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민관협력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서울 협치 플랫폼 기획 연구

이승하 연구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개인저자이승하 
서명/저자사항민관협력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서울 협치 플랫폼 기획 연구 /이승하 연구.
발행사항서울:서울디지털재단,2019
형태사항68 p. :천연색삽화, 도표, 초상 ;26 cm
총서사항스마트시티 정책·거버넌스 연구.
총서부출표목스마트시티 정책·거버넌스 연구
ISBN9791196950613
서지주기참고문헌: p. 67-68
비통제주제어활성화 방안,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11083 S 359.116 2021-5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111084 S 359.116 2021-5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11083
청구기호
S 359.116 2021-5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111084
청구기호
S 359.116 2021-5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민관협력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서울 협치 플랫폼 기획 연구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민관협력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서울 협치 플랫폼 기획 연구

CONTENTS
제1장 연구개요 12
 가. 연구목적 및 배경 12
 나. 연구범위 13
 다. 연구수행 절차 13
 라. 연구의 기대효과 14
제2장 문헌연구: 스마트서울 협치플랫폼 방향성 도출을 위한 이론적 토대 16
 가. 협치의 등장배경과 협력적 스마트시티 16
  1) 협치의 등장배경 16
  2) 협치 기반의 공공사업 추진방식 변화 17
  3) 협력적 스마트시티 추진체계로의 변화 18
  4) 협력적 스마트시티의 이해관계자와 그 역할 20
 나. 협력적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구현을 위한 조건 22
  1) 협력적 스마트시티 거버넌스의 형태 22
  2) 협력적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구현을 위한 조건 23
 다. 스마트시티 협치플랫폼 구축의 필요성과 시사점 26
제3장 해외 유사 스마트시티 플랫폼 사례 조사 및 분석 28
 가. 사례분석 개요 28
  1) 사례조사 목적 28
  2) 사례조사 대상 선정 28
  3) 사례분석 관점 29
 나. 국내외 협치플랫폼 구축 사례 30
  1) European Innovation Partnership on Smart Cities and Communities 30
  2) EU Smart Cities Information System 34
  3) Smart Specialisation Platform 38
  4) European Investment Project Portal 42
  5) Australian Marketplace 45
  6) NTB기술은행, 한국산업기술진흥원 47
  7) Amsterdam Smart City 51
  8) Santander Citibrian 53
  9) Bee Smart City 55
  10) Crunchbase 59
 다. 협치플랫폼 사례분석 시사점 61
  1) 사례별 시사점 61
  2) 종합 시사점 63
제4장 협치플랫폼 구축 및 운영방향 도출 66
 가. 스마트서울 협치플랫폼 구축 비전 및 목표 66
  1) 비전 및 목표설정 66
  2) 이해관계자별 역할 설정 66
  3) 목표 모델 67
 나. 단계별 발전 전략: 단·중·장기 관점의 발전방향 및 과제 68
  1) 1단계: 기반구축·시범운영 단계 69
  2) 2단계: 확산·활성화 단계 71
  3) 3단계: 안정화·고도화단계 73
제5장 결론 및 제언 76
참고문헌 78
표 차례 8
그림 차례 9

표 차례
?표 1-1? 연구절차 및 추진 일정 13
?표 2-1? 사업 추진방식의 변화 17
?표 2-2? 사용중심형 민간 참여 모델로 다원화 19
?표 2-3? 협력적 혁신의 4가지 유형(Leminen & Westerlund, 2015) 21
?표 2-4?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성요소 24
?표 2-5? 디지털기술 발전에 따른 정부운영 방향의 변화 25
?표 3-1? 사례조사 대상 28
?표 3-2? EIP-SCC 주요 메뉴 및 콘텐츠 32
?표 3-3? EU-SCIS 주요 메뉴 및 콘텐츠 36
?표 3-4? S3 플랫폼 주요 메뉴 및 콘텐츠 40
?표 3-5? 유럽 투자 프로젝트 포털 주요 메뉴 및 콘텐츠 43
?표 3-6? 호주 마켓플레이스 주요 메뉴 및 콘텐츠 46
?표 3-7? 기술은행 마켓플레이스 주요 메뉴 및 콘텐츠 48
?표 3-8? 암스테르담 스마트시티 포털 주요 메뉴 및 콘텐츠 52
?표 3-9? 산탄데르 시티브레인 포털 주요 메뉴 및 콘텐츠 54
?표 3-10? Bee Smart City 주요 메뉴 및 콘텐츠(1/2) 56
?표 3-11? Bee Smart City 주요 메뉴 및 콘텐츠(2/2) 56
?표 3-12? 크런치베이스 주요 메뉴 및 콘텐츠 59
?표 4-1? 스마트시티 지속적 콘텐츠 생산 및 관리 담당 지정(안) 70
?표 4-2? 운영지침 목록(예시) 70
?표 4-3? 대상별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 수립(예시) 71
?표 4-4? 스마트시티 전문가 등록 및 참여확대 절차 72

그림 차례
?그림 2-1? 지역공동체 문제해결을 위한 Co-creation의 개념모델 구조(홍순구 외 2명, 2014) 18
?그림 2-2? 암스테르담 스마트시티 협력기관 네트워크 연계도 20
?그림 2-3? 협력적 혁신의 4가지 유형(Leminen & Westerlund, 2015) 22
?그림 2-4? 협력적 스마트시티를 위한 ICT 기술활용(Gabriela V.P. et al, 2017) 24
?그림 2-5? 스마트서울 협치플랫폼의 필요성 26
?그림 3-1? EIP-SCC 메인화면 30
?그림 3-2? EIP-SCC 이해관계자 31
?그림 3-3? EIP-SCC Action Cluster 33
?그림 3-4? EIP-SCC Marketplace 전략적 프레임워크 33
?그림 3-5? EIP-SCC Marketplace 매치메이킹 프로그램 34
?그림 3-6? EU 스마트시티 정보 시스템 메인화면 35
?그림 3-7? EU 스마트시티 정보 시스템 프로젝트 정보 제공 화면 37
?그림 3-8? EU 스마트시티 정보 플랫폼의 프레임워크 37
?그림 3-9? S3 플랫폼 메인화면 38
?그림 3-10? S3 플랫폼 슬로건 39
?그림 3-11? S2플랫폼 지식정보 카테고리 41
?그림 3-12? 유럽 투자 프로젝트 포털(EIPP) 메인화면 42
?그림 3-13? 유럽 투자 프로젝트 포털 프로젝트 정보 44
?그림 3-14? 호주 마켓플레이스 메인화면 45
?그림 3-15? 마켓플레이스 매칭 공고 47
?그림 3-16? 기술은행 포털 메인화면 47
?그림 3-17? 기술은행 포털 기술정보검색 기능 49
?그림 3-18? 기술은행 포털 상담창구 운영 50
?그림 3-19? 암스테르담 스마트시티 포털 메인화면 51
?그림 3-20? 암스테르담 스마트시티 전문가 이력조회 52
?그림 3-21? 산탄데르 시티브레인 포털 메인화면 53
?그림 3-22? 산탄데르 시티브레인 우수혁신가 정보열람 기능 54
?그림 3-23? Bee Smart City 메인화면 55
?그림 3-24? Bee Smart City 솔루션별 상세 구축정보 제공 58
?그림 3-25? Bee Smart City 개인 맞춤형 정보화면 및 메신저 기능 58
?그림 3-26? 크런치베이스 주요 정보제공 영역 59
?그림 3-27? 크런치베이스 기업정보 제공 화면 60
?그림 3-28? 크런치베이스 개인 맞춤형 정보알람 기능 설정 화면 60
?그림 3-29? 사례조사 및 분석 종합 시사점 63
?그림 4-1? 이해관계자별 역할 맵 67
?그림 4-2? 단계별 운영전략 68
?그림 4-3? 협치플랫폼 운영거버넌스 69
?그림 4-4? 데이터 활용 시각화 도구 예시 73
?그림 4-5? 아이디어 협업 툴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