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염창IC 정밀안전진단 및 정릉터널 정밀안전점검 용역 :염창IC교 정밀안전진단 보고서 .[1]

서울시설공단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기술용역보고서
단체저자명서울시설공단;
한국국토안전연구원[진단기관];
정신이앤시[진단기관];
서명/저자사항염창IC 정밀안전진단 및 정릉터널 정밀안전점검 용역:염창IC교 정밀안전진단 보고서.서울시설공단 [편].
발행사항서울:서울시설공단,2019
형태사항1 v. (쪽수복잡, 일부접지) :삽화, 설계도, 표;30 cm
일반주기 임의권차부여
권말부록: 콘크리트 비파괴시험자료 등
비통제주제어시설물 안전,도로 안전,터널 안전,정밀안전점검,안전점검,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12095 S 534.8 2021-3 v1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12095
청구기호
S 534.8 2021-3 v1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염창IC 정밀안전진단 및 정릉터널 정밀안전점검 용역 :염창IC교 정밀안전진단 보고서 .[1]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제 출 문

염창IC교 정밀안전진단 결과표

염창IC교 현황표

참여기술진 명단

위 치 도

전 경 사 진

염창IC교 정밀안전진단 요약문

목        차
제 1장 정밀안전진단의 개요 77
 1.1 과업의 목적 78
 1.2 시설물의 개요 78
 1.3 진단의 범위 및 과업내용 81
  1.3.1 진단의 범위 81
  1.3.2 과업수행기간 81
  1.3.3 과업내용 82
  1.3.4 과업수행 절차 83
 1.4 사용장비 및 시험기기 현황 84
 1.5 진단 수행 일정 85
 1.6 기호의 정의 86
  1.6.1 시설물의 기호의 정의 86
제 2장 자료수집 및 분석 88
 2.1 사전조사 89
 2.2 설계도면 93
  2.2.1 시설물의 개요 93
 2.3 기존 정밀점검 및 정밍란전진단 실시결과 123
  2.3.1 기존 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이력 123
  2.3.2 부재별 점검 및 진단 이력 136
  2.3.3 기 정밀안전진단 실시결과('14년) 146
  2.3.4 기 정밀점검 실시결과('16년) 156
  2.3.5 기 정밀점검 실시결과('18년) 162
 2.4 보수·보강 이력 165
 2.5 시설물의 내진설계 여부 확인 167
  2.5.1 염창IC교 내진성능개선 실시설계용역(2017.11) 167
제 3장 현장조사 및 시험 175
 3.1 개요 176
  3.1.1 시설물 개요 176
  3.1.2 부재별 손상내용 및 원인, 조사방향 178
  3.1.3 현장조사 방법 179
 3.2 외관조사 결과 181
  3.2.1 상부구조 181
  3.2.2 하부구조 211
  3.2.3 받침장치 224
  3.2.4 기타부재 233
  3.2.5 하자검사 결과 261
  3.2.6 하자검사 결과 요약 270
  3.2.7 감독 합동점검 271
  3.2.8 과업이행 실태점검 273
 3.3 내구성 평가 결과 275
  3.3.1 개 요 275
  3.3.2 콘크리트 압축강도평가 278
  3.3.3 철근탐사시험 290
  3.3.4 탄산화 깊이 측정 296
  3.3.5 염화물함유량 시험 303
  3.3.6 균열깊이 조사 309
  3.3.7 강재용접부 초음파탐상시험(UT : Ultrasonic Testing) 311
  3.3.8 도막두께 측정 317
  3.3.9 결과 요약 320
제 4장 시설물의 상태평가 323
 4.1 개요 324
 4.2 상태평가 산정 기준 324
  4.2.1 부재별 상태평가 적용범위 324
  4.2.2 부재별 상태평가 기준 325
  4.2.3 부재별 가중치 331
  4.2.4 상태평가 결과 산정 방법 332
 4.3 상태평가 결과산정 333
  4.3.1 염창IC 상태평가 결과산정 333
  4.3.2 염창IC 상태평가 최종등급 산정결과 336
 4.4 상태평가 결과분석 337
  4.4.1 염창IC 상태평가 분석 337
  4.4.2 상태평가 등급 상향 대책방안 338
  4.4.3 1순위 보수공사 후 상태평가 분석 339
  4.4.4 1순위 보수공사 전·후 상태평가 결과 비교 339
제 5장 재하시험 340
 5.1 개 요 341
  5.1.1 재하시험의 주요 목적 342
  5.1.2 정적재하시험 342
  5.1.3 동적재하시험 344
 5.2 재하시험 계획 346
  5.2.1 시험경간의 선정 346
  5.2.2 재하시험 장비 348
  5.2.2 장비시험차량 348
  5.2.3 재하시험 대상경간 및 센서 부착위치 350
  5.2.4 하중 재하 경우 357
 5.3 재하시험 결과 361
  5.3.1 정적재하시험 결과 361
  5.3.2 동적재하시험 결과 373
  5.3.2 기 진단 결과 비교(재하시험) 386
제 6장 시설물의 안전성평가 388
 6.1 안전성평가 개요 389
  6.1.1 안전성평가 구간 선정 389
  6.1.2 안전성평가 방법 및 등급기준 390
  6.1.3 해석조건 검토 391
  6.1.4 적용 설계끼준 및 참고문헌 392
  6.1.5 부재제원 확인 393
 6.2 본선 STB구간 안전성평가 394
  6.2.1 해석조건 394
  6.2.2 바닥판 검토 403
  6.2.3 거더 검토 415
  6.2.4 교각 검토 443
 6.3 본선 RA구간 안전성평가 457
  6.3.1 해석조건 457
  6.3.2 슬래브 및 교각 검토 460
 6.4 램프 RA구간 안전성평가 473
  6.4.1 해석조건 473
  6.4.2 슬래브 및 교각 검토 476
 6.5 내하력 평가 489
  6.5.1 개요 489
  6.5.2 응답보정계수 산정 491
  6.5.3 내하력평가 결과 495
 6.6 안전성평가 498
  6.6.1 안전성평가 종합결론 498
  6.6.2 기 진단 결과 비교 501
제 7장 종합평가 및 안전등급 지정 504
 7.1 개요 505
 7.2 종합평가 결과 507
  7.2.1 상태평가 결과요약 507
  7.2.2 안전성평가 결과 요약 507
  7.2.3 종합평가 결과 508
 7.3 안전등급 지정 509
  7.3.1 개요 509
  7.3.2 안전등급 지정 510
제 8장 보수 ·  보강 방안 및 유지관리방안 511
 8.1 개 요 512
  8.1.1 보수·보강의 추진방향 513
  8.1.2 보수·보강 우선순위 및 수준 514
 8.2 보수·보강 방안 519
  8.2.1 결함내용별 보수·보강 방안 519
 8.3 보수·보강 개략공사비 521
  8.3.1 보수·보강 개략공사비 522
 8.4 보수·보강 공법 525
  8.4.1 콘크리트의 균열 및 단면 결손부 보수 525
  8.4.2 콘크리트 염해 방지 공법 547
  8.4.3 콘크리트 단면보수 및 염해 방지 보수 시공후 성능검증 548
  8.4.4 배수시설 추가 설치 방안 550
  8.4.5 신축이음 배수홈통 설치 551
  8.4.6 바닥판 하면 물끊기 추가 설치 552
  8.4.7 강재 보수 방안 553
 8.5 유지관리방안 556
  8.5.1 개요 556
  8.5.2 유지관리방안 556
  8.5.3 염창IC교 유지관리 지침 메뉴얼 567
 8.6 중점 유지관리방안 571
제 9장 종합결론 587
 9.1종합결론 588