표면처리공법 시공 순서도

<그림 7.3.5> 일반적인 주입공법

<그림 7.3.6> 균열주입공법의 올바른 시공

<그림 7.3.7> 철근이 부식하지 않는 경우의 충전공법 및 시공흐름

<그림 7.3.8> 철근이 부식된 경우의 충전공법

<그림 7.3.9> 철근이 부식된 경우의 충전공법의 흐름도

<그림 7.3.10> 백태보수(면보수) 시공흐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