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노후 옥내급수관 교체 전·후 수질변화 조사

서울특별시 상수도사업본부 수질분석부 먹는물분석과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기술용역보고서
단체저자명서울특별시 .상수도사업본부 .서울물연구원.수질분석부 .먹는물분석과;
서명/저자사항노후 옥내급수관 교체 전·후 수질변화 조사 /서울특별시 상수도사업본부 수질분석부 먹는물분석과 [편].
발행사항서울:서울특별시 서울물연구원 먹는물분석과 ,2018
형태사항151 p. :표 ;30 cm
ISBN9791161613680
일반주기 권말부록수록
서지주기참고문헌: p. 108
비통제주제어옥내급수관,수질변화,먹는물분석,수질분석,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01772 S 539.151 2018-1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101773 S 539.151 2018-1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01772
청구기호
S 539.151 2018-1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101773
청구기호
S 539.151 2018-1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노후 옥내급수관 교체 전·후 수질변화 조사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노후 옥내급수관 교체 전·후 수질변화 조사
목차 3
요약문 10
1. 서 론 16
2. 노후 옥내급수관 교체사업 추진현황 20
 2.1. 노후 옥내급수관 교체 현황 22
  2.2. 아연도강관 및 폴리부틸렌관 특징 23
   2.2.1. 아연도강관 23
   2.2.2. 폴리부틸렌관 24
3. 조사대상 및 수질조사 방법 26
 3.1. 조사대상 현황 28
 3.2. 채수방법 32
 3.3. 검사항목 및 검사방법 34
4. 결과 및 고찰 38
 4.1.1. 미생물 42
 4.1.2. 심미적 영향물질 43
  4.1.2.1. 경도(Hardness) 44
  4.1.2.2. 과망간산칼륨소비량(KMnO4 소비량) 46
  4.1.2.3. 냄새(Odor) 48
  4.1.2.4. 맛(Taste) 49
  4.1.2.5. 구리(Copper : Cu) 49
  4.1.2.6. 색도(Color) 51
  4.1.2.7. 세제(Anionic Surfactant) 51
  4.1.2.8. 수소이온농도(Potential of Hydrogen : pH) 52
  4.1.2.9. 아연(Zinc : Zn) 53
  4.1.2.10. 염소이온(Chloride : Cl-) 55
  4.1.2.11. 증발잔류물(Total Solids) 58
  4.1.2.12. 철(Iron : Fe) 60
  4.1.2.13. 망간(Manganese : Mn) 61
  4.1.2.14. 탁도(Turbidity) 63
  4.1.2.15. 황산이온(Sulfate : SO42-) 65
  4.1.2.16. 알루미늄(Aluminium : Al) 68
 4.1.3. 건강상 유해영향 무기물질 70
  4.1.3.1. 납(Lead : Pb) 71
  4.1.3.2. 불소(Fluoride : F-) 71
  4.1.3.3. 비소(Arsenic : As) 71
  4.1.3.4. 셀레늄(Selenium : Se) 72
  4.1.3.5. 수은(Mercury : Hg) 72
  4.1.3.6. 시안(Cyanide : CN) 73
  4.1.3.7. 크롬(Chromium : Cr) 73
  4.1.3.8. 암모니아성질소(Ammonia nitrogen : NH3-N) 73
  4.1.3.9. 질산성질소(Nitrate nitrogen : NO3-N) 74
  4.1.3.10. 카드뮴(Cadmium : Cd) 77
  4.1.3.11. 붕소(Boron : B) 77
  4.1.3.12. 브롬산염(Bromate : BrO3-) 78
 4.1.4. 건강상 유해영향 유기물질 79
 4.1.5. 소독제 및 소독부산물 82
  4.1.5.1. 잔류염소(Residual Chlorine) 82
  4.1.5.2. 총트리할로메탄(TTHMs) 86
  4.1.5.3. 클로랄하이드레이트(Chloral Hydrate; CH) 91
  4.1.5.4. 할로아세토니트릴류(HANs) 92
  4.1.5.5.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95
  4.1.5.6. 할로아세틱에시드(HAAs) 95
 4.2. 노후관 교체에 따른 수질개선 효과 평가 98
  4.2.1. 통계분석에 의한 검출항목 검토 98
  4.2.2. 수질 검출항목 상관관계 분석 107
5. 결 론 110
참고문헌 117
부 록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