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수락고가차도 외 7개소 정밀점검용역 :보고서 .[3-1] ,수락고가차도

서울특별시 시설관리공단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기술용역보고서
단체저자명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서명/저자사항수락고가차도 외 7개소 정밀점검용역:보고서.서울특별시 시설관리공단 [편].
발행사항서울:서울특별시 시설관리공단,2016
형태사항154 p. :표,사진;30 cm
일반주기 임의권차부여
권말부록수록: A.과업내용서 등
비통제주제어수락고가차도,정밀점검 용역,보고서,수락고가차도,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093434 S 534.8 2017-7 v3-1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2 SG0000093433 S 534.8 2017-7 v3-1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093434
청구기호
S 534.8 2017-7 v3-1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093433
청구기호
S 534.8 2017-7 v3-1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수락고가차도 외 7개소 정밀점검용역 :보고서 .[3-1] ,수락고가차도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수락고가차도 외 7개소 정밀점검용역 보고서[수락고가차도]

목차

제1장 정밀점검 개요
1.1 과업의 목적 35
1.2 과업의 범위 및 내용 35
 1.2.1 과업지시서상의 점검범위 35
 1.2.2 과업수행 기간 35
 1.2.3 과업의 내용 36
1.3 과업수행 일정 37
 1.3.1 과업수행 절차 37
 1.3.2 과업수행 일정 및 공정률 38
1.4 대상시설 현황 39
 1.4.1 시설물 현황 39
 1.4.2 주요 전경사진 39
1.5 사용장비 및 시험기기 현황 40
1.6 기호의 정의 41
1.7 적용기준 및 지침 41

제2장 자료수집 및 분석
2.1 자료수집 45
 2.2.2 유지관리 자료 분석 52
 2.2.3 보수 · 보강 이력 58
 2.2.4 내진설계적용여부 59
2.3 자료 분석 결과 59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3.1 개요 63
 3.1.1 외관조사 63
 3.1.2 시험 및 측정 66
3.2 외관조사 결과 70
 3.2.1 교면 포장 71
 3.2.2 방호울타리 및 방음벽 74
 3.2.3 배수시설 77
 3.2.4 상부구조(바닥판, 거더, 가로보) 79
 3.2.5 하부구조(교대/교각) 89
 3.2.6 신축이음부 92
 3.2.7 받침장치 94
 3.2.8 신축이음부 유간, 받침장치 이동량 측정 및 평가 100
 3.2.9 연단거리 측정 및 평가 110
 3.2.10 시 · 종점부 옹벽 114
 3.2.11 교랑하부 현황 117
 3.2.12 교량 점검시설물 현황 119
3.3 시험 및 측정 결과 121
 3.3.1 반발경도시험 121
 3.3.2 탄산화 깊이 측정 124
 3.3.3 균열 깊이 측정 125
3.4 합동점검 결과 126
 3.4.1 현황 126
 3.4.2 합동점검 사진 및 결과 126

제4장 시설물의 상태평가
4.1 상태평가 기준 131
 4.1.1 부재별 상태평가 적용 범위 131
 4.1.2 부재별 상태평가 기준 132
 4.1.3 구조형식에 따른 부재별 가중치 137
4.2 상태평가 방법 138
 4.2.1 경간(지점) 별 부재 상태평가 산정 138
 4.2.2 전체 시설물의 상태평가 결과 결정 138
 4.2.3 상태평가 결과 산정 방법 138
4.3 부재별 상태평가 139
 4.3.1 콘크리트 바닥판 139
 4.3.2 거더 140
 4.3.3 콘크리트 가로보 141
 4.3.4 하부구조 142
 4.3.5 받침장치 143
 4.3.6 신축이음 144
 4.3.7 포장 145
 4.3.8 배수시설 146
 4.3.9 난간/연석 147
 4.3.10 탄산화 148
4.4 상태평가 결과 149
 4.4.1 부재별 상태평가 결과 149
 4.4.2 전체 상태평가 결과 149
 4.4.3 기점검 결과와 비교 · 분석 150

제5장 시설물의 종합평가 및 안전등급 지정
5.1 개요 153
5.2 종합평가 및 안전등급 지정 결과 154
5.3 기점검 결과와 비교 · 분석 154

제6장 보수 · 보강 및 유지관리 방안
6.1 개요 157
 6.1.1 보수 · 보강 우선순위 선정 158
6.2 보수 · 보강 공법 163
 6.2.1 균열 보수 163
 6.2.2 단면 보수 167
 6.2.3 포장균열 보수 170
 6.2.4 소규모 포장보수 방안 172
 6.2.5 재도장 공법(받침장치) 173
6.3 보수 · 보강 개략공사비 175
 6.3.1 손상물량 및 보수 · 보강방안 175
 6.3.2 우선순위 및 개략공사비 177
6.4 중점유지관리 방안 179
 6.4.1 개요 179
 6.4.2 부재별 중점점검부위 180
 6.4.3 중점 유지관리 사항 182

제7장 종합결론
7.1 정밀점검 실시결과의 종합결론 185
7.2 정밀안전진단 및 시설물의 사용제한의 필요여부 188
7.3 유지관리시 특별한 관리가 요구되는 사항 188

표목차

【표 1.2-1】 과업의 상세내용

【표 1.3-1】 과업수행 일정 및 공정률

【표 1.4-1】 시설물 현황

【표 1.5-1】 사용장비 및 시험기기

【표 1.6-1】 시설물 기호의 정의

【표 1.7-1】 적용기준 및 지침

【표 2.1-1】 자료수집 목록

【표 2.2-1】 점검 이력

【표 2.2-1】 점검 이력 (계속)

【표 2.2-1】 점검 이력 (계속)

【표 2.2-2】 전회차 정밀점검 주요내용

【표 2.2-2】 전회차 정밀점검 주요내용(계속)

【표 2.2-2】 전회차 정밀점검 주요내용(계속)

【표 2.2-3】 주요 보수 · 보강 이력

【표 2.3-1】 자료 분석 결과

【표 3.1-1】 사전조사를 통한 외관조사방향

【표 3.1-2】 기 점검 및 검토 보고서 결과를 통한 외관조사 방향

【표 3.1-3】 외관조사 기간

【표 3.1-4】 부재별 손상유형 및 점검사항

【표 3.1-5】 시험 및 측정 항목

【표 3.1-6】 시험 및 측정 수량

【표 3.2-1】 교면포장 손상현황 분석

【표 3.2-2】 방호울타리 손상현황 분석

【표 3.2-3】 배수시설 손상현황 분석

【표 3.2-4】 상부구조 손상현황 분석

【표 3.2-5】 하부구조 손상현황 분석

【표 3.2-6】 신축이음부 손상현황 분석

【표 3.2-7】 받침장치 현황사진

【표 3.2-7】 받침장치 현황사진 (계속)

【표 3.2-7】 받침장치 현황사진 (계속)

【표 3.2-7】 받침장치 손상현황 분석

【표 3.2-8】 온도변화의 범위 및 선팽창계수

【표 3.2-9】 신축이음장치 유간 검토 결과

【표 3.2-10】 받침장치 이동량 산정 결과(7월 15일 29.2℃)

【표 3.2-10】 받침장치 이동량 산정 결과(7월 15일 29.2℃)(계속)

【표 3.2-10】 받침장치 이동량 산정 결과(7월 15일 29.2℃)(계속)

【표 3.2-10】 받침장치 이동량 산정 결과(7월 15일 29.2℃)(계속)

【표 3.2-11】 받침장치 이동량 산정 결과(10월 28일 15.80℃)

【표 3.2-11】 받침장치 이동량 산정 결과(10월 28일 15.8℃)(계속)

【표 3.2-11】 받침장치 이동량 산정 결과(10월 28일 15.8℃) (계속)

【표 3.2-11】 받침장치 이동량 산정 결과(10월 28일 15.8℃)(계속)

【표 3.2-12】 연단거리 측정 결과

【표 3.2-12】 연단거리 측정 결과(계속)

【표 3.2-12】 연단거리 측정 결과(계속)

【표 3.2-12】 연단거리 측정 결과(계속)

【표 3.2-13】 시 · 종점부 옹벽 손상현황 분석

【표 3.2-14】 기존손상 진전여부, 보수부 상태, 신규손상 발생여부 확인

【표 3.3-1】 반발경도시험의 평가근거 및 내용

【표 3.3-2】 반발경도시험에 의한 압축강도측정 결과

【표 3.3-3】 반발경도시험에 의한 강도비

【표 3.3-4】 콘크리트 압축강도 기 점검결과와 비교 · 검토

【표 3.3-5】 반발경도시험에 의한 압축강도측정 결과(불건전부)

【표 3.3-6】 탄산화 깊이 측정 결과

【표 3.3-7】 탄산화깊이측정 결과 기 점검결과와 비교 · 분석

【표 3.3-8】 균열깊이 측정 위치

【표 3.3-9】 균열깊이 측정결과

【표 3.4-1】 합동점검 현황

【표 4.1-1】 부재별 상태평가 적용 범위

【표 4.1-2】 콘크리트 바닥판(슬래브) 상태평가 기준

【표 4.1-3】 철근콘크리트 거더 상태평가 기준

【표 4.1-4】 콘크리트 가로보 상태평가 기준

【표 4.1-5】 교대 상태평가 기준

【표 4.1-6】 교각 상태평가 기준

【표 4.1-7】 기초 상태평가 기준

【표 4.1-8】 교량받침 상태평가 기준

【표 4.1-9】 신축이음 상태평가 기준

【표 4.1-10】 교면포장 상태평가 기준

【표 4.1-11】 배수시설 상태평가 기준

【표 4.1-12】 난간 및 연석 상태평가 기준

【표 4.1-13】 탄산화 상태평가 기준

【표 4.1-14】 구조형식에 따른 부재별 가중치

【표 4.2-1】 결함도 점수 범위에 따른 기준

【표 4.3-1】 콘크리트 바닥판 점검 내용

【표 4.3-2】 콘크리트 바닥판 상태평가 결과

【표 4.3-3】 거더 점검 내용

【표 4.3-4】 거더 상태평가 결과

【표 4.3-5】 콘크리트 가로보 점검 내용

【표 4.3-6】 콘크리트 가로보 상태평가 결과

【표 4.3-7】 하부구조 점검 내용

【표 4.3-8】 하부구조 상태평가 결과

【표 4.3-9】 받침장치 점검 내용

【표 4.3-10】 받침장치 상태평가 결과

【표 4.3-11】 신축이음 점검 내용

【표 4.3-12】 신축이음 상태평가 결과

【표 4.3-13】 포장 점검 내용

【표 4.3-14】 포장 상태평가 결과

【표 4.3-15】 배수시설 점검 내용

【표 4.3-16】 배수시설 상태평가 결과

【표 4.3-17】 난간/연석 점검내용

【표 4.3-18】 난간/연석 상태평가 결과

【표 4.3-19】 탄산화 시험 내용

【표 4.3-20】 탄산화 시험 상태평가 결과

【표 4.4-1】 부재별 상태평가 결과

【표 4.4-2】 전체 상태평가 결과

【표 4.4-3】 상태평가 결과 분석

【표 5.1-1】 시설물 안전등급 기준

【표 5.2-1】 종합평가 및 안전 등급 지정 결과

【표 6.1-1】 중대한 결합의 정도

【표 6.1-2】 시설물 보수 · 보강 관계 규정

【표 6.1-3】 시설물 안전등급

【표 6.1-4】 보수시기의 중요성

【표 6.1-5】 보수 · 보강 우선 순위 및 예산반영 원칙

【표 6.1-6】 보수 · 보강 우선순위 세부기준

【표 6.1-6】 보수 · 보강 우선순위 세부기준(계속)

【표 6.2-1】 주입보수 개요

【표 6.2-2】 주입보수 비교안

【표 6.2-3】 주입보수 개요

【표 6.2-4】 표면처리보수 비교안

【표 6.2-5】 단면보수 비교안

【표 6.2-5】 단면보수 비교안(계속)

【표 6.2-6】 실런트 품질관리

【표 6.2-7】 도장 보수방법

【표 6.3-1】 손상물량 및 보수 · 보강 방안

【표 6.3-1】 손상물량 및 보수 · 보강 방안(계속)

【표 6.3-2】 우선순위 및 개략공사비

【표 6.3-2】 우선순위 및 개략공사비

【표 6.4-1】 유지관리의 기본개념

【표 6.4-2】 현장조사시 점검표

그림목차

【그림 2.2-1】 종평면도

【그림 2.2-2】 단면도 및 일반도

【그림 2.2-3】 바닥판 배근도

【그림 2.2-4】 거더 상세도

【그림 2.2-5】 교대 배근도

【그림 2.2-6】 교각 배근도

【그림 3.2-1】 받침장치 상세도(125T)

【그림 3.2-2】 받침장치 상세도(150T)

【그림 3.3-1】 시험 및 측정 위치도

【그림 4.2-1】 상태평가 결과 산정 방법(예)

【그림 6.2-1】 단면보수 시공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