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염창IC교외 6개소 정밀점검용역 보고서 .[3] ,염창IC교

서울특별시 시설관리공단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기술용역보고서
단체저자명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도로시설처;
서명/저자사항염창IC교외 6개소 정밀점검용역 보고서.서울특별시 시설관리공단 [편].
발행사항서울:서울특별시 시설관리공단,2016
형태사항1 v.:표,설계도,사진;29 cm
일반주기 임의권차부여
비통제주제어염창IC교,정밀점검용역 보고서,염창IC교,유지보수,시설관리공단,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093374 S 534.8 2017-2 v3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2 SG0000093373 S 534.8 2017-2 v3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093374
청구기호
S 534.8 2017-2 v3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093373
청구기호
S 534.8 2017-2 v3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염창IC교외 6개소 정밀점검용역 보고서 .[3] ,염창IC교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염창IC교외 6개소 정밀점검용역 보고서[염창IC교]

목차

제 1 장 개요
1.1 과업의 목적 59
1.2 시설물의 개요 59
1.3 과업의 범위 61
1.4 과업의 내용 61
1.5 사용장비 및 시험기기 현황 63
1.6 과업 수행일정 64

제 2 장 자료수집 및 분석
2.1 자료수집 69
2.2 자료분석 70
2.3 보수 · 보강 이력 78
2.4 내진성능평가 79
2.5 분석결과에 따른 중점점검사항 81

제 3 장 현장조사 및 시험
3.1 개요 85
3.2 외관조사 결과 89
3.3 재료시험 139

제 4 장 상태평가
4.1 개요 153
4.2 상태평가 항목 및 기준 153
4.3 상태평가 절차 154
4.4 상태평가 결과 166

제 5 장 종합평가 및 안전등급
5.1 개요 173
5.2 안전등급 지정 174

제 6 장 보수·보강 및 유지관리방안
6.1 개요 179
6.2 보수 · 보강 방안 180
6.3 보수 · 보강 공법 187
6.4 보수 · 보강 개략공사비 196
6.5 유지관리방안 197

제 7 장 종합결론
7.1 종합결론 203
7.2 현장조사결과 203
7.3 내구성 시험 결과 208
7.4 상태평가 결과 208
7.5 결언 209

부록
1. 과업내용서 213
2. 외관조사망도 245
3. 측정, 시험, 계측 성과표 333
4. 상태평가 결과 347
5. 시설물관리대장 사본 355
6. 현장조사 및 외관조사 사진첩 365
7. 사용장비 및 기기의 사진 391
8. 사전조사 자료 일체 407
9. 자문회의 조치결과 473

표목차

<표 1.2.1> 시설물 현황

<표 1.5.1> 사용장비 및 기기

<표 1.6.1> 과업수행 일정표

<표 2.1.1> 자료수집 현황

<표 2.2.1> 점검 및 진단이력 현황

<표 2.2.1> 점검 및 진단이력 현황(계속)

<표 2.2.1> 점검 및 진단이력 현황(계속)

<표 2.2.1> 점검 및 진단이력 현황(계속)

<표 2.2.1> 점검 및 진단이력 현황(계속)

<표 2.2.1> 점검 및 진단이력 현황(계속)

<표 2.2.1> 점검 및 진단이력 현황(계속)

<표 2.2.1> 점검 및 진단이력 현황(계속)

<표 2.3.1> 보수 · 보강 이력

<표 2.4.1> 부반력 검토 결과

<표 2.4.2> 내진성능평가 결과

<표 2.5.1> 부재별 중점점검사항

<표 3.1.1> 부재별 조사항목

<표 3.2.1> 바닥판 하면 외관조사 결과

<표 3.2.2> 바닥판 하면 손상집계

<표 3.2.3> 거더내부 외관조사 결과

<표 3.2.4> 거더내부 손상집계

<표 3.2.5> 거더외부 및 가로보 외관조사결과

<표 3.2.6> 거더외부 및 가로보 손상집계

<표 3.2.7> 교대 및 교각 외관조사 결과

<표 3.2.8> 교대 및 교각 손상집계

<표 3.2.9> 교량받침 외관조사결과

<표 3.2.10> 교량받침 손상집계

<표 3.2.11> 연단거리 측정결과

<표 3.2.12> 교량형식 및 지역별 온도변화의 범위

<표 3.2.13> 받침 이동량 측정 결과

<표 3.2.14> 받침장치 최대이동량 산정

<표 3.2.15> 이동여유량 검토결과

<표 3.2.16> 신축이음장치 외관조사 결과

<표 3.2.17> 신축이음장치 손상집계

<표 3.2.18> 교량형식 및 지역별 온도변화의 범위

<표 3.2.19> 신축이음 유간 측정결과

<표 3.2.20> 신축이음신축 이동량 산정

<표 3.2.21> 신축이음장치 거동여유량 검토결과

<표 3.2.22> 교면포장 외관조사 결과

<표 3.2.23> 교면 포장 손상집계

<표 3.2.24> 연석 및 난간 외관조사 결과

<표 3.2.25> 연석 및 난간 손상집계

<표 3.2.26> 배수시설 외관조사 결과

<표 3.2.27> 배수시설 손상집계

<표 3.2.28> 옹벽 변위 측정값

<표 3.2.29> 옹벽 외관조사 결과

<표 3.2.30> 옹벽 손상집계

<표 3.2.31> 외관조사 결과

<표 3.2.31> 외관조사 결과(계속)

<표 3.2.32> 기진단 결과 비교

<표 3.2.32> 기진단 결과 비교(계속)

<표 3.2.32> 기진단 결과 비교(계속)

<표 3.3.1> 재료시험 내용

<표 3.3.2> 재료시험 기준 및 실시수량

<표 3.3.3> 반발경도 시험 결과(일반콘크리트)

<표 3.3.4> 탄산화 시험 결과

<표 3.3.5> 도막두께 측정 결과

<표 3.3.6> 기 점검 결과와 비교 · 분석

<표 4.2.1> 부재별 상태평가 적용 범위

<표 4.3.1> 콘크리트 바닥판 상태평가 기준

<표 4.3.2> 강 바닥판 강 거더 및 강 교각(강 주탑) 상태평가 기준

<표 4.3.3> 강 가로보와 세로보 상태평가 기준

<표 4.3.4> 교대 상태평가 기준

<표 4.3.5> 콘크리트 교각 상태평가 기준

<표 4.3.6> 교면포장 상태평가 기준

<표 4.3.7> 교량받침 상태평가 기준

<표 4.3.8> 배수시설 상태평가 기준

<표 4.3.9> 난간 및 연석 상태평가 기준

<표 4.3.10> 신축이음 상태평가 기준

<표 4.3.11> 탄산화 상태평가 기준

<표 4.3.12> 구조형식에 따른 일반교량의 부재별 가중치

<표 4.3.13> 결함도 점수범위에 따른 기준

<표 4.4.1> STB 구간 상태평가 결과

<표 4.4.2> 라멘구간(본선) 상태평가 결과

<표 4.4.3> 라멘구간 (Ramp) 상태평가 결과

<표 4.4.1> STB구간 상태평가 (바닥판, 교각 주입보수, 신축이음 재설치, 배수관 연장시공) 112

<표 4.4.2> 라멘구간(본선) 상태평가 결과(신축이음 재설치)

<표 4.4.3> 라멘구간(Ramp) 상태평가 결과(바닥판 주입보수, 신축이음재설치)

<표 4.4.4> 기존 정밀안전진단과의 상태평가 결과 비교

<표 6.1.1> 시설물의 보수 · 보강방안 수립에 따른 검토사항

<표 6.2.1> 보수 · 보강 우선순위

<표 6.2.2> 부재별 보수 · 보강 우선순위

<표 6.2.2> 부재별 보수 · 보강 우선순위(계속)

<표 6.2.3> 보수 · 보강 일람표

<표 6.2.3> 보수 · 보강 일람표(계속)

<표 6.3.1> 수지주입공법의 종류

<표 6.3.2> 균열폭에 알맞은 수지의 점도

<표 6.3.3> 균열폭에 따른 주입파이프/패커의 간격

<표 6.3.4> 에폭시계 수지의 규격

<표 6.3.5> 주입공법 공법비교안

<표 6.3.6> 일반적인 단면 보수재의 분류

<표 6.3.7> 일반적인 단면 보수재의 분류

<표 6.4.1> 보수 · 보강 개략공사비

그림목차

<그림 1.2.1> 종 · 평면도

<그림 1.6.1> 과업수행 흐름도

<그림 3.2.1> 바닥판하면 손상추이 분석

<그림 3.2.2> 거더내부 손상추이 분석

<그림 3.2.3> 거더외부 및 가로보 손상추이 분석

<그림 3.2.4> 교대 및 교각 손상추이 분석

<그림 3.2.5> 교량받침 손상추이 분석

<그림 3.2.5> 교량받침 손상추이 분석(계속)

<그림 3.2.6> 신축이음장치 손상추이 분석

<그림 3.2.7> 신축이음 유간 측정방법

<그림 3.2.8> 교면포장 손상추이 분석

<그림 3.2.9> 연석 및 난간 손상추이 분석

<그림 3.2.10> 배수시설 손상추이 분석

<그림 3.2.11> 균열게이지 측정

<그림 3.2.12> 옹벽 손상추이 분석

<그림 4.3.1> 전체 교량의 상태평가 결과 산정 방법

<그림 4.4.1> 본선구간 부재별 상태평가 결과

<그림 4.4.2> 기존 진단 및 금회 정밀점검과 상태평가 비교

<그림 5.1.1> 종합평가 결과의 산정 흐름도

<그림 6.1.1> 공법선정시 고려사항

<그림 6.2.1> 보수 · 보강 범위의 결정

<그림 6.2.2> 보수재료 선정흐름도

<그림 6.3.1> 콘크리트 표면처리 시공순서도

<그림 6.3.2> 균열 보수공법 개요도

<그림 6.3.3> 단면보수 상세도

사진목차

<사진 3.1.1> 장비 이용한 근접 육안조사

<사진 3.2.1> 바닥판 전경

<사진 3.2.2> 바닥판 손상 현황

<사진 3.2.3> 거더 전경

<사진 3.2.4> 거더내부 손상현황

<사진 3.2.4> 거더내부 손상현황

<사진 3.2.5> 거더외부 및 가로보 손상현황

<사진 3.2.6> 교대 및 교각 전경

<사진 3.2.7> 교대 손상현황

<사진 3.2.8> 교각 손상현황

<사진 3.2.9> 라멘구간교량받침 현황사진

<사진 3.2.10> 강교구간 교량받침 현황사진

<사진 3.2.11> 교량받침 손상현황

<사진 3.2.12> 교량받침 연단거리 측정

<사진 3.2.13> 신축이음장치 전경

<사진 3.2.14> 신축이음장치 손상현황

<사진 3.2.15> 교면포장 전경

<사진 3.2.16> 교면포장 손상현황

<사진 3.2.17> 연석 및 난간 전경

<사진 3.2.18> 연석 및 난간 손상현황

<사진 3.2.19> 배수시설 전경

<사진 3.2.20> 배수시설 손상현황

<사진 3.2.21> 옹벽 손상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